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1. 술의 역사
2. 술의 개념
(1)술의 정의
(2)알코올 도수 표시
2. 술의 분류
3. 술의 제조과정
제 2 장
1. 와인의 역사
2. 와인의 제조과정 및 포도품종
(1) 와인의 제조과정
(2) 포도의 품종
3. 와인의 분류
(1) 색에 의한 분류
(2) 맛에 의한 분류
(3) 식사용도에 의한 분류
(4) 숙성정도에 의한 분류
4. 빈티이지와 와인 테스팅
(1) 빈티이지
(2) 와인 테스팅
제 3 장
1. 프랑스 와인의 개요
2. 프랑스 와인의 등급과 라벨
3. 보르도 지방의 와인
(1) 보르도 와인의 개요
(2) 보르도 와인의 생산지구
(3) 보르도 와인의 용어 해설
4. 보르고뉴 지방의 와인
(1) 버건디 와인의 생산지구
(2) 버건디 와인의 용어 해설
5. 기타 지방의 와인
① 상파뉴 지방의 개요
② 샴페인의 역사
③ 샴페인의 제조과정
<샴페인의 당도에 따른 분류>
제 4 장
1. 독일 와인
(1) 독일 와인의 개요
(2) 독일 와인의 생산지역
(3) 독일 와인의 등급과 용어해설
1) 독일의 와인 등급
- Q.m.P급의 등급 및 특징
2) 독일 와인의 용어 해설
2. 이탈리아 와인
(1) 이탈리아 와인의 개요
(2) 이탈리아 와인의 생산지역
(3) 이탈리아 와인의 등급과 용어해설
1) 이탈리아 와인의 등급
2) 이탈리아 와인의 용어해설
3. 스페인 와인
(1) 스페인 와인의 개요
<스페인 와인의 등급>
(2) 스페인 와인의 생산지역
4. 포르투갈 와인
(1) 포르투갈 와인의 개요
<포르투갈 와인의 등급>
(2) 포르투갈의 유명 와인
① 포트와인
② 마테우스 로제 와인
③ 마데이라 와인
5. 신흥 와인생산국
1) 미국 와인
(1) 미국 와인의 개요
2) 미국의 유명 와인 및 회사
2) 칠레 와인
(1) 칠레 와인의 개요
(2) 칠레 와인의 등급
<칠레 와인의 등급>
3) 아르헨티나 와인
4) 호주 와인
5) 뉴질랜드 와인
6. 한국 와인
1) 국내 와인생산의 현황
2) 수입와인의 현황
1. 술의 역사
2. 술의 개념
(1)술의 정의
(2)알코올 도수 표시
2. 술의 분류
3. 술의 제조과정
제 2 장
1. 와인의 역사
2. 와인의 제조과정 및 포도품종
(1) 와인의 제조과정
(2) 포도의 품종
3. 와인의 분류
(1) 색에 의한 분류
(2) 맛에 의한 분류
(3) 식사용도에 의한 분류
(4) 숙성정도에 의한 분류
4. 빈티이지와 와인 테스팅
(1) 빈티이지
(2) 와인 테스팅
제 3 장
1. 프랑스 와인의 개요
2. 프랑스 와인의 등급과 라벨
3. 보르도 지방의 와인
(1) 보르도 와인의 개요
(2) 보르도 와인의 생산지구
(3) 보르도 와인의 용어 해설
4. 보르고뉴 지방의 와인
(1) 버건디 와인의 생산지구
(2) 버건디 와인의 용어 해설
5. 기타 지방의 와인
① 상파뉴 지방의 개요
② 샴페인의 역사
③ 샴페인의 제조과정
<샴페인의 당도에 따른 분류>
제 4 장
1. 독일 와인
(1) 독일 와인의 개요
(2) 독일 와인의 생산지역
(3) 독일 와인의 등급과 용어해설
1) 독일의 와인 등급
- Q.m.P급의 등급 및 특징
2) 독일 와인의 용어 해설
2. 이탈리아 와인
(1) 이탈리아 와인의 개요
(2) 이탈리아 와인의 생산지역
(3) 이탈리아 와인의 등급과 용어해설
1) 이탈리아 와인의 등급
2) 이탈리아 와인의 용어해설
3. 스페인 와인
(1) 스페인 와인의 개요
<스페인 와인의 등급>
(2) 스페인 와인의 생산지역
4. 포르투갈 와인
(1) 포르투갈 와인의 개요
<포르투갈 와인의 등급>
(2) 포르투갈의 유명 와인
① 포트와인
② 마테우스 로제 와인
③ 마데이라 와인
5. 신흥 와인생산국
1) 미국 와인
(1) 미국 와인의 개요
2) 미국의 유명 와인 및 회사
2) 칠레 와인
(1) 칠레 와인의 개요
(2) 칠레 와인의 등급
<칠레 와인의 등급>
3) 아르헨티나 와인
4) 호주 와인
5) 뉴질랜드 와인
6. 한국 와인
1) 국내 와인생산의 현황
2) 수입와인의 현황
본문내용
인
인디카시옹 데 오리젱 곤크로라다
D.O.C보다는 한 단계 낮은 와인으로서 원산지 지정 지역에서 생산된 포도품종으로 만든 와인. 현재 32개 지역에만 부여되어 있다.
데노미나사옹 데 오리젱 곤트로라다
포르투갈 와인 중 최상급 와인으로서 프랑스의 A.O.C급에 해당되며, 현재 11개 지역에만 부여되어 있다.
(2) 포르투갈의 유명 와인
① 포트와인
- 주정을 강화하여 알코올 도수가 높고, 스위트한 맛으로 만드는 것이 원칙이며, 전체 와인 생산량의 7~10%를 차지하고 있다. 주 생산지는 포르토 지역으로서 포트와인 생산의 40%를 담당하고 있다.
② 마테우스 로제 와인
- 많은 사람들이 대중적으로 마실 수 있는 와인으로서 원산지 명칭관리법의 적용을 받지 않으나 품질과 인기가 좋다. SOGRAPE 업체와 2위인 제이 엠드 폰세카 업체가 유명하다.
③ 마데이라 와인
- 모로코에서 600km 떨어진 화산섬의 이름이다. 독특한 맛이 나는 와인으로서 발료 도중에 와인으로 만든 알코올과 향료 등을 첨가하여 만든다.
5. 신흥 와인생산국
-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등이 전통 와인생산국이라면,
미국, 칠레, 아르헨티나, 호주 등은 신흥 와인생산국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 와인생산국의 라벨은 와인생산 지역, 지방, 마을 이름을 중심으로 브랜드화 되어 있는 반면, 신흥 와인생산국 와인의 라벨은 포도품종이나 제조회사명 또는 와인 양조장인 와인너리가 브랜드화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1) 미국 와인
(1) 미국 와인의 개요
- 90% 정도가 캘리포니아에서 생산되며, 캘리포니아 주 이외의 지역에서 와인을 생산하는 지역은 뉴욕 주인데 뉴욕 주의 와인 생산량은 캘리포니아의 1/10 수준이다.
(2) 미국의 유명 와인 및 회사
- 미국 와인의 품질 기준은 특별히 등급을 정해 놓지는 않았지만, 생산지역이 캘리포니아라고 쓰여 있으면 100% 캘리포니아 포도만 써야하고, 캘리포니아 산이라도 재배지역이 좁아질수록 더 고급으로 인정받고 있다. 포도품종이 기재된 와인, 빈티지가 표시된 와인일수록 고급 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 보다도 유명 와인 회사가 나파 벨리 와 소노마카운티 지국에서 생산한 와인을 더 고품질 와인으로 간주.
유명 와인 회사로는, 어니스트 & 쥴리오 갤로, 죠단, 큐베이숀 이 있다.
2) 칠레 와인
(1) 칠레 와인의 개요
- 남북의 길이는 무려 4000km가 넘는다. 남과 북의 기후 차가 매우 크다. 주요 와인 산지는 특히 마이포 지구가 유명하다. 남반구 위도 32~36도 사이에 위치한 칠레는 포도가 완숙하기에 충분한 양의 일조량과 온화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 습기가 별로 없다. 병충해 예방효과가 있다. 안데스의 높은 산맥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이요해서 포도나무에 꼭 필요한 양만큼의 물을 주어 (당도가 떨어지는 것을 막음) 수확하고 있다. 까베르네, 쏘비뇽, 까베르네 프랑, 메를로, 말벡, 피노 느와 등의 포도품종으로는 탄닌이 적은 레드 와인을 생산하고, 쏘비뇽 블랑 등의 품종으로는 스위트 화이트 와인을, 샤르도네와 리슬링 품종으로는 양질의 화이트 와인을 만들고 있다.
(2) 칠레 와인의 등급
- 원산지표시 와인, 원산지가 없는 와인, 비노 데메사 로 구분된다. 원산지 표시와인은 그 지역의 포도를 75%이상 사용해야 하며, 상표에 품종을 표시할 때에도 그 품종을 75%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원산지 표시가 없는 와인의 경우 원산지 표시만 명기하지 않고, 품종과 생산연도는 원산지 표시 와인과 동일한 규정에 따른다.
<칠레 와인의 등급>
등급
내용
레제르바 에스파샬
최소 2년 이상 숙성된 와인에 표기
레제르바
최소 4년 이상 숙성된 와인에 표기
그란 비노
최소 6년 이상 숙성된 와인에 표기
돈
아주 오래된 와인너리에서 생산된 고급와인에 ‘Don’을 표시한다.
피나스
정부가 인정하는 포도 품종으로 만든 와인
3) 아르헨티나 와인
- 16세기 중반 스페인으로부터 와인양조를 도입하여 현재는 세계 5위의 와인 생산국이 되었다. 주요 생산지역은 멘도사, 생 쟝, 리오 네그로 등의 3개, 적포도주의 품종으로는 말백, 까베르네 쏘비뇽, 가메, 시라 등이 있다. 백포도주의 품종으로는 샤르도네, 와인의 등급은 테이블 와인급의 비노메사, 중급 와인의 비노 레제르바, 상급 와인의 비노 피노 로 구분.
4) 호주 와인
- 남위 34~38도 사이인 남부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호주산 라인 리슬링은 독일산과는 매우 다른 세계에서도 정상급에 속하는 포도품종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1) 빅토리아
(2) 뉴 사우스 웨일즈
(3)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 세계 100대 와인 중에 하나인 그랑쥬 에르미따쥬가 생산되는 곳이다.
5) 뉴질랜드 와인
- 와인을 생산하는 곳은 위도 35도와 44도 선 내에 있으며, 호주와 비교해 볼 때 비교적 서늘한 기후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독일 포도 재배 지역을 표본으로 삼아 뮬러-투르가우를 심었다. 뉴질랜드에서는 주로 화이트 와인을 생산한다. 백포도 품종이 전체 재배의 80% 이상을 차지, 뮬러-투르가우 가 30% 정도를 점유하고 있다.
(1) 사우스 아일랜드
(2) 노스 아일랜드
6. 한국 와인
1) 국내 와인생산의 현황
- 기후와 토양은 양조용 포도품종을 재배하기에 좋은 조건이 아니다. 양조용 포도가 잘 자라려면 일정한 온도와 일조량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여름 장마와 겨울 혹한기가 장애가 되는 것이다. 리슬링이란 포도품종을 재배하여 1976년 수확하고, 1977년 독일 모젤 와인의 타입인 미주앙 을 출시하면서 순수한 국산 와인의 생산 및 보급에 장을 열었다. 샤또 몽블루, 노블, 위하여 등 각종 와인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충북 영동의 와인코리아 회사에서 국산 와인 샤또 마니 를 1995년부터 개발.
2) 수입와인의 현황
- 1인당 국민소득이 1만 달러가 넘으면 와인보급이 급속화 된다는 것이 정설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 수입와인이 본격적으로 들어온 게기는 방송의 영향이 지대하였는데 90년대 초반 미국의 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프렌치 패러독스’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와인은 폭음 문화를 바꾸어 놓는 대안이라는 긍정적인 요소도 작용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인디카시옹 데 오리젱 곤크로라다
D.O.C보다는 한 단계 낮은 와인으로서 원산지 지정 지역에서 생산된 포도품종으로 만든 와인. 현재 32개 지역에만 부여되어 있다.
데노미나사옹 데 오리젱 곤트로라다
포르투갈 와인 중 최상급 와인으로서 프랑스의 A.O.C급에 해당되며, 현재 11개 지역에만 부여되어 있다.
(2) 포르투갈의 유명 와인
① 포트와인
- 주정을 강화하여 알코올 도수가 높고, 스위트한 맛으로 만드는 것이 원칙이며, 전체 와인 생산량의 7~10%를 차지하고 있다. 주 생산지는 포르토 지역으로서 포트와인 생산의 40%를 담당하고 있다.
② 마테우스 로제 와인
- 많은 사람들이 대중적으로 마실 수 있는 와인으로서 원산지 명칭관리법의 적용을 받지 않으나 품질과 인기가 좋다. SOGRAPE 업체와 2위인 제이 엠드 폰세카 업체가 유명하다.
③ 마데이라 와인
- 모로코에서 600km 떨어진 화산섬의 이름이다. 독특한 맛이 나는 와인으로서 발료 도중에 와인으로 만든 알코올과 향료 등을 첨가하여 만든다.
5. 신흥 와인생산국
-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등이 전통 와인생산국이라면,
미국, 칠레, 아르헨티나, 호주 등은 신흥 와인생산국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 와인생산국의 라벨은 와인생산 지역, 지방, 마을 이름을 중심으로 브랜드화 되어 있는 반면, 신흥 와인생산국 와인의 라벨은 포도품종이나 제조회사명 또는 와인 양조장인 와인너리가 브랜드화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1) 미국 와인
(1) 미국 와인의 개요
- 90% 정도가 캘리포니아에서 생산되며, 캘리포니아 주 이외의 지역에서 와인을 생산하는 지역은 뉴욕 주인데 뉴욕 주의 와인 생산량은 캘리포니아의 1/10 수준이다.
(2) 미국의 유명 와인 및 회사
- 미국 와인의 품질 기준은 특별히 등급을 정해 놓지는 않았지만, 생산지역이 캘리포니아라고 쓰여 있으면 100% 캘리포니아 포도만 써야하고, 캘리포니아 산이라도 재배지역이 좁아질수록 더 고급으로 인정받고 있다. 포도품종이 기재된 와인, 빈티지가 표시된 와인일수록 고급 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 보다도 유명 와인 회사가 나파 벨리 와 소노마카운티 지국에서 생산한 와인을 더 고품질 와인으로 간주.
유명 와인 회사로는, 어니스트 & 쥴리오 갤로, 죠단, 큐베이숀 이 있다.
2) 칠레 와인
(1) 칠레 와인의 개요
- 남북의 길이는 무려 4000km가 넘는다. 남과 북의 기후 차가 매우 크다. 주요 와인 산지는 특히 마이포 지구가 유명하다. 남반구 위도 32~36도 사이에 위치한 칠레는 포도가 완숙하기에 충분한 양의 일조량과 온화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 습기가 별로 없다. 병충해 예방효과가 있다. 안데스의 높은 산맥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이요해서 포도나무에 꼭 필요한 양만큼의 물을 주어 (당도가 떨어지는 것을 막음) 수확하고 있다. 까베르네, 쏘비뇽, 까베르네 프랑, 메를로, 말벡, 피노 느와 등의 포도품종으로는 탄닌이 적은 레드 와인을 생산하고, 쏘비뇽 블랑 등의 품종으로는 스위트 화이트 와인을, 샤르도네와 리슬링 품종으로는 양질의 화이트 와인을 만들고 있다.
(2) 칠레 와인의 등급
- 원산지표시 와인, 원산지가 없는 와인, 비노 데메사 로 구분된다. 원산지 표시와인은 그 지역의 포도를 75%이상 사용해야 하며, 상표에 품종을 표시할 때에도 그 품종을 75%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원산지 표시가 없는 와인의 경우 원산지 표시만 명기하지 않고, 품종과 생산연도는 원산지 표시 와인과 동일한 규정에 따른다.
<칠레 와인의 등급>
등급
내용
레제르바 에스파샬
최소 2년 이상 숙성된 와인에 표기
레제르바
최소 4년 이상 숙성된 와인에 표기
그란 비노
최소 6년 이상 숙성된 와인에 표기
돈
아주 오래된 와인너리에서 생산된 고급와인에 ‘Don’을 표시한다.
피나스
정부가 인정하는 포도 품종으로 만든 와인
3) 아르헨티나 와인
- 16세기 중반 스페인으로부터 와인양조를 도입하여 현재는 세계 5위의 와인 생산국이 되었다. 주요 생산지역은 멘도사, 생 쟝, 리오 네그로 등의 3개, 적포도주의 품종으로는 말백, 까베르네 쏘비뇽, 가메, 시라 등이 있다. 백포도주의 품종으로는 샤르도네, 와인의 등급은 테이블 와인급의 비노메사, 중급 와인의 비노 레제르바, 상급 와인의 비노 피노 로 구분.
4) 호주 와인
- 남위 34~38도 사이인 남부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호주산 라인 리슬링은 독일산과는 매우 다른 세계에서도 정상급에 속하는 포도품종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1) 빅토리아
(2) 뉴 사우스 웨일즈
(3)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 세계 100대 와인 중에 하나인 그랑쥬 에르미따쥬가 생산되는 곳이다.
5) 뉴질랜드 와인
- 와인을 생산하는 곳은 위도 35도와 44도 선 내에 있으며, 호주와 비교해 볼 때 비교적 서늘한 기후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독일 포도 재배 지역을 표본으로 삼아 뮬러-투르가우를 심었다. 뉴질랜드에서는 주로 화이트 와인을 생산한다. 백포도 품종이 전체 재배의 80% 이상을 차지, 뮬러-투르가우 가 30% 정도를 점유하고 있다.
(1) 사우스 아일랜드
(2) 노스 아일랜드
6. 한국 와인
1) 국내 와인생산의 현황
- 기후와 토양은 양조용 포도품종을 재배하기에 좋은 조건이 아니다. 양조용 포도가 잘 자라려면 일정한 온도와 일조량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여름 장마와 겨울 혹한기가 장애가 되는 것이다. 리슬링이란 포도품종을 재배하여 1976년 수확하고, 1977년 독일 모젤 와인의 타입인 미주앙 을 출시하면서 순수한 국산 와인의 생산 및 보급에 장을 열었다. 샤또 몽블루, 노블, 위하여 등 각종 와인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충북 영동의 와인코리아 회사에서 국산 와인 샤또 마니 를 1995년부터 개발.
2) 수입와인의 현황
- 1인당 국민소득이 1만 달러가 넘으면 와인보급이 급속화 된다는 것이 정설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 수입와인이 본격적으로 들어온 게기는 방송의 영향이 지대하였는데 90년대 초반 미국의 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프렌치 패러독스’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와인은 폭음 문화를 바꾸어 놓는 대안이라는 긍정적인 요소도 작용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추천자료
한국 술의 역사와 지역별 술의 특징
제1차 세계대전의 원인-역사가들의 해석
[와인][포도주]와인(포도주)의 역사, 와인(포도주)의 개념, 와인(포도주)의 분류와 와인(포도...
술이 지닌 역사적 변천과정과 발전방안
히브리인 &#8228; 헬라인 &#8228; 고대 근동 세계의 역사관의 차이점
와인의역사
술의 기원과 어원 및 유래, 술의 정의와 역사 및 한국 술의 역사, 우리의 술 문화, 금주령, ...
[한국문화의 이해] 술의 기원, 한국 술의 역사_고대시대부터 해방 후까지, 식민지 시대의 주...
[한국문화사] 술의 이해 - 술의 어원, 술의 기원, 우리나라 술의 역사(고구려부터 광복 이후...
[한국문화사] <술> 우리나라 술의 이해 - 술의 어원과 기원, 술의 종류와 역사(청주, 막걸리,...
[한국문화사] <술> 술의 어원과 기원, 술의 역사(소주, 맥주, 막걸리, 청주, 약주), 누룩의 ...
[외식 문화의 이해][세계의 술 문화]
[만점 받은 과제물][세계의 역사] 2014년 중국의 사건/현상 보도자료 7건 이상 인터넷 확보...
세계의 역사 A형 동남아시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