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즉 밴딩에 관한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결찰술도 경화요법만큼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2) 정맥 vasopressin
100 units의 vasopressin을 250 ml의 5% 포도당용액에 혼합하여서(0.4 units/ml) 미세주입펌프를 통해서 중심 도는 말초정맥을 통하여서 다음과 같이 투여하는 것이다 : 0.3 units/min, 30분 투여후 지혈이 될 때까지, 부작용이 나타날때까지 또는 최대용량인 0.9 units/min에 도달할 때까지 30분 간격으로 0.3 units/min씩 증량한다. Nitroglycerin을 동시에 정맥으로 투여하면 심혈관계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관상동맥질환이 있거나 혈관질환이 있는 경우는 nitroglycerin의 사용을 늘 고려해야 하는데 수축기 혈압이 100mmHg 이상일 때만 투여할 수 있다. 합리적인 용량은 10 g/min IV로 시작해서 수축기혈압이 100 mmHg까지 떨어지거나 최대용량인 400 g/min에 도달할 때까지 10∼15분 간격으로 10 g/min씩 증량해 나가는 것이다. IV octreotide acetate(somatostatin 유사체)도 급성정맥류출혈환자에서 문맥압을 낮추기 위해서 사용되며, vasopressin과 비슷한 효용성을 보이나 부작용은 적다.
3) 풍선 탐폰
Sengstaken-Blakemore관을 삽입하여 지혈시킬 수 있는데 S-B tube 삽입 전에는 필히 tube 기능을 재확인하여야 하며, tube 삽입 후 gastric balloon에는 약 200cc 정도의 공기를 주입하고, tension은 N/S 500cc bottle에서 약 150 내지 200cc 만 남긴 정도로 하며 lubrication에 유의하여야 한다. S-B tube는 48시간까지 사용 할 수 있으며, 지속하여 사용시는 esophageal laceration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4) 수술
Portocaval or distal splenorenal shunt를 시행하면 95%의 환자에서 정맥류출혈을 조절한다. 하지만 수술에 따른 치사율이 높고, 수술 후 상당수에서 간성혼수가 나타난다.
5)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TIPS)는 수술적 션트에 해당하는 방사선시술이다. 방법은 간정맥과 문맥사이에 금속성 스텐트를 삽입하는 것이다.
6) Propranolol과 nadolol은 충분한 용량을 사용해서 휴식시 심박수를 25% 감소시키면, 전체 생존율은 줄이지 못하나, 대정맥류 환자의 정맥류출혈이나 반복적 출혈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3. Mallory-Weiss 파열
위식도접합부위에서의 점막파열이다. 대부분의 환자에서는 대개 출혈이 저절로 멎으며, 출혈이 재발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4. 스트레스성 궤양
중환자실 환자의 흔한 위장관출혈 원인이다. 위험도가 높은 환자로는 두부손상, 화상, 주요손상, 쇽, 패혈증, 호흡부전, 응고장애와 집중치료를 요하는 중추신경계질환이 있다. 위험성이 있는 모든 환자에서 예방적인 치료를 시행한다.
5. 혈관이형성(Angiodysplasia)
위장이나 소장에 발생하며 대량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진행성 출혈병소는 치료적 내시경으로 조치한다. Estrogen과 progesterone을 병용하면 출혈횟수와 수혈요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 참고문헌
* http://ww.web.snuh.org/~module/internal/03.115. html
* 성인 간호학, 전시자 외, 2001, 현문사
* 성인 간호학, 서문자 외, 2000, 수문사
*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2003
2) 정맥 vasopressin
100 units의 vasopressin을 250 ml의 5% 포도당용액에 혼합하여서(0.4 units/ml) 미세주입펌프를 통해서 중심 도는 말초정맥을 통하여서 다음과 같이 투여하는 것이다 : 0.3 units/min, 30분 투여후 지혈이 될 때까지, 부작용이 나타날때까지 또는 최대용량인 0.9 units/min에 도달할 때까지 30분 간격으로 0.3 units/min씩 증량한다. Nitroglycerin을 동시에 정맥으로 투여하면 심혈관계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관상동맥질환이 있거나 혈관질환이 있는 경우는 nitroglycerin의 사용을 늘 고려해야 하는데 수축기 혈압이 100mmHg 이상일 때만 투여할 수 있다. 합리적인 용량은 10 g/min IV로 시작해서 수축기혈압이 100 mmHg까지 떨어지거나 최대용량인 400 g/min에 도달할 때까지 10∼15분 간격으로 10 g/min씩 증량해 나가는 것이다. IV octreotide acetate(somatostatin 유사체)도 급성정맥류출혈환자에서 문맥압을 낮추기 위해서 사용되며, vasopressin과 비슷한 효용성을 보이나 부작용은 적다.
3) 풍선 탐폰
Sengstaken-Blakemore관을 삽입하여 지혈시킬 수 있는데 S-B tube 삽입 전에는 필히 tube 기능을 재확인하여야 하며, tube 삽입 후 gastric balloon에는 약 200cc 정도의 공기를 주입하고, tension은 N/S 500cc bottle에서 약 150 내지 200cc 만 남긴 정도로 하며 lubrication에 유의하여야 한다. S-B tube는 48시간까지 사용 할 수 있으며, 지속하여 사용시는 esophageal laceration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4) 수술
Portocaval or distal splenorenal shunt를 시행하면 95%의 환자에서 정맥류출혈을 조절한다. 하지만 수술에 따른 치사율이 높고, 수술 후 상당수에서 간성혼수가 나타난다.
5)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TIPS)는 수술적 션트에 해당하는 방사선시술이다. 방법은 간정맥과 문맥사이에 금속성 스텐트를 삽입하는 것이다.
6) Propranolol과 nadolol은 충분한 용량을 사용해서 휴식시 심박수를 25% 감소시키면, 전체 생존율은 줄이지 못하나, 대정맥류 환자의 정맥류출혈이나 반복적 출혈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3. Mallory-Weiss 파열
위식도접합부위에서의 점막파열이다. 대부분의 환자에서는 대개 출혈이 저절로 멎으며, 출혈이 재발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4. 스트레스성 궤양
중환자실 환자의 흔한 위장관출혈 원인이다. 위험도가 높은 환자로는 두부손상, 화상, 주요손상, 쇽, 패혈증, 호흡부전, 응고장애와 집중치료를 요하는 중추신경계질환이 있다. 위험성이 있는 모든 환자에서 예방적인 치료를 시행한다.
5. 혈관이형성(Angiodysplasia)
위장이나 소장에 발생하며 대량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진행성 출혈병소는 치료적 내시경으로 조치한다. Estrogen과 progesterone을 병용하면 출혈횟수와 수혈요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 참고문헌
* http://ww.web.snuh.org/~module/internal/03.115. html
* 성인 간호학, 전시자 외, 2001, 현문사
* 성인 간호학, 서문자 외, 2000, 수문사
*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2003
키워드
추천자료
angio(혈관) 질환 스텐트
oncology emergency
성인간호- 내과적 진단의 종류
[간호]특수검사와 간호
[신생아 중환자실]신생아 가사 ( Neonatal asphyxia ), 황달 케이스 스터디
내과 검사
case study GIF[Gastrofiberscopc]내시경실
성인간호학 [혈액과 조혈기관장애 ppt]
성인간호학[혈액과 조혈기관장애]
성인간호학 질병정리
내시경 요법 (진단적 내시경, 치료내시경 전부)
내시경 검사의 종류와 검사 전,후 간호
만성 췌장염(Chronic pancreatitis) Case study
산과병동내 사용 약물정리 & 시행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