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계적 인공호흡(mechanical ventilation)의 목적
2. 기계적 인공호흡(mechanical ventilation) 환자 간호
1) 적응증
2) 양압 인공호흡기분류 및 환기방식
(1) 용량 조절형 인공호흡기(volume-cycled ventilator)
(2) 압력 조절형 인공호흡기(pressure-cycled ventilator)
(3) 호기말 양압호흡과 지속성 기도 양압
3) 인공호흡기의 중단
4) Weaning의 기법(인공호흡기 이탈)
5) 인공호흡기 사용에 따르는 부작용
(1) 심혈관계
(2) 호흡기계
(3) 소화기계
(4) 근육 합병증
(5) 인공호흡기 의존
6)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환자 간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기계적 인공호흡(mechanical ventilation)의 목적
2. 기계적 인공호흡(mechanical ventilation) 환자 간호
1) 적응증
2) 양압 인공호흡기분류 및 환기방식
(1) 용량 조절형 인공호흡기(volume-cycled ventilator)
(2) 압력 조절형 인공호흡기(pressure-cycled ventilator)
(3) 호기말 양압호흡과 지속성 기도 양압
3) 인공호흡기의 중단
4) Weaning의 기법(인공호흡기 이탈)
5) 인공호흡기 사용에 따르는 부작용
(1) 심혈관계
(2) 호흡기계
(3) 소화기계
(4) 근육 합병증
(5) 인공호흡기 의존
6)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환자 간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흡근 기능의 효율에 중요한 영향을 끼침
→ 특히, 간호사와 의사는 칼륨, 칼슘, 마그네슘과 인산염 수준을 자세히 모니터하고,
부족한 것을 보충
(4) 근육 합병증
부동성 때문에 전반적으로 근육이 소모
조기이상과 적절한 운동을 하도록 하여 근긴장과 체력을 증진시키고 사기도 돋우며,
가스교환을 용이하게 하고, 모든 근육에 산소 전달을 촉진
(5) 인공호흡기 의존
기계적 환기의 최종적인 합병증은 인공호흡기 의존, 즉 중단 불능
→ 인공호흡기 의존은 심리적 혹은 생리적으로 생기는데, 생리적 원인이 더 흔함
인공호흡기를 오래 사용할수록 호흡근이 피로해지고 스스로 호흡을 할 수 없기 때문
에 중단하는 과정이 더 어려움
6)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환자 간호
분비물 흡인 및 가습
흡인하기에 가장 적절한 시간은 체위 변경하기 직전, 흡인할 때에는 환자에게 흡인을 시행한다는 것을 알림
인공호흡기에 부착되어있는 가온가습기 이용해 가습시킴
가습장치와 인공호흡기의 연결 튜브를 정규적으로 점검
주기관지에서만 흡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의 자세를 규칙적으로 변경하여 분비물을 이동시켜 주기관지로 나올 수 있도록 함
흡인 전과 후에는 반드시 고농도의 산소투여
→ 심근의 저산소증과 부정맥 예방
자세 및 운동
환자의 자세에 따라 폐의 어느 부분이 환기되고 관류되는지 결정
semi-Fowler 체위는 자주 쓰이는 체위지만, 폐저부와 말초부위의 분비물 정체를 초래
→ 환자의 머리를 약간 낮춘 자세로 좌우 측위를 취해주는 것이 좋음.
근육긴장도와 ROM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팔과 다리의 운동이 필수적
만성적으로 기도폐색이 온 경우 →호흡강화운동 시작
동맥혈 가스분석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동맥혈 가스검사 시행
인공호흡기를 조작한 후 15~20분 후에 동맥혈 가스분압이 안정되므로 이때 검사
맥박산소계측을 이용하면 동맥혈가스검사의 빈도수 줄일 수 있음
불안 감소
기관튜브 삽입시 튜브가 성대를 지나게 되어 목소리 나오지 못하기 때문에, 펜과 종이 를 이용해 의사소통 하게 함
→ 가능한 글을 쓰지 않는 팔에 정맥주사
가족이 방문했을 때 환자의 손을 만져주는 등 접촉을 하도록 하고 가능하다면 일상적
인 간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
익숙한 물건을 환자 곁에 놓아두는 것도 도움이 되며 음악을 들려주는 것도 긴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됨
발관
기관내관의 제거를 발관이라 함
삽관의 적응증이 해결되었을 때 관을 제거
→ 제거하기 전에, 간호사는 처치법을 설명
대상자를 과산소화하고, 기관내관과 구강을 철저히 흡인한 후, ET관의 커프에서 빠르
게 공기를 빼고, 흡기 정점에서 관을 제거
→ 이 때,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해야 함
산소는 안면 마스크나 비관으로 투여
흡기산소 분압(Fio2)은 일반적으로 ET관의 삽입 동안 유지되었던 수준보다 10%더 높
게 처방
발관 이후 모니터링은 필수적
→ 처음에는 매시간 활력징후를 모니터, 환기양상 및 호흡곤란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
일반적으로 발관 후 며칠 동안 쉰목소리와 인후통을 경험
대상자에게 semi-Fowler 자세를 취하게 하고, 30분마다 심호흡을 하고 2시간 간격으
로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하여 발관 직후에는 말하는 것을 삼가도록 교육
→ 이는 가스교환을 용이하게 하고, 후두부종과 성대 자극을 감소시킴
조기 징후: 가벼운 호흡곤란과 기침, 분비물 배출의 어려움 등
→이런 징후가 보이면, 간호사는 재삽관이 필요한지 의사에게 연락
간호사는 특히 협착음으로 진행하는지 관찰
Ⅲ. 결론
이번 과제를 통해 인공호흡기의 종류와 목적 그리고 어떠한 환자들에게 적용하고 그러한 환자들을 간호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다.
호흡은 살아 있는 모든 생명에게 정말 잠시도 멈출 수 없는 중요한 신체 활동이다.
그러한 호흡을 조금이라도 못하게 되면 우리는 답답하고, 곧 죽을 것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
병원에는 여러 가지 질환이나 의식을 잃어서 정상적인 호흡운동을 하지 못하는 환자들이 있다.
이러한 환자들의 생명과 관련된 중요한 호흡을 인공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방법과 간호하는 방법들을 잘 알아 두어야 위급한 중환자들을 간호하는데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
Ⅳ. 참고문헌
1. 김분한 외(2007). 성인간호학7~13. 정담미디어
2. 서문자 외(2004). 성인간호학 上 II . 수문사
3. 이향련 외(2008). 성인간호학 上. 수문사
4.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 특히, 간호사와 의사는 칼륨, 칼슘, 마그네슘과 인산염 수준을 자세히 모니터하고,
부족한 것을 보충
(4) 근육 합병증
부동성 때문에 전반적으로 근육이 소모
조기이상과 적절한 운동을 하도록 하여 근긴장과 체력을 증진시키고 사기도 돋우며,
가스교환을 용이하게 하고, 모든 근육에 산소 전달을 촉진
(5) 인공호흡기 의존
기계적 환기의 최종적인 합병증은 인공호흡기 의존, 즉 중단 불능
→ 인공호흡기 의존은 심리적 혹은 생리적으로 생기는데, 생리적 원인이 더 흔함
인공호흡기를 오래 사용할수록 호흡근이 피로해지고 스스로 호흡을 할 수 없기 때문
에 중단하는 과정이 더 어려움
6)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환자 간호
분비물 흡인 및 가습
흡인하기에 가장 적절한 시간은 체위 변경하기 직전, 흡인할 때에는 환자에게 흡인을 시행한다는 것을 알림
인공호흡기에 부착되어있는 가온가습기 이용해 가습시킴
가습장치와 인공호흡기의 연결 튜브를 정규적으로 점검
주기관지에서만 흡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의 자세를 규칙적으로 변경하여 분비물을 이동시켜 주기관지로 나올 수 있도록 함
흡인 전과 후에는 반드시 고농도의 산소투여
→ 심근의 저산소증과 부정맥 예방
자세 및 운동
환자의 자세에 따라 폐의 어느 부분이 환기되고 관류되는지 결정
semi-Fowler 체위는 자주 쓰이는 체위지만, 폐저부와 말초부위의 분비물 정체를 초래
→ 환자의 머리를 약간 낮춘 자세로 좌우 측위를 취해주는 것이 좋음.
근육긴장도와 ROM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팔과 다리의 운동이 필수적
만성적으로 기도폐색이 온 경우 →호흡강화운동 시작
동맥혈 가스분석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동맥혈 가스검사 시행
인공호흡기를 조작한 후 15~20분 후에 동맥혈 가스분압이 안정되므로 이때 검사
맥박산소계측을 이용하면 동맥혈가스검사의 빈도수 줄일 수 있음
불안 감소
기관튜브 삽입시 튜브가 성대를 지나게 되어 목소리 나오지 못하기 때문에, 펜과 종이 를 이용해 의사소통 하게 함
→ 가능한 글을 쓰지 않는 팔에 정맥주사
가족이 방문했을 때 환자의 손을 만져주는 등 접촉을 하도록 하고 가능하다면 일상적
인 간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
익숙한 물건을 환자 곁에 놓아두는 것도 도움이 되며 음악을 들려주는 것도 긴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됨
발관
기관내관의 제거를 발관이라 함
삽관의 적응증이 해결되었을 때 관을 제거
→ 제거하기 전에, 간호사는 처치법을 설명
대상자를 과산소화하고, 기관내관과 구강을 철저히 흡인한 후, ET관의 커프에서 빠르
게 공기를 빼고, 흡기 정점에서 관을 제거
→ 이 때,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해야 함
산소는 안면 마스크나 비관으로 투여
흡기산소 분압(Fio2)은 일반적으로 ET관의 삽입 동안 유지되었던 수준보다 10%더 높
게 처방
발관 이후 모니터링은 필수적
→ 처음에는 매시간 활력징후를 모니터, 환기양상 및 호흡곤란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
일반적으로 발관 후 며칠 동안 쉰목소리와 인후통을 경험
대상자에게 semi-Fowler 자세를 취하게 하고, 30분마다 심호흡을 하고 2시간 간격으
로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하여 발관 직후에는 말하는 것을 삼가도록 교육
→ 이는 가스교환을 용이하게 하고, 후두부종과 성대 자극을 감소시킴
조기 징후: 가벼운 호흡곤란과 기침, 분비물 배출의 어려움 등
→이런 징후가 보이면, 간호사는 재삽관이 필요한지 의사에게 연락
간호사는 특히 협착음으로 진행하는지 관찰
Ⅲ. 결론
이번 과제를 통해 인공호흡기의 종류와 목적 그리고 어떠한 환자들에게 적용하고 그러한 환자들을 간호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다.
호흡은 살아 있는 모든 생명에게 정말 잠시도 멈출 수 없는 중요한 신체 활동이다.
그러한 호흡을 조금이라도 못하게 되면 우리는 답답하고, 곧 죽을 것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
병원에는 여러 가지 질환이나 의식을 잃어서 정상적인 호흡운동을 하지 못하는 환자들이 있다.
이러한 환자들의 생명과 관련된 중요한 호흡을 인공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방법과 간호하는 방법들을 잘 알아 두어야 위급한 중환자들을 간호하는데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
Ⅳ. 참고문헌
1. 김분한 외(2007). 성인간호학7~13. 정담미디어
2. 서문자 외(2004). 성인간호학 上 II . 수문사
3. 이향련 외(2008). 성인간호학 上. 수문사
4.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