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판단기준
2. 임금성을 가질 것
3. 근로자에게 지급하기로 정하여진 것
4. 소정근로 또는 총근로에 대해 지급되는 것
5.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것
2. 임금성을 가질 것
3. 근로자에게 지급하기로 정하여진 것
4. 소정근로 또는 총근로에 대해 지급되는 것
5.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것
본문내용
제외에 대한 노사간 합의의 효력
통상임금에 산입되어야 할 각종 수당을 통상임금에서 제외하기로 하는 노사간의 합의는 근기법에서 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근로조건에 정한 계약으로서 무효이다. 이러한 합의를 인정하게 되면 연장·야간·휴일근로에 대하여 가산임금을 지급하고, 해고근로자에게 일정한 수당을 지급하도록 규정한 취지가 몰각될 것이기 때문이다(判).
통상임금에 산입되어야 할 각종 수당을 통상임금에서 제외하기로 하는 노사간의 합의는 근기법에서 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근로조건에 정한 계약으로서 무효이다. 이러한 합의를 인정하게 되면 연장·야간·휴일근로에 대하여 가산임금을 지급하고, 해고근로자에게 일정한 수당을 지급하도록 규정한 취지가 몰각될 것이기 때문이다(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기업의 연봉제 도입현황과 효율적 운영
산업재해보상보험에 대하여...
성과 배분제도에 대하여...
노동과 노사관계-비정규직 문제
임금관리의 공정성이론에 대하여
[장애][차별][장애인 인권보장][장애인 고용차별][임금차별][차별금지규제][장애인차별]장애...
베트남시장에서 한국의 수출경쟁력분석과 한국기업의 성공적 진출 방안
[물리치료][물리치료사]물리치료의 개념, 물리치료의 특성, 물리치료의 목적, 물리치료의 방...
사회복지-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대하여
EITC(근로장려세제, 근로소득보전세제) 개념과 필요성, EITC(근로장려세제, 근로소득보전세제...
[고용보장] 현행 고용보장체계 및 고용보장의 개념과 문제점 및 개선과제
1989년(1980년대) 연금제도, 1989년(1980년대) 동독개혁, 1989년(1980년대) 아동권리협약, 19...
연봉제의 개념과 장단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