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과 운동중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학생활과 운동중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운동 참여 증가
1. 현대 사회에 운동 참여 증가
2. 대학교 내 학생들의 운동 참여 증가

Ⅱ. 운동 중독이란?
1. 일반 중독 개념과 중독 행동
2. 운동 중독과 운동 중독의 문제점

Ⅲ. 대학 캠퍼스 내에 운동중독 조사
1. I' PARK 다니는 학생 대상 설문 조사
2. I' PARK 다니는 학우 대상 인터뷰
3. 설문조사와 인터뷰 분석

Ⅳ. 운동 중독에 대한 해결 방안

참고문헌

부 록1. I'PARK 학우 대상 운동중독 설문 조사지
부 록2. 인터뷰 질문지

본문내용

그나마 가벼워지는 느낌이에요. 막상 변한 것은 없어도 마음은 무언가 가벼워진 느낌을 가지게 됩니다.
Q : 어떤 종류에 보충제를 드시나요?
A : 안 먹어요. 제가 근육을 만들려고 하는 게 아니라, 체지방 감량이랑 건강을 위해 하는 거라서 보충제는 안 먹고 있습니다.
Q : 혹시 누군가가 운동을 강제로 못하게 하면 어떻게 반응을 하실 건가요?
A : 솔직히 처음 하루 이틀정도는 편할지 몰라도, 계속 못하게 하면 때릴지도 모르죠. 운동을 하고나서 느끼는 상쾌함을 좋아하는데 못하게 하면 갑갑해서 숨 막힐지도 몰라요.
3. 설문조사와 인터뷰 분석
현재 과학적으로 분석된 결과 인체에 가장 좋은 운동 횟수와 시간은 일주일에 3일정도, 그리고 30분 이상 운동을 하는 것이다. 일주일에 3일이 넘도록 운동을 하게 되면 인체의 면역 기능이 저하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I' PARK에 다니는 학우들의 설문조사 결과와 두 학우의 인터뷰 결과를 분석해 보면 우선 대부분의 학우들이 5회에서 6회 정도 운동을 하고 있으며, 약 2~3시간가량 운동을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운동 횟수나 운동 시간을 가지고는 운동 중독을 나타 낼 순 없다. 하지만 다른 활동보다 우선시 하는 경우나 신체적 불편을 무시하고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는 경우 운동 중독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남여학우의 인터뷰 결과 두학우는 긍정적 운동중독에 넘어 부정적으로 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운동 박탈감에 대한 반응을 보게 되면 설문 조사 중 격하게 반응 하는 것을 보면 이 또한 운동 중독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Ⅳ. 운동 중독에 대한 해결 방안
운동 중독은 그 심각성이 그렇게 대두되지는 않지만, 부정적 운동중독에 심하게 걸릴 경우 일반 중독과 마찬가지로 사회성을 잃게 된다. 이러한 중독을 막기 위해서 대학 캠퍼스 내에서도 활발한 움직임이 필요하다. 우선 그 첫 번째 해결방안으로 I' PARK에 사용 방법을 바꾸는 것이다.
현재 I' PARK에 사용 방법은 학기나 한 달 단위로 계약을 하는 것인데, 한 달일 경우는 2만원 학기로 사용할 경우 8만원에 비용을 내게 된다. 이러한 기간제 사용은 그 기간 안에 많은 시간동안 사용을 해도 별다른 제재가 없다. 특히 아까 인터뷰에서 보았듯이 여학생의 경우 하루에 두 번씩 운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기간제 등록을 시간제로 바꾸게 되면 오히려 운동 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명한 휘트니스 센터인 ‘켈리포니아’나 ‘발리’ 같은 곳은 기간제와 시간제를 둘 다 병행하여 사용 계약을 할 수가 있다. 우리가 현재 다니고 있는 I' PARK에도 기간제보다 시간제로 등록을 하게 하여서 사용을 하게 되면, 그 시간을 하루에 분할해서 사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운동 중독에 걸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학생들의 운동에 대한 교육이다. 현재 사회체육학과 학생들을 제외한 타학과 학생들의 경우 운동에 열중하는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적게는 몇몇의 학우들 많게는 많은 수의 학우들이 올바른 운동방법이나 몸에 효과적인 운동에 대해서 모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의 운동은 똑같은 운동을 하게 되더라도 효과를 느리게 가지고 올 수 있기 때문에 더욱더 집착을 하거나, 무리하게 강도를 높이게 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이 I' PARK에 다니기 전 등록을 할 때 조금한 책자나 유인물을 통하여서 올바른 운동과 몸에 효과적인 운동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운동 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이강헌, 구우영, 정구인, 정용각. 운동행동과 스포츠 심리학. 대한미디어. 2005.
최만식. 스포츠 심리학. 무지개사. 2004.
유연석, 석춘희, 안주미. 스포츠 심리학. 교학연구사. 2002.
심창섭. 스포츠운동 심리학. 광림북하우스. 2007.
Carron, Albert V. 운동심리학. 대한미디어. 2004.
박선기. 모험스포츠참가자의 운동중독. 한국학술정보원. 2005.
김공수.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수준에 따른 목표성향과 몰입경험. 2007.
http://sports.hankooki.com/lpage/newstopic/200603/sp2006031408492758770.htm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250302
부 록1. I'PARK 학우 대상 운동중독 설문 조사지
I' PARK 학우 대상 운동중독 설문조사
이 설문조사는 2007학년도 2학기 사고와표현2 수업 중 과제로 작성 중인 ‘캠퍼스 내에 불고 있는 운동중독바람’ 이라는 주제에 소논문에 연구 자료로 사용되며, 그 외 어떠한 경우라도 개인적인 이유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소논문에 연구에 의한 결론 도출에만 사용될 것을 말씀드립니다.
1. 1주일에 운동 횟수는? ( 회 )
2. 1회 운동시 운동 지속 시간은? ( 시간 )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3. 규칙적으로 스케쥴을 가지고 운동을 하는가?
4. 운동을 하는 것을 다른 활동 보다 우선시 하는가?
5. 운동을 위해서 다른 신체적 불편함을 무시 하는 경항이 있는가?
6., 운동을 하면 할수록 운동 강도를 높이게 되는가?
7. 만약 누군가가 운동을 강제로 못하게 할 경우 어떻게 반응을 할 것인가?
격하게
반응한다.
대화로
해결한다.
무시한다.
운동을
안 한다.
부 록2. 인터뷰 질문지
Q : 평소 운동을 즐겨하시는 것 같은데, 어느 정도 운동을 하시나요?
Q : 운동을 자주 하면 운동 시간이나 강도 같은 것도 많이 늘겠네요?
Q : 평소 운동을 할 때 규칙적인 스케줄을 가지고 고정적인 운동을 하나요?
Q : 운동을 체계적으로 하면 평소 다른 활동보다 운동이 우선시 되는 경우가 생기겠는데요?
Q : 혹시 지금까지 운동을 하면서 몸에 상태가 좋지 않을 때에도 몸 상태를 무시한 채 운동을 한 적이 있으신가요?
Q : 운동을 계속 하면서 어떤 느낌이 들던가요?(몸의 변화 같은 것)
Q : 어떤 종류에 보충제를 드시나요?
Q : 혹시 누군가가 운동을 강제로 못하게 하면 어떻게 반응을 하실 건가요?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2.03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04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