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퇴해가는 명절문화의 이해와 발전 전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전통 추석문화
1) 음식
2) 놀이문화
3) 예절
(1) 차례 지낼 때 절하는 법
(2) 한복 입을 때 주의할 점

3. 현 추석 문화
1) 음식
2) 놀이문화
3) 예절

4. 추석 문화가 변하게 된 원인
1) 추석에 대해 느끼는 남녀별 차이 :
2) 종교적 이유 :
3) 경제적 변화

5. 제대로 된 추석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발전 전망

본문내용

해 보았다. 귀향길에서 쌓이는 스트레스와 그 이외의 스트레스를 받는 것 대신 여행을 택하는 것이 많은 사람들의 추석 풍경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은 이 카페를 둘러보고 이 카페에서 실시하고 있는 설문조사 결과를 보고 잘 알 수 있었다. 카페싱글즈(www.cafe singles.co.kr)가 추석 연휴에는 무엇을?이란 질문의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반 이상이 여행 항목을 택했다. 그 다음으로 많이 택한 답은 애인과 함께였다. 이어 고향 방문이 3위를 차지했으며 가족 친지와 함께와 친구와 함께 그리고 방콕(방 안에 콕의 준말로 집에서 꼼짝 않고 있는 것)을 선택한 사람은 전체 응답자의 10%를 넘지 않았다. 이 결과를 종합해 보면 추석 때 애인과 함께 여행하는 것을 가장 즐긴다가 정답인 것 같다.
이외에도 이런 생각들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은 더욱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호텔에서 화려한 파티를 즐기겠다는 사람들도 있고, 그냥 현 자리에서 평소시간에 쫓겨서 즐기지 못했던 문화생활을 즐기겠다는 사람도 있다. 이런한 사람들이 늘어나자 일부 호텔측에서는 평소의 반값에 패키지 상품을 내어놓는 마케팅을 선보이고 있다. 패키지 상품의 내용을 보면 디럭스룸 1박에 휘트니스 클럽, 사우나, 수영장 모두 해서 13만원에 예약가능하다. 휴양지에 온 것처럼 푹 쉬고 나서 저녁 때 방에 모여 파티를 열고 새벽까지 나이트클럽에서 놀 계획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다고 한다.
“추석”보다는 “자유”를 더 갈구하는 사람들이 늘어 가고 있는 것이다.
온라인 상에서의 만남으로 시작해 오프라인으로 옮겨오는 것이다. 이렇듯 비슷한 생각들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생기면 앞으로의 명절은 지금과는 사뭇 다른 모습의 명절이 될 것이다.
예전부터 우리나라는 유교정신이 근본이 되어 대부분의 생활풍습과 문화가 형성되어져 왔다. 하지만 구한말이후 외국의 종교들이 전파되기 시작해 지금은 서구의 종교인 기독교가 우리국민의 3/1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나 또한 기독교인이다. 그래서 추석 때 큰집에서 제사지낼 때 절을 하지 않는다. 여기 까지는 별 문제가 생기기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는 의외로 크게 번지게 된다. 예를 들어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장손이 뒤를 이어 제사를 지내게 된다. 그치만 장손은 성인이 된 후 기독교인이 되었다. 그래서 자기 집에서 제사를 모시지 않겠다고 한다. 그때부터 다른 형제친척들과의 불화가 시작된다. 이러한 경우를 많이 보았다. 심지어 나중에는 서로 왕래마저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들이 이제는 심각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나 또한 기독교인이지만 과감히 말하고 싶다. 제사를 지내는 것만이 전부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명절과 제사 등이 있기 때문에 흩어졌던 가족이 모일 수 있고, 그 관계를 유지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절도 안하는 놈이 제사에는 왜와?”, “제사지내는데 내가 갈 필요가 뭐가 있어?”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가족이라는 친척이라는 끈을 우리 스스로의 편협한 생각에 빠져서 끊어서는 안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3.02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5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