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다운즈 이론의 기본전제
Ⅲ. 투표행위의 논리구조
Ⅳ. 불확실성의 도입에 따른 초기 문제
Ⅴ. 다당제에서의 변화
Ⅵ. 결 론
Ⅱ. 다운즈 이론의 기본전제
Ⅲ. 투표행위의 논리구조
Ⅳ. 불확실성의 도입에 따른 초기 문제
Ⅴ. 다당제에서의 변화
Ⅵ. 결 론
본문내용
차를 발견한다. 이러한 정당간 효용차가 여러 경쟁하는 정당들 사이에서 그의 선호를 결정한다.
(2) 양당제에서 유권자는 그가 선호하는 정당에 투표한다. 그러나 다당제에서는 유권자가 선호하는 정당이 승리의 가능성이 있을 때 그 정당에 표를 던지거나, 선호정당의 승리 가능성이 거의 없을 때 가장 싫어하는 정당의 승리를 저지하기 위해 승리의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다른 정당에 투표하거나, 만약 유권자가 미래지향적이라면 미래에 자신에게 제시되는 대안을 향상시키기 위해 현재는 승리의 가능성이 전혀 없는 정당에 지지를 보낼 수 있다.
(3) 가장 좋아하는 정당이 최소한 둘 이상이기 때문에 유권자가 선호를 정할 수 없다면, 만약 두 정당이 서로 다른 정강정책 또는 서로 다른 실행 정책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열을 가리지 못하고 교착상태에 있다면 그는 기권하거나, 두 정당이 똑같은 정강정책과 실행정책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착상태에 있다면 집권당의 수행률을 이전에 집권했던 정당들의 그것과 비교하여, 집권당이 일을 잘했다면, 그는 집권당에 투표하겠지만 만약 일을 잘못했다면 반대당에 투표를 할 것이다. 그리고 집권당이 수행률이 좋은 것도 나쁜것도 아니라면 기권한다.
(2) 양당제에서 유권자는 그가 선호하는 정당에 투표한다. 그러나 다당제에서는 유권자가 선호하는 정당이 승리의 가능성이 있을 때 그 정당에 표를 던지거나, 선호정당의 승리 가능성이 거의 없을 때 가장 싫어하는 정당의 승리를 저지하기 위해 승리의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다른 정당에 투표하거나, 만약 유권자가 미래지향적이라면 미래에 자신에게 제시되는 대안을 향상시키기 위해 현재는 승리의 가능성이 전혀 없는 정당에 지지를 보낼 수 있다.
(3) 가장 좋아하는 정당이 최소한 둘 이상이기 때문에 유권자가 선호를 정할 수 없다면, 만약 두 정당이 서로 다른 정강정책 또는 서로 다른 실행 정책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열을 가리지 못하고 교착상태에 있다면 그는 기권하거나, 두 정당이 똑같은 정강정책과 실행정책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착상태에 있다면 집권당의 수행률을 이전에 집권했던 정당들의 그것과 비교하여, 집권당이 일을 잘했다면, 그는 집권당에 투표하겠지만 만약 일을 잘못했다면 반대당에 투표를 할 것이다. 그리고 집권당이 수행률이 좋은 것도 나쁜것도 아니라면 기권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