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자율을 사용했을때 결과는,
lnM2t = 1.4145 +0.4946lnRGDPt - 0.0516lnLTRATEt
se = (1.3174) (0.2686) (0.1501)
R2 = 0.7270
소득 탄력도는 각각 0.5343과 0.4946이고 이자율 탄력도는 -0.0255와 -0.0516이다. 장기와 단기의 소득 탄력도와 이자율 탄력도는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회귀분석을 사용할 때 단기 이자율이 더 적합한 통계적인 결과를 나타낸다.
b. Instead of estimating the above demand function, suppose you were to fit the function (M/Y)t = a1rta2eut. How would you interpret the results? Show the necessary calculations.
-> M/GDP는 소득에 대하여 사람들이 화폐의 형태로 얼만큼의 통화를 가지고 있기를 바라는 정도이다. 이 비율은 화폐를 소유하고 있음으로서 발생하는 기회비용인 이자율에 민감하다.
회귀분석의 결과를 보면,
ln(M/Y)t = 3.4785 - 0.1719lnTBRATEt
se = (0.0780) (0.0409) R2 = 0.5095
ln(M/Y)t = 3.8318 - 0.3123lnLTRATEt
se = (0.1157) (0.0532) R2 = 0.6692
두 모형 모두다 선험적 기대에 일치하게 이자율은 (-)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수치상으로 보면, 단기 이자율보다 장기 이자율이 더 민감함을 알 수 있다. 두 모형의 종속변수가 같기 때문에, R2값을 사용해서 장기 이자율이 회귀분석에 더 적합하다고 본다.
c. How will you deside which is a better specification?
->8단원에서 풀 문제
7.22 Table 7.11 gives for the manufacturing sector of the Greek economy for the period 1961-1987
a. See if the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fits the data given in the table and interpret the results. What general conclusion do you draw?
->선험적 기대에 맞게 output/labor와 output/capital는 둘다 (+)의 탄력도를 가진다. 하지만 이 결과만으로 경제학적인 일반론을 펼칠 수는 없다. 자본의 투입량이 늘 항상 생산품 산출량을 만들어 내지는 못하고 노동의 투입량이 언제나 생산품의 산출량을 만들어 내지 못한다.
b. Now consider the following model:
Output/labor = A(K/L)βeu
where the regressand represents labor productivity and the regressior represents the capital labor ratio. What is the economic significance of such a relationship, if any? Estimate the parameters of this model and interpret your results.
->주어진 capital/labor 비율과 output/labor 비율의 탄력도가 약0.6808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capital/labor 비율의 가중평균이 1% 증가하면, 노동생산성이 약 0.6808% 증가 한다는 것이다.
계량경제학
7장 연습문제
담당교수 : 이승준교수님
학과 : 경영학부
학번 : 200310060
이름 : 김은진
lnM2t = 1.4145 +0.4946lnRGDPt - 0.0516lnLTRATEt
se = (1.3174) (0.2686) (0.1501)
R2 = 0.7270
소득 탄력도는 각각 0.5343과 0.4946이고 이자율 탄력도는 -0.0255와 -0.0516이다. 장기와 단기의 소득 탄력도와 이자율 탄력도는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회귀분석을 사용할 때 단기 이자율이 더 적합한 통계적인 결과를 나타낸다.
b. Instead of estimating the above demand function, suppose you were to fit the function (M/Y)t = a1rta2eut. How would you interpret the results? Show the necessary calculations.
-> M/GDP는 소득에 대하여 사람들이 화폐의 형태로 얼만큼의 통화를 가지고 있기를 바라는 정도이다. 이 비율은 화폐를 소유하고 있음으로서 발생하는 기회비용인 이자율에 민감하다.
회귀분석의 결과를 보면,
ln(M/Y)t = 3.4785 - 0.1719lnTBRATEt
se = (0.0780) (0.0409) R2 = 0.5095
ln(M/Y)t = 3.8318 - 0.3123lnLTRATEt
se = (0.1157) (0.0532) R2 = 0.6692
두 모형 모두다 선험적 기대에 일치하게 이자율은 (-)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수치상으로 보면, 단기 이자율보다 장기 이자율이 더 민감함을 알 수 있다. 두 모형의 종속변수가 같기 때문에, R2값을 사용해서 장기 이자율이 회귀분석에 더 적합하다고 본다.
c. How will you deside which is a better specification?
->8단원에서 풀 문제
7.22 Table 7.11 gives for the manufacturing sector of the Greek economy for the period 1961-1987
a. See if the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fits the data given in the table and interpret the results. What general conclusion do you draw?
->선험적 기대에 맞게 output/labor와 output/capital는 둘다 (+)의 탄력도를 가진다. 하지만 이 결과만으로 경제학적인 일반론을 펼칠 수는 없다. 자본의 투입량이 늘 항상 생산품 산출량을 만들어 내지는 못하고 노동의 투입량이 언제나 생산품의 산출량을 만들어 내지 못한다.
b. Now consider the following model:
Output/labor = A(K/L)βeu
where the regressand represents labor productivity and the regressior represents the capital labor ratio. What is the economic significance of such a relationship, if any? Estimate the parameters of this model and interpret your results.
->주어진 capital/labor 비율과 output/labor 비율의 탄력도가 약0.6808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capital/labor 비율의 가중평균이 1% 증가하면, 노동생산성이 약 0.6808% 증가 한다는 것이다.
계량경제학
7장 연습문제
담당교수 : 이승준교수님
학과 : 경영학부
학번 : 200310060
이름 : 김은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