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의 비타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유의 비타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용성 비타민

2. 수용성 비타민

본문내용

가.
- 결핍시 코, 눈, 입부분의 특징적인 피부변화
3) 사람의 요구량
- 단백질 섭취수준에 따라 다르나 매일 1~2mg 필요.
- 적육, 간, 콩팥, 난황, 우유, 치즈 등이 좋은 급원.
4) 우유의 비타민 B6
- 우유 ℓ당 500㎍으로 모유의 5배 이상.
- 모유 초유에서는 상유보다 낮으나 분만 1주일 후부터 점차 증가.
- 열에 비교적 안정하여 UHT를 포함한 일반적인 살균방법에서는 많이 파괴되지 않으나 투명한 병에 넣어 일광에 8시간 노출시 21% 파괴.
- 병장멸균에서는 pyridoxal이 pyridoxamin으로 전환되며, 저장 중 황화합물과 결합하여 bis-4-pyridoxydisulfide로 되어 활력 저하.
(6) 비타민 B12
1) 화학적 구조 및 물리적 성질
- Cyanocobalamin, hydroxycobalamin, chlorocobalamin. Cyanocobalamin은 암적색의 결정화된 분말이며 물에 약간 녹으나 알콜에는 잘 녹음.
- 산소나 열에 비교적 안정하나 일광과 자외선에 약
- 알칼리, 강산 환원물질에는 매우 불안정.
- 반추위 내에서는 cobalt만 충분하면 외부의 공급없이도 미생물에 의해 충분히 합성
2) 생리적 기능
- 세포핵의 성숙에 필수적이어서 결핍시 세포분열과 성장 지연.
- 사람에 있어서 대적혈구 빈혈증(macrocytic anaemia)과 중추신경 계통의 특징적인 장애현상.
- 사람의 1일 요구량은 장내 미생물에 의해 합성되므로 정확하게 측정 어려우나
약 2㎍정도.
- 소화액의 한 성분인 ‘intrinsic factor'에 의해 장내에서 흡수.
- 간, 콩팥 같은 동물조직과 난황이 주요 급원
3) 우유의 비타민 B12
- 우유와 모유의 비타민 B12 평균함량은 ℓ당 각각 4.5㎍, 0.4㎍이나 모유의 경우 변이가 심하다.
- 모유는 methyl cobalamin, 우유는 hydroxylcobalamin이 가장 많다.
- 모유와 우유의 초유는 상유에 비해 6~10배 이상 함유.
- 사료내의 cobalt 함량이 낮을때 cobalt 첨가에 의해 우유의 비타민 B12 함량증가.
- 보통의 우유처리공정과 저장은 비타민 B12함량에 크게 영향 없다.
(7) 엽산(folic acid, pteroylglutamic acid)
1) 화학적 조성과 물리적 성질
- 담황색의 결정상 화합물로 공기와 열에 매우 안정하나 빛과 자외선 조사에 분해.
- 중성용액에서는 생리적으로 안정성을 가지나 산, 알칼리 산화와 환원물질에는 쉽게 파괴.
2) 생리적 기능
- 체내 여러 생화학적 반응에서 조효소로 작용.
- 엽산부족은 사람에서 가장 흔한 비타민 결핍증상, 특히 임산부 빈혈(Megaloblastic anemia). 성인의 1일 요구량은 400㎍이며 임신이나 수유 중 증가.
3) 우유의 엽산
- 우유와 모유의 엽산함량은 ℓ당 각각 50~60㎍과 40㎍.
- 모유 초유에 가장 낮으나 증가하여 일정함량을 유지하다가 비유말기에 다시 감소.
- 우유 초유에는 엽산의 함량이 가장 높으나 곧 감소되어 정상적 농도에 도달.
- 반추위내의 미생물에 의해 합성되므로 사료에 의한 영향은 크지 않다.
- 모유는 pteroylmonoglutamate, 우유는 5-methyltetrahydrofolic acid가 가장 많다.
- 우유와 모유의 엽산은 특정한 당단백질(glycoprotein)과 결합되어 있으며 유청부분에 존재.
(8) 바이오틴
1) 화학적 구조와 물리적 성질
- 3개의 asymmetric 탄소를 가져 8개의 광학이성체가 가능하나 d-biotin만이 자연계에 존재.
- 우유, 과실, 채소 등에 유리 상태로, 동물조직, 열매, 효모에 결합상태인 biocytin
으로 존재.
- 백색의 결정으로 약알카리 용액에서 잘 녹는다.
- 건조상태에서는 산소, 일광, 열에 매우 안정하나 자외선하에서는 서서히 분해.
- 약산과 약알칼리 수용액에서는 상대적으로 안정하나, 강산과 강알카리 용액에서의 가열은 생물학적 활성 파괴.
2) 생리적 기능
-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합성 등과 같은 대사과정의 cofactor로 작용.
- 사람의 결핍증은 특징적인 피부병, 피로, 식욕감퇴, 메스꺼움, 과민증, 헤모글로빈
농도저하.
- 난백의 avidin, Streptomyces 균이 생성하는 stravidin, streptavidin과 결합된
biotin은 소화기내에서 흡수 이용 불가.
- sulphonamide와 같은 약제는 장내 미생물의 biotin 합성을 저해하여 결핍증 유발.
3) 사람의 요구량
- 장내 미생물의 합성에 의해 정확히 추정 곤란하나 1일 150~300㎍의 d-biotin 필요.
4) 우유의 바이오틴
- 우유와 모유의 바이오틴 함량은 ℓ당 각각 35㎍과 7㎍. 초유는 상유보다 낮으나
모유는 서서히 증가. 우유는 분만후 4~7일만에 최고치에 도달.
(9) 비타민 C
1) 화학적 구조와 물리적 성질
- L-ascorbic acid, L-dehydroascorbic acid.
- 모든 생체조직에서 발견되며 환원물질로 중요.
- 백색의 결정으로 물이 없을 경우 공기에 안정성을 가지나
- 수용액에서는 대기 중의 산소와 다른 산화물질에 의해 쉽게 dehydroascorbic acid로 쉽게 변화
2) 생리적 기능
- 체내에서 뼈, 결체조직, 연골조직, 치아와 같은 골격조직의 세포내 물질 생성에
필수적. 결핍시 괴혈병
3) 사람의 요구량
- 성인의 1일 권장량은 60mg,
- 임신, 수유, 스트레스와 같은 생리적 변화에 의해 증가.
- 신선한 과일과 채소가 좋은 급원
4) 우유의 비타민 C
- 모유의 비타민 C 함량은 우유의 2배로 각각 ℓ당 45mg과 20mg.
- 착유 직후 우유의 비타민 C 형태는 거의 L-ascorbate이나 곧 산화되어
dehydroascorbate 형성(L-ascorbic acid의 75~80% 활성).
- UHT처리나 HTST 처리는 평균 20%, 병장멸균은 40~79% 파괴.
- 모유 초유의 함량은 상유에 비해 조금 높으나 우유 초유는 상당히 높으나 며칠 후 곧 감소.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4.12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83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