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영이란 무엇인가?
2. 수영의 역사적 배경
3. 수영의 역사적 기록
4. 수영의 경기 종목
5. 경기 규칙 및 종류
6. 수영의 특성과 효과
참고 문헌
2. 수영의 역사적 배경
3. 수영의 역사적 기록
4. 수영의 경기 종목
5. 경기 규칙 및 종류
6. 수영의 특성과 효과
참고 문헌
본문내용
했을 것이고, 먹기 위해서도 마찬가지로 한 마을에서 열매나 고기 등이 부족해지면 물을 건너 다른 곳으로 이주해야 하는 결과가 있었을 것이다. 또한 이외에도 맹수들의 침입이나 부락간의 전쟁 등 여러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존수영이 필연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것으로 추측된다.
3. 수영의 역사적 기록
인간이 지상에 나타난 이래 문명의 역사는 5,000년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그런데 인간은 개나 말 등의 동물처럼 본능적으로 헤엄칠 수 없으므로 일정 기간 물에서 자의든 타의든 터득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이를 보면 인간이 언제부터 헤엄을 배웠는지 명확히 알 수는 없지만, 고대 벽화 등을 통해 나타난 기록 등을 보면 문명의 발달로 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한 시대보다도 훨씬 먼 옛날부터 헤엄을 배워 생활에 이용하였다는 것은 확실하다.
수영과 관련한 다양한 역사적 자료 등은 많은 학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연구, 분석을 통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어느 학자에 의하면 수중 생활에 부적합한 인간이 헤엄을 칠 수 있게 된 동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예로 설명하고 있다.
본래 원숭이는 물에 들어가지 않는 동물이다. 그러나 미야사끼시 사찌섬의 일본 원숭이는 고구마를 물에 씻기도 하고 헤엄치는 문화를 가지고 있는 원숭이로서 유명하다. 이 원숭이는 바다로 둘러싸인 섬에 살고 있으면서 처음에는 물에 들어가 헤엄치는 일이 없었다. 그런데 인간에게 길들어져 사람이 주는 먹이를 먹게 되고 모래가 묻은 고구마를 물에 씻는 것을 흉내 내는 동안 물과 익숙해져 물위에 떠다니는 먹이(땅콩)를 줍기 위해 처음으로 헤엄치기 시작했다. 그 후 떼를 지어 헤엄치게 되고 해초 등을 따면서 이제는 단순히 먹이를 줍기 위해 바다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피서와 놀이를 위하여 물속에서 노는 재미 때문에 헤엄치게 되었다고 한다. 이 섬 원숭이의 행동에서 유추해 보면 아마 인간도 이러한 연유 등에 의해 어떠한 방식으로든 물가에서 헤엄칠 수 있게 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해녀 등에 의해 아득히 먼 옛날부터 헤엄이 행하여져 왔으며 지금은 다소 해녀들을 보기가 쉽지 않지만 아직도 도서벽지의 일부에서는 생업에 종사하는 해녀들의 수중활동은 볼 수 있다.
체육 발전사를 보면 고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항상 그 시대의 생활이나 사회적 조건의 영향을 받아 왔다고 할 수 있는데 수영도 물론 예외는 아니다. 이를테면 생활수단, 전투수단, 신체 단련의 수단 등으로 그 목적이 시대에 따라 달라져 왔다. 수영을 처음으로 시작했다는 인간이 물 가까이 살고 있었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지 않지만 그곳이 과연 어는 지점이냐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치 않으나, 고대 문명이 발달한 지역이다 하는 설도 있다. 그것은 현재 설명되어 있는 자료에 의한 것뿐으로서 긍정도 부정도 할 수 없다고 밖에 말할 수 없을 것이다.
1) 수영에 대한 역사상의 기록
● BC 9,000년의 리비아 사막의 와디소리 벽화에 수영의 그림이 알려진 것이 최초기록이다.
● BC 2,400년경 인도 인더스강 유역에서 문명이 발달했고, 모헨조다로의 유적 속에 헤엄을 할 수 있는 수영장(Pool)이 발견되었다.
● BC 880년경 앗시리아의 왕 유적 중에 유명한 석각에는 적에 쫓겨서 자 기편 성내로 향해 3명이 도랑을 헤엄치면서 도망가는 장면이 있다.
● BC 700년경에는 구약성서에 평영을 사영하였던 기록이 있고 이집트인은 평영을 이미 알고 있었다.
● BC 220년경 한나라의 연계라는 사람이 개구리의 영법을 연구하여 연계 수술이라는 체계적인 영법을 고안하였다.
● 1538년 독일의 언어학 교수 빈만(Nicolaus Wynman)이 “콜럼브”라는 수 영 전문의 수영 교본을 최초로 발간되었다.
● 1774년 로얄 휴만 소사이어티(Royal Human Society)라는 수난 구조 단 체를 조직 하고 인명 구조법을 사용하였다.
● 1837년에는 영국의 내셔널 수영 협회가 발족되었고, 유니버셜 레이스라 는 경기를 통하여 수상경기가 보급되었다.
● 1864년 수영장의 풀(Pool) 건설을 위한 욕장법 제정, 욕장법에 의해 런 던에 1874년경에는 40여개의 풀(Pool)이 건립 보급되었다.
● 1869년 영국의 아마추어 수영 협회가 창립되었다.
2) 한국 수영의 역사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이고 하천이 많은 우리나라는 헤엄치는 것이 일찍이 성행되었으리라 짐작 된다. 문헌에 기록된 것을 찾아보면 삼국사기 장보고 전에서 “정년이 수영에 능하여 바다에서 50리를 수영할 수 있는 능력을 가
3. 수영의 역사적 기록
인간이 지상에 나타난 이래 문명의 역사는 5,000년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그런데 인간은 개나 말 등의 동물처럼 본능적으로 헤엄칠 수 없으므로 일정 기간 물에서 자의든 타의든 터득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이를 보면 인간이 언제부터 헤엄을 배웠는지 명확히 알 수는 없지만, 고대 벽화 등을 통해 나타난 기록 등을 보면 문명의 발달로 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한 시대보다도 훨씬 먼 옛날부터 헤엄을 배워 생활에 이용하였다는 것은 확실하다.
수영과 관련한 다양한 역사적 자료 등은 많은 학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연구, 분석을 통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어느 학자에 의하면 수중 생활에 부적합한 인간이 헤엄을 칠 수 있게 된 동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예로 설명하고 있다.
본래 원숭이는 물에 들어가지 않는 동물이다. 그러나 미야사끼시 사찌섬의 일본 원숭이는 고구마를 물에 씻기도 하고 헤엄치는 문화를 가지고 있는 원숭이로서 유명하다. 이 원숭이는 바다로 둘러싸인 섬에 살고 있으면서 처음에는 물에 들어가 헤엄치는 일이 없었다. 그런데 인간에게 길들어져 사람이 주는 먹이를 먹게 되고 모래가 묻은 고구마를 물에 씻는 것을 흉내 내는 동안 물과 익숙해져 물위에 떠다니는 먹이(땅콩)를 줍기 위해 처음으로 헤엄치기 시작했다. 그 후 떼를 지어 헤엄치게 되고 해초 등을 따면서 이제는 단순히 먹이를 줍기 위해 바다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피서와 놀이를 위하여 물속에서 노는 재미 때문에 헤엄치게 되었다고 한다. 이 섬 원숭이의 행동에서 유추해 보면 아마 인간도 이러한 연유 등에 의해 어떠한 방식으로든 물가에서 헤엄칠 수 있게 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해녀 등에 의해 아득히 먼 옛날부터 헤엄이 행하여져 왔으며 지금은 다소 해녀들을 보기가 쉽지 않지만 아직도 도서벽지의 일부에서는 생업에 종사하는 해녀들의 수중활동은 볼 수 있다.
체육 발전사를 보면 고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항상 그 시대의 생활이나 사회적 조건의 영향을 받아 왔다고 할 수 있는데 수영도 물론 예외는 아니다. 이를테면 생활수단, 전투수단, 신체 단련의 수단 등으로 그 목적이 시대에 따라 달라져 왔다. 수영을 처음으로 시작했다는 인간이 물 가까이 살고 있었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지 않지만 그곳이 과연 어는 지점이냐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치 않으나, 고대 문명이 발달한 지역이다 하는 설도 있다. 그것은 현재 설명되어 있는 자료에 의한 것뿐으로서 긍정도 부정도 할 수 없다고 밖에 말할 수 없을 것이다.
1) 수영에 대한 역사상의 기록
● BC 9,000년의 리비아 사막의 와디소리 벽화에 수영의 그림이 알려진 것이 최초기록이다.
● BC 2,400년경 인도 인더스강 유역에서 문명이 발달했고, 모헨조다로의 유적 속에 헤엄을 할 수 있는 수영장(Pool)이 발견되었다.
● BC 880년경 앗시리아의 왕 유적 중에 유명한 석각에는 적에 쫓겨서 자 기편 성내로 향해 3명이 도랑을 헤엄치면서 도망가는 장면이 있다.
● BC 700년경에는 구약성서에 평영을 사영하였던 기록이 있고 이집트인은 평영을 이미 알고 있었다.
● BC 220년경 한나라의 연계라는 사람이 개구리의 영법을 연구하여 연계 수술이라는 체계적인 영법을 고안하였다.
● 1538년 독일의 언어학 교수 빈만(Nicolaus Wynman)이 “콜럼브”라는 수 영 전문의 수영 교본을 최초로 발간되었다.
● 1774년 로얄 휴만 소사이어티(Royal Human Society)라는 수난 구조 단 체를 조직 하고 인명 구조법을 사용하였다.
● 1837년에는 영국의 내셔널 수영 협회가 발족되었고, 유니버셜 레이스라 는 경기를 통하여 수상경기가 보급되었다.
● 1864년 수영장의 풀(Pool) 건설을 위한 욕장법 제정, 욕장법에 의해 런 던에 1874년경에는 40여개의 풀(Pool)이 건립 보급되었다.
● 1869년 영국의 아마추어 수영 협회가 창립되었다.
2) 한국 수영의 역사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이고 하천이 많은 우리나라는 헤엄치는 것이 일찍이 성행되었으리라 짐작 된다. 문헌에 기록된 것을 찾아보면 삼국사기 장보고 전에서 “정년이 수영에 능하여 바다에서 50리를 수영할 수 있는 능력을 가
추천자료
사이클(자전거)에 대하여..(역사, 종목, 상해의 종류)
윈드 서핑의 역사와 경기규칙
수영의 규칙과 시설및 용구
[모든학과] 볼링의 역사, 경기방법, 용어에 관한 보고서
수영동작 평영(Breaststroke)
스키 완벽정리 (개요, 역사, 스키종류, 경기, 기술, 원리)
스키 완벽정리 (역사, 스키종류, 경기, 기술, 원리)
스쿼시의 역사와 장비 기본동작 및 경기방법
3)체육-2-2. 물살을 가르며 - 수영장 안전 수칙 및 위급 상황 대처 방법 알기
이론적배경-수영선수의 경쟁상태불안 수준의 관한 연구
[체육사]승마의 기원과 역사, 경기방법과 용어
수영 보고서 - 배영에 관해서
수영水泳 레포트-수영법과 효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