본문내용
론함으로 교육
- ECT에 관한 유인물, 간행본, 비디오테이프 등으로 보충될 수 있음
14.3 광선치료
- 단독 실시 가능, 약물치료와 병행 가능
- 실외 일광과 같은 강도와 색 합성을 공급하도록 고안된 광범위 스펙트럼 형광구 세트와 눈높이를 맞추고 1m 가량 떨어져 눈을 뜬채로 앉음 + 일상생활활동 할 수 있음
- 빛의 효과는 다양함
- 광선이 밝을수록 시간단위당 치료가 더 효과적임
- 매우 긍정적인 효과이며 치료효과는 빠르고 반복적임
- 내성은 없고 수년간 치료가 계속됨
14.3.1 적응증
- 비정신병성 겨울우울증, 계절성 정서장애
14.3.2 작용기전
- 빛과 어둠에 관계된 생물학적 리듬에 바탕
- 치료효과는 일차적으로 시각에 의한 것으로 나타남
- 눈이 뇌에 메시지 보냄 → 세로토닌, 도파민 같은 뇌신경전달물질 체계의 역할을 이끎
14.3.3 부작용
- 눈의 피로감, 두통, 초조, 불면증, 피로, 오심, 안구와 비강, sinus의 건조증 등
- 치료기간을 줄이고 광선으로부터의 거리를 둠으로 해결 가능
- 안질환시 주의깊게 사용
14.4 수면박탈 요법
- 우울증 환자의 60% → 하루 밤의 수면박탈 후에 즉각적인 호전 : 단/양극성 장애환자
- 치료에 반응하는 환자들이 밤에 2시간 정도의 짧은 수면을 취할 경우
→ 다시 우울증 발생
- 반복적인 수면조절을 통해 호전될 수 있음
- 재발 방지 : 약물치료와 광선치료가 도움됨
- MAO 억제제와 같은 항우울제가 수면을 방해함
14.4.1 적응증
- 현저한 주간활동변화의 증상을 보이는 우울증 환자
- 호의적인 반응 환자 : 밤 동안 비정상적인 체온상승
- 일부 계절성 정서장애 환자들
14.4.2 작용기전
- 생물학적 기전은 밝혀지지 않음
- REM 수면을 방해함으로 작용
- 수면박탈에 따른 신경내분비 변화가 항우울 효과를 설명함
14.4.3 부작용
- 양극성 질환을 가진 일부 환자에서 조증 유발
→ 조증 의심/양극성장애 가족력 있는 환자들에 조심
-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 손실의 예방으로 조증 방지
14.5 인슐린 혼수요법
- 정신분열증의 흥분, 불안 조절에 인슐린이 유효함
14.5.1 작용기전
1) 인슐린 혼수요법
- 인슐린을 소량 → 100~120unit 까지 서서히 증가
- 1주일 뒤 1h/day 저혈당으로 인한 혼수에 빠뜨림
→ 주당 5회 실시, 총 40~50시간의 혼수시간 갖게 되면 증상 호전
2) 인슐린 아혼수요법
- 신경증적 장애, 우울증, 체중감소, 피로, 식욕부진, 불안, 초조 등에 유효
- 정신분열증, 일선에서 피로한 군인, 약물중독의 금단증상 진정에 유효
- 저혈당의 자각증상이 있고 혼수에 빠질 우려가 있으면 설탕물 po/포도당 IV
14.6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 비침습적 치료, 뇌의 자기장을 변화시켜 뇌 활동에 영향을 줌
- rTMS : 자기자극이 초당 연속적인 여러 개의 자극으로 주입됨
주의력, 기억력, 언어 등과 같은 뇌의 다양한 기능 연구에 이용
뉴런의 활동변화 나타냄
- 일부 신경성 및 정신질환 치료방법으로 연구됨
14.6.1 적응증
- 기분장애환자의 치료에 가장 많이 이용
- rTMS를 왼쪽 prefrontal cortex에 투여 : 비정신병적 우울에 치료적 효과
- rTMS를 오른쪽 prefrontal cortex에 투여 : 조증에 치료적 효과
- 정신분열에 효과 없음
14.6.2 작용기전
- Faraday 유도 원리에 기초
- ECT와 달리 뇌에서 신경화학적 변화 일으키도록 직접 자극
14.6.2 부작용
- rTMS가 간질이 없던 환자에게 경련 유발 → 초기 안전성 시험때 발생
- 두통 : 자극을 받는 동안 두피근 수축으로 인해 발생
- 일시적인 경한 인지장애
- 체내 금속장치를 한 사람은 금기
- 심장질환자, 뇌압 증가 환자 → 경련 위험성 높음
- 임산부에 금기, 경련가능성 있는 환자에 신중
14.7 미주신경자극
- 간헐적 미주신경 자극이 경련 치료에 도움
14.7.1 적응증
- 간질환자의 치료법
- 우울과 같은 정서장애의 치료
- 불안장애, 비만, 만성통증증후군, 중독, 수면장애 포함 여러 장애의 치료에 효과적
- 알츠하이머 질환자의 인지력 향상
14.7.2 작용기전
- 정확하지 않음
- 신경전달물질 시스템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
14.7.3 부작용
- 자극으로 인한 쉰 목소리
- 인후통, 목의 통증, 두통, 빈호흡 등
- 절개부의 감염, 기침, 목소리 변화, 성대마비, 안면근육 마비, 심박동 변화, 삽입된 기구에 수분축적 등
- ECT에 관한 유인물, 간행본, 비디오테이프 등으로 보충될 수 있음
14.3 광선치료
- 단독 실시 가능, 약물치료와 병행 가능
- 실외 일광과 같은 강도와 색 합성을 공급하도록 고안된 광범위 스펙트럼 형광구 세트와 눈높이를 맞추고 1m 가량 떨어져 눈을 뜬채로 앉음 + 일상생활활동 할 수 있음
- 빛의 효과는 다양함
- 광선이 밝을수록 시간단위당 치료가 더 효과적임
- 매우 긍정적인 효과이며 치료효과는 빠르고 반복적임
- 내성은 없고 수년간 치료가 계속됨
14.3.1 적응증
- 비정신병성 겨울우울증, 계절성 정서장애
14.3.2 작용기전
- 빛과 어둠에 관계된 생물학적 리듬에 바탕
- 치료효과는 일차적으로 시각에 의한 것으로 나타남
- 눈이 뇌에 메시지 보냄 → 세로토닌, 도파민 같은 뇌신경전달물질 체계의 역할을 이끎
14.3.3 부작용
- 눈의 피로감, 두통, 초조, 불면증, 피로, 오심, 안구와 비강, sinus의 건조증 등
- 치료기간을 줄이고 광선으로부터의 거리를 둠으로 해결 가능
- 안질환시 주의깊게 사용
14.4 수면박탈 요법
- 우울증 환자의 60% → 하루 밤의 수면박탈 후에 즉각적인 호전 : 단/양극성 장애환자
- 치료에 반응하는 환자들이 밤에 2시간 정도의 짧은 수면을 취할 경우
→ 다시 우울증 발생
- 반복적인 수면조절을 통해 호전될 수 있음
- 재발 방지 : 약물치료와 광선치료가 도움됨
- MAO 억제제와 같은 항우울제가 수면을 방해함
14.4.1 적응증
- 현저한 주간활동변화의 증상을 보이는 우울증 환자
- 호의적인 반응 환자 : 밤 동안 비정상적인 체온상승
- 일부 계절성 정서장애 환자들
14.4.2 작용기전
- 생물학적 기전은 밝혀지지 않음
- REM 수면을 방해함으로 작용
- 수면박탈에 따른 신경내분비 변화가 항우울 효과를 설명함
14.4.3 부작용
- 양극성 질환을 가진 일부 환자에서 조증 유발
→ 조증 의심/양극성장애 가족력 있는 환자들에 조심
-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 손실의 예방으로 조증 방지
14.5 인슐린 혼수요법
- 정신분열증의 흥분, 불안 조절에 인슐린이 유효함
14.5.1 작용기전
1) 인슐린 혼수요법
- 인슐린을 소량 → 100~120unit 까지 서서히 증가
- 1주일 뒤 1h/day 저혈당으로 인한 혼수에 빠뜨림
→ 주당 5회 실시, 총 40~50시간의 혼수시간 갖게 되면 증상 호전
2) 인슐린 아혼수요법
- 신경증적 장애, 우울증, 체중감소, 피로, 식욕부진, 불안, 초조 등에 유효
- 정신분열증, 일선에서 피로한 군인, 약물중독의 금단증상 진정에 유효
- 저혈당의 자각증상이 있고 혼수에 빠질 우려가 있으면 설탕물 po/포도당 IV
14.6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 비침습적 치료, 뇌의 자기장을 변화시켜 뇌 활동에 영향을 줌
- rTMS : 자기자극이 초당 연속적인 여러 개의 자극으로 주입됨
주의력, 기억력, 언어 등과 같은 뇌의 다양한 기능 연구에 이용
뉴런의 활동변화 나타냄
- 일부 신경성 및 정신질환 치료방법으로 연구됨
14.6.1 적응증
- 기분장애환자의 치료에 가장 많이 이용
- rTMS를 왼쪽 prefrontal cortex에 투여 : 비정신병적 우울에 치료적 효과
- rTMS를 오른쪽 prefrontal cortex에 투여 : 조증에 치료적 효과
- 정신분열에 효과 없음
14.6.2 작용기전
- Faraday 유도 원리에 기초
- ECT와 달리 뇌에서 신경화학적 변화 일으키도록 직접 자극
14.6.2 부작용
- rTMS가 간질이 없던 환자에게 경련 유발 → 초기 안전성 시험때 발생
- 두통 : 자극을 받는 동안 두피근 수축으로 인해 발생
- 일시적인 경한 인지장애
- 체내 금속장치를 한 사람은 금기
- 심장질환자, 뇌압 증가 환자 → 경련 위험성 높음
- 임산부에 금기, 경련가능성 있는 환자에 신중
14.7 미주신경자극
- 간헐적 미주신경 자극이 경련 치료에 도움
14.7.1 적응증
- 간질환자의 치료법
- 우울과 같은 정서장애의 치료
- 불안장애, 비만, 만성통증증후군, 중독, 수면장애 포함 여러 장애의 치료에 효과적
- 알츠하이머 질환자의 인지력 향상
14.7.2 작용기전
- 정확하지 않음
- 신경전달물질 시스템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
14.7.3 부작용
- 자극으로 인한 쉰 목소리
- 인후통, 목의 통증, 두통, 빈호흡 등
- 절개부의 감염, 기침, 목소리 변화, 성대마비, 안면근육 마비, 심박동 변화, 삽입된 기구에 수분축적 등
추천자료
[약물남용문제 현황] 우리나라 마약류사범 현황과 약물남용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및 약물남...
[금연][금연의 약물치료][금연의 방법][금연의 효과][금연정책][금연의 전략]금연의 요인, 금...
[우울증] 우울증의 증상과 유형, 우울증 이론, 우울증 치료방법(우울증의 약물치료와 심리치료)
[울혈성 심부전] 울혈성심부전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영양치료 및 약물치료)
[위염] 위염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 위염 치료방법(위염의 영양치료 및 약물치료)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에이즈) - 후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방법, ...
[위궤양] 위궤양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 위궤양 치료방법(위궤양의 영양치료 및 약물치료)
[허혈성 심질환] 허혈성 심장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방법, 혀혈성 심질환(허혈성심장질환...
[식품알레르기] 식사성 알레르기(음식물알레르기)의 정의와 원인 및 증상, 식품알레르기(음식...
[당뇨병의 진단과 치료] 당뇨병의 진단기준(검사방법), 당뇨병 치료방법(당뇨병의 영양치료, ...
[비만관리-비만개선방법] 비만 치료방법 - 비만 치료의 영양치료, 행동수정요법, 운동요법, ...
[식도질환] 식도질환(식도염)의 종류와 치료방법 - 연하곤란증의 원인과 증상 및 영양치료, ...
[죽상동맥경화증, 이상지질혈증] 죽상동맥경화증과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인자 및 치료방법(영...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사례와 원인, ADHD의 치료(약물치료, 정신사회적 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