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크”의 철학적 사상과 심리학자의 생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로크”의 철학적 사상과 심리학자의 생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존 로크 (John Locke, 1632~1704)
2. 로크의 생애와 업적
3. 가장 영국적인 철학자
4. 이신론과 자연 종교에 대하여
5. 자연 상태와 자연법에 관하여
6. 정치 사회와 사회 계약에 관하여
7. 로크 정치사상의 성격
8. 로크 사상의 영향

본문내용

다른 사람으로부터 아무런 구속이나 폭력행사를 당하지 않는 것이므로 이와 같은 자유는 법이 없는 곳에서는 존재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자유란, 흔히 이야기되고 있는 것처럼, 사람마다 자기가 원하는 대로 행할 수 있는 자유는 아니다. 만일 사람이 다른 사람마다 그때그때의 기분에 의해서 억압을 당한다고 하면 대체 그 누가 자유롭게 될 수 있을까? 바로 이와 같은 이유로 말미암아 자유는 사람마다 자기가 원하는 대로 행할 수 있는 자유가 결코 아니다. 자유라는 것은 자기가 따라야 할 법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자기의 일신과 행위와 재산과 기타의 모든 소유물을 자기가 원하는 대로 처리할 수 있는, 그리고 그렇게 할 경우에 다른 사람의 자의적 의지에는 복종치 않고 자유롭게 자신의 의지에 따라가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법과 자유의 관계는 로크의 글을 통해서 우리는 법과 자유의 관계는 선호를 따질 관계가 아니라, 상호적인 개념이지, 결코 배타적인 개념이 아니라는 사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자유는 법이 허용하는 한에서의 자유이지만, 법은 자유를 보전하며 확대시키는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로크의 자유 개념은 18세기의 계몽주의 시대의 정치 사상가인 몽테스키외와 루소에게 영향을 미친다. 로크의 시대와 이후 계몽주의의 시대에는 절대왕정에 대항하여 자유주의와 민주주의가 구별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었고, 친화력이 극대화되고 상충적인 요소가 극소화되어 상호보완의 관계를 유지했다. 특히 로크에 있어서는 자유와 평등의 개념, 그리고 자연권과 국민주권의 사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었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의 진행에 따라 노동자 계급이 성장함에 따라 그들의 참정권 요구를 둘러싼 자유주의자와 민주주의자의 갈등이 야기된다. 19세기 내내 자유주의자들은 공화정 성립에서 모든 국민의 평등한 참여를 반대했다. 그러나 노동자 계급의 정치 세력에 위협을 느끼고, 노동자 세력이 사회주의 세력으로 포섭되는 것을 방어하기 위해, 한편으로는 노동 시장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민주주의와 타협하여 보통선거를 수용하게 된다. 여성의 참정권이 보장된 것도 이후의 일이었다. 그리하여 오늘날과 같은 자유민주주의의 성립을 가능케 한 것이다. 로크의 통치론에서 입법권과 행정권의 분립은 정부의 권력의 밖에 존재하는 초월적인 원칙이다. 그러므로 국가는 분립권을 빼앗을 수 없다고 했다. 이러한 정치상은 몽테스키외의 3권 분립론에 그대로 연결되어 나타난다. 몽테스키외는 권력의 형성 방법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정부의 체계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영국에서 자유가 있는 것도 사실은 영국의 정부 체계의 장점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영국이 비록 군주정치, 귀족 정치, 민주정치의 원리가 그들의 정부 속에 혼재되어 있다 하더라도 정부의 권력은 상호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가 보장된다는 것이었다. 그 이유에 대해 그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행정권, 입법권, 사법권이 한 개인 혹은 한 집단에 통합되어 있는 곳에서는 자유가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 하면 이러한 집중은 독단적인 전제주의를 낳기 때문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2.03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0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