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SS를 이용한 기초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PSS를 이용한 기초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SPSS를 이용한 기초분석
1. 그래프와 도표를 이용한 자료요약
- 주어진 자료를 도표나 그래프의 형태로 정리 요약하면 자료에 내포된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대칭 혹은 비대칭의 정도, 대부분의 자료로부터 동떨어진 이상점의 유무, 그리고 상대적으로 많은 자료가 분포되어 있는 봉우리의 위치 등 자료의 대략적인 분포 형태 및 특성을 파악 할 수 있다.
* 자료에 대한 요약 또는 분석하는 방법은 그 자료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분석하고자 하는 자료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 통계학에서 다루는 자료는 그 성격에 따라 크게 질적자료와 양적 자료로 나눌 수 있다.
· 질적자료
-질적 자료를 도표나 그래프로 요약하는 기법으로서는 도수 분포표, 원 그래프, 막대 그래프 등을 들 수 있다.
(1) 도수분포표
분석 -> 기술통계량 -> 빈도분석 -> 빈도표 출력 클릭
- 질적 자료의 정리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도수 분포표는 관측치의 빈도수 뿐만 아니라, 상대도수, 누적도수, 누적 상대도수 등을 구할 수 있다.
->
-도수분포표는 빈도분석 프로시저에서 「빈도표출력」이라는 옵션을 통해서 나타낼 수 있다.
(2) 원도표
그래프 -> 원도표
- 질적 자료를 요약하기 위한 그림으로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하나의 원판을 해당되는 자료의 비율만큼씩 나누어 그 비율과 함께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원형 그래프는 각 영역별로 조각난 형태 등 그 모양을 다양하게 그릴 수 있다.
->
(3) 막대도표
그래프 -> 막대도표
- 원형 그래프의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는 그래프로 각 범주의 관측 도수(또는 상대도수)에 비례하는 막대를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나타낸 것이다.
->
->
· 양적자료
- 양적 자료를 도표나 그래프로 요약하는 기법으로서는 줄기-잎 그림, 도수 분포표, 히스토그램 등이 있다.
(1) 줄기-잎 그림
분석 -> 기술통계량 -> 데이터 탐색
- 유명한 통계학자 터키가 소개한 방법으로 양적 자료의 경우에 관측값의 범위, 분포의 모양, 집중도 등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자료값을 줄기와 잎으로 나누어 표현한 그림이다.
->
(2) 도수분포표
분석 -> 기술통계량 -> 빈도분석 -> 빈도표 출력 클릭
- 양적자료도 자료를 집단화 하여 질적 자료의 형태로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집단화 과정을 한 후 도수분포표를 나타낼 수 있다.
->
(3) 히스토그램
그래프 -> 히스토그램
- 양적자료를 그림으로 요약하는 방법 중의 대표적인 것으로 그 역할은 줄기-잎 그림과 비슷하며, 앞에서 작성된 도수 분포표에 기초하여 작성될 수 있다. 히스토그램은 도수 분포표에서 해당되는 계급의 상대도수를 높이로 하는 막대로 분포의 형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
* 1. 에서는 여러 가지 통계량을 이용하여 자료를 요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제는 SPSS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통계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2. 빈도분석
분석 -> 기술통계량 -> 빈도분석
- 빈도분석은 수집된 자료(양적자료, 질적자료 모두 사용가능)들이 어떠한 분포를 갖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이용한다. 이들 분포들의 특성인 통계량들은 도수분포표 상에서 어떠한 분포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
-> 「통계량」옵션을 이용하여 분포를 파악
->「도표」옵션을 이용하여 분포를 파악
3. 기술통계분석
분석 -> 기술통계량 -> 기술통계
- 기술통계분석은 빈도분석보다는 간단한 형태의 분석이다. 빈도분석은 양적자료와 질적자료 모두를 다룰 수 있는데 반해 기술통계분석은 질적자료에는 부적절하다. 기술통계분석에서는 변수값을 표준화값으로 변환해서 변수로 저장할 때 사용된다. 표준화값을 계산한 후 데이터 편집기에 추가되어 표준화값에 대한 도표나 상대적인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 (표준화값이란 데이터에서 한 값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표준화값를 이용한다. 표준화값은 평균을 0으로 만들고 표준편차가 1이 되도록 데이터들을 변환하는 작업이다. )
->
->「옵션」창을 통해서 평균, 최소값, 분산, 최대값, 첨도, 왜도 등을 구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3.08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82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