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감염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병원 감염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병원감염의정의
병원감염의기준
병원감염요인
전파방식
병원감염예방

본문내용

ging & breating을 하도록 하고, 환자 상태가 가능하면 침대에서 움직이도록 한다.
(2) Respiratory secretion을 만지게 될 경우에는 장갑 사용 유무에 관계없이 반드시 손을 씻는다.
(3) Routine Suction시에는 sterile gloves가 필요치 않으나 새로 시행한 tracheostomy 의 간호 시에는 sterile gloves를 착용해야 한다.
(4) 인공호흡기, 가습기, wall O2의 가습기에는 반드시 멸균된 용액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5) 환자의 차트에는 배출되는 객담의 양과 색깔을 기록한다.
(6) Tubal feeding을 하는 환자는 머리 부분을 높여 주고 주입해야 하며, feeding후에는 잠시 그 상태를 유지해 준다.
(7) Aspiration 위험이 있는 환자는 상체를 올려주거나 머리를 옆으로 하여 먹이도록 한다.
6) 기관절개 환자의 감염 예방
(1) 기관절개는 응급 시를 제외하고는 수술장에서 무균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2) 기관절재부위는 상처가 아물거나 granulation이 형성되기까지는 반드시 양손에 멸균 장갑을 사용하거나 "No touch technique"으로 기관절개부위를 만져야 한다.
(3) 기관절개튜브의 교환 시에는 high level disinfectant로 소독된 tube를 사용하고 멸균된 장갑과 방포를 사용하여 무균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7) 기타
(1) 복장은 청결히 하고 간호복은 2일마다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창문에는 방충망을 하여 병충에 의한 감염ㅇ르 막고 방역을 매주 실시하여 곤충에 의한 오염을 줄인다.
(3) 전염성 질환자는 적절한 격리법을 적용한다.
(4) 음식물에 의한 전염이 우려되는 질환자(수인성 질환, 간염 등)는 영양과에 소독상을 신청한다.
소독상 신청질환 : 살모넬라증, 장티푸스, 이질, 콜레라, A형 간염, 폐결핵, 또는 설사로 입원하여 검사결과가 위의 질병이 아니라고 판명될 때까지
(5) 오염된 린넨은 오염 용기에 모았다가 비닐 봉지에 넣어 세탁장에 보낸다.
(6) 주사기는 이로히용을 사용하며 주사침은 뚜껑을 씌우지 말고 따로 모은다.
오염된 기구는 "오염" 표시하여 중앙공급실로 보낸다.
(7) 감염에 노출된 직원은 적절한 예방 대책을 한다.
(8) 전염성 검체는 노란 라벨을 부착하여 취급시 주의한다.
(9) 신규 직원은 B형 간염 항체 검사를 하여 음성일 경우 예방 접종을 실시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25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39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