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도덕성의 개념
2. 도덕성발달에 관한 이론적 관점의 비교정리
1) 학습이론
2) 인지이론
3) 정신분석 이론
3. 도덕성발달에 관한 이론
1)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4. 도덕성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부모의 영향
2) 또래의 영향
3) 학교의 영향
4) 대중매체의 영향
Ⅲ. 유아기의 도덕성발달을 위한 지도원리 및 활동
1. 도덕성 발달교육의 필요성
2. 도덕성발달을 위한 지도원리 및 활동
Ⅳ. 결론
<참고문헌>
Ⅱ. 이론적 배경
1. 도덕성의 개념
2. 도덕성발달에 관한 이론적 관점의 비교정리
1) 학습이론
2) 인지이론
3) 정신분석 이론
3. 도덕성발달에 관한 이론
1)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4. 도덕성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부모의 영향
2) 또래의 영향
3) 학교의 영향
4) 대중매체의 영향
Ⅲ. 유아기의 도덕성발달을 위한 지도원리 및 활동
1. 도덕성 발달교육의 필요성
2. 도덕성발달을 위한 지도원리 및 활동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행동하고 습관화하기 단계를 설정하여, 상황에 따라서 학교 수업활동 속에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혹은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시간적 여유를 갖고 실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6차 혹은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실제로 해보기 내용을 분석해 보면, 자기생각 기록하기, 서로 이야기 나누기, 역할 놀이 활동하기, 학습 후에 실천해 보기, 한 일 평가하기, 조사 활동하기 등으로 되어 있다.
제재에 따른 실제로 해보기 내용은 학급 혹은 지역여건을 감안하여 선생님 나름으로 구체적인 실제로 해보기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그 구성 방법은 제재별, 소 제재별, 지도내용별로 그 내용을 분석하여 실제로 해보기를 재구성하고, 그 실천 방법을 학생들 스스로가 자기와 관련한 문제 사태나 실천규범과 관련하여 계획을 세워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재구성 절차는 먼저 실천할 일의 주제를 정하고, 다음으로는 학습과 관련하여 실천할 일을 찾고, 그 중 한 두 가지를 골라 그 이유와 실천 방법을 찾게 한 다음, 실제로 해보고 그 느낌을 발표해 보면서 실천행동을 강화하는 순서로 구성한다.
교수 학습 과정에서의 실제로 해보기 계획과 이에 따른 실천 결과의 보고는 다음과 같이 하도록 한다.
① 제재에 따른 학습 후의 실천 주제를 정한다.
② 학습 후 실천 할 날짜와 실천 장소를 구체적으로 정한다.
③ 보고서 내용은 먼저 학습과 관련하여 자기가 실천해야 할 일을 찾게 하며, 둘째로는 실천해야 할 일 중 가장 실천하고 싶은 일 한 두 가지를 정하고, 그 이유와 실천 방법을 찾게 한다. 마지막으로 실제로 해보고 이에 대한 느낀 점을 적고, 다음 학습 시 이를 발표토록 한다.
<실제로 해봅시다>
제 재
더불어 사는 세상
실천주제
우리가 이웃을 위해 할 수 있는 일
실천일
2001. 4. 30
실천장소
앞집 할머니 집
1. 우리 이웃을 위해 할 수 있는 일 찾아보기
①앞집 할머니 심부름 해드리기 ②이야기 해드리기 ③ 마당쓸어드리기
2. 내가 할 수 있는 일 한가지를 고르고 그 이유와 실천 방법 알아보기
1) 실천할 일: 할머니집 마당 쓸어드리기
2) 그 이유: 앞집 할머니께서 아프셔서 마당을 쓸지 못하여 어지럽혀 있고 또 내가 도울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여겼기 때문에
제 재
더불어 사는 세상
실천주제
우리가 이웃을 위해 할 수 있는 일
실천일
2001. 4. 30
실천장소
앞집 할머니 집
3) 실천 방법: ①할머니께 돕는 까닭을 말씀드린다.
②청소도구를 준비한다.
③물건을 정리할 장소를 정한다.
④청소할 범위를 정한다.
⑤ 먼지가 나지 않게 약간의 물을 뿌린 다음 청소를 시작한다.
⑥ 청소용구를 제자리에 둔다.
⑦할머니께 더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여쭙는다.
3. 실제로 해보고 느낀 점: 앞집 마당도 깨끗해지고 칭찬도 들어 기분이 좋다. 다음에도 꼭 도와 드려야지.(우리 마을 철수도 함께 할머니를 도와 드림)
Ⅳ. 결론
도덕성 기초교육이나 도덕성 기초확립이란 말은 우리가 흔히 쓰는 말은 아니다. 대체로 기본생활 습관교육이란 말이 더 가까이 들릴 수도 있다.
도덕성이란 분명히 성인들의 삶을 염두에 둔 개념이다. 즉 사람들이 서로 살아갈 때 상호의 복지와 행복을 위하여 이득 ,손해, 책임을 협동적으로 분배하는 원리이라고 보면 바로 성인에 관련된 내용들임을 알 수가 있다.
도덕성의 본질은 자율과 책임이다. 어린이는 자율과 책임을 전제로 한 도덕을 배울 때이지 완벽한 자율과 책임을 행사할 준비가 된 상태가 아니다 따라서 도덕교육을 이야기함에 있어서 도덕교육의 도달상태와 출발상태라는 개념의 설정이 중요하다. 도덕교육의 도달상태란 자율과 책임의 두 축을 동시에 갖춘 도덕적인 성인을 가리킨다면 출발상태란 그런 도덕적 인간이 되기 위해서 이제 막 단련과 훈련을 시작하는 유아와 어린이의 시기를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어린이, 청소년은 지금 현재로서 도덕적 인간이 되게끔 가르치려는 목적보다 그가 10년, 20년 후에 자율과 책임을 전제로 한 성숙한 도덕성을 가진 성인이 되는데 필요한 준비를 시킨다는 보다 우회적인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어린이에게는 어떤 행위에 대해 자율과 책임을 물을 수 없다. 어린이들은 지적, 정의적 기초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어른과 사고하는 방식이 다르다 따라서 도덕교육은 성인 이후의 완성된 도덕성을 목표로 유아 어린이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준비를 그때그때 시켜 나가야 한다. 이것이 바로 도덕성 기초교육의 개념이다.
도덕성의 기초교육이란 도덕의 초보적 지식과 행동을 가르치자는 것이 아니고 어릴 때 필요한 예절을 가르치자는 것도 아니다. 성인이 되어서 갖추게 될 성숙한 도덕성의 습득과 배양에 요구되는 하부구조를 교육하자는 것이다
Piaget나 Kohlberg의 발달과업 개념에 있어서 피아제에 의하면 타율적 도덕성에서 자율적 도덕성으로 발달하는 데에는 적어도 아홉 가지의 도덕적 외야징표에서 변화가 나타나야 하고, 타율적 징표인 객관적 정의개념 없이 자율적 도덕성인 주관적 책임성이나 자연주의적 정의가 나타나기 어렵다고 시사하고 있다. Kohlberg의 6단계도 아래단계는 위단계로 가기 위한 필연적 통과단계하고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유아기의 도덕성의 기초교육이란 바로 성인이 되어서 갖추게 될 성숙한 도덕성을 가능하게 할 하부구조의 탄탄한 기초교육이라고 말할 수 있다. 유아기의 도덕성발달을 위한 기초교육이 우리의 사회를 한층 더 성숙되고 아름다운 사회로 이끄는 길임을 우리 모두가 자각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민남, kohlberg 도덕 발달이론, 교육과학사, 1988
남국달화, 도덕 교육론, 철학과 현실사
서강식, 도덕윤리과 수업모형, 양서원, 1999
이택휘 외, 도덕과 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8
유효순, 홍순정, 유아사회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문용린 역,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학지사, 2004
정옥분, 영유아발달의 이해, 학지사
http://www.i-sangdam.co.kr/cd_theory5.html
http://www.didache.or.kr/info/develop/dp-6.htm
6차 혹은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실제로 해보기 내용을 분석해 보면, 자기생각 기록하기, 서로 이야기 나누기, 역할 놀이 활동하기, 학습 후에 실천해 보기, 한 일 평가하기, 조사 활동하기 등으로 되어 있다.
제재에 따른 실제로 해보기 내용은 학급 혹은 지역여건을 감안하여 선생님 나름으로 구체적인 실제로 해보기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그 구성 방법은 제재별, 소 제재별, 지도내용별로 그 내용을 분석하여 실제로 해보기를 재구성하고, 그 실천 방법을 학생들 스스로가 자기와 관련한 문제 사태나 실천규범과 관련하여 계획을 세워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재구성 절차는 먼저 실천할 일의 주제를 정하고, 다음으로는 학습과 관련하여 실천할 일을 찾고, 그 중 한 두 가지를 골라 그 이유와 실천 방법을 찾게 한 다음, 실제로 해보고 그 느낌을 발표해 보면서 실천행동을 강화하는 순서로 구성한다.
교수 학습 과정에서의 실제로 해보기 계획과 이에 따른 실천 결과의 보고는 다음과 같이 하도록 한다.
① 제재에 따른 학습 후의 실천 주제를 정한다.
② 학습 후 실천 할 날짜와 실천 장소를 구체적으로 정한다.
③ 보고서 내용은 먼저 학습과 관련하여 자기가 실천해야 할 일을 찾게 하며, 둘째로는 실천해야 할 일 중 가장 실천하고 싶은 일 한 두 가지를 정하고, 그 이유와 실천 방법을 찾게 한다. 마지막으로 실제로 해보고 이에 대한 느낀 점을 적고, 다음 학습 시 이를 발표토록 한다.
<실제로 해봅시다>
제 재
더불어 사는 세상
실천주제
우리가 이웃을 위해 할 수 있는 일
실천일
2001. 4. 30
실천장소
앞집 할머니 집
1. 우리 이웃을 위해 할 수 있는 일 찾아보기
①앞집 할머니 심부름 해드리기 ②이야기 해드리기 ③ 마당쓸어드리기
2. 내가 할 수 있는 일 한가지를 고르고 그 이유와 실천 방법 알아보기
1) 실천할 일: 할머니집 마당 쓸어드리기
2) 그 이유: 앞집 할머니께서 아프셔서 마당을 쓸지 못하여 어지럽혀 있고 또 내가 도울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여겼기 때문에
제 재
더불어 사는 세상
실천주제
우리가 이웃을 위해 할 수 있는 일
실천일
2001. 4. 30
실천장소
앞집 할머니 집
3) 실천 방법: ①할머니께 돕는 까닭을 말씀드린다.
②청소도구를 준비한다.
③물건을 정리할 장소를 정한다.
④청소할 범위를 정한다.
⑤ 먼지가 나지 않게 약간의 물을 뿌린 다음 청소를 시작한다.
⑥ 청소용구를 제자리에 둔다.
⑦할머니께 더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여쭙는다.
3. 실제로 해보고 느낀 점: 앞집 마당도 깨끗해지고 칭찬도 들어 기분이 좋다. 다음에도 꼭 도와 드려야지.(우리 마을 철수도 함께 할머니를 도와 드림)
Ⅳ. 결론
도덕성 기초교육이나 도덕성 기초확립이란 말은 우리가 흔히 쓰는 말은 아니다. 대체로 기본생활 습관교육이란 말이 더 가까이 들릴 수도 있다.
도덕성이란 분명히 성인들의 삶을 염두에 둔 개념이다. 즉 사람들이 서로 살아갈 때 상호의 복지와 행복을 위하여 이득 ,손해, 책임을 협동적으로 분배하는 원리이라고 보면 바로 성인에 관련된 내용들임을 알 수가 있다.
도덕성의 본질은 자율과 책임이다. 어린이는 자율과 책임을 전제로 한 도덕을 배울 때이지 완벽한 자율과 책임을 행사할 준비가 된 상태가 아니다 따라서 도덕교육을 이야기함에 있어서 도덕교육의 도달상태와 출발상태라는 개념의 설정이 중요하다. 도덕교육의 도달상태란 자율과 책임의 두 축을 동시에 갖춘 도덕적인 성인을 가리킨다면 출발상태란 그런 도덕적 인간이 되기 위해서 이제 막 단련과 훈련을 시작하는 유아와 어린이의 시기를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어린이, 청소년은 지금 현재로서 도덕적 인간이 되게끔 가르치려는 목적보다 그가 10년, 20년 후에 자율과 책임을 전제로 한 성숙한 도덕성을 가진 성인이 되는데 필요한 준비를 시킨다는 보다 우회적인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어린이에게는 어떤 행위에 대해 자율과 책임을 물을 수 없다. 어린이들은 지적, 정의적 기초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어른과 사고하는 방식이 다르다 따라서 도덕교육은 성인 이후의 완성된 도덕성을 목표로 유아 어린이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준비를 그때그때 시켜 나가야 한다. 이것이 바로 도덕성 기초교육의 개념이다.
도덕성의 기초교육이란 도덕의 초보적 지식과 행동을 가르치자는 것이 아니고 어릴 때 필요한 예절을 가르치자는 것도 아니다. 성인이 되어서 갖추게 될 성숙한 도덕성의 습득과 배양에 요구되는 하부구조를 교육하자는 것이다
Piaget나 Kohlberg의 발달과업 개념에 있어서 피아제에 의하면 타율적 도덕성에서 자율적 도덕성으로 발달하는 데에는 적어도 아홉 가지의 도덕적 외야징표에서 변화가 나타나야 하고, 타율적 징표인 객관적 정의개념 없이 자율적 도덕성인 주관적 책임성이나 자연주의적 정의가 나타나기 어렵다고 시사하고 있다. Kohlberg의 6단계도 아래단계는 위단계로 가기 위한 필연적 통과단계하고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유아기의 도덕성의 기초교육이란 바로 성인이 되어서 갖추게 될 성숙한 도덕성을 가능하게 할 하부구조의 탄탄한 기초교육이라고 말할 수 있다. 유아기의 도덕성발달을 위한 기초교육이 우리의 사회를 한층 더 성숙되고 아름다운 사회로 이끄는 길임을 우리 모두가 자각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민남, kohlberg 도덕 발달이론, 교육과학사, 1988
남국달화, 도덕 교육론, 철학과 현실사
서강식, 도덕윤리과 수업모형, 양서원, 1999
이택휘 외, 도덕과 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8
유효순, 홍순정, 유아사회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문용린 역,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학지사, 2004
정옥분, 영유아발달의 이해, 학지사
http://www.i-sangdam.co.kr/cd_theory5.html
http://www.didache.or.kr/info/develop/dp-6.htm
추천자료
(A+)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이론
(A+)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이론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를 인습적 수준에서 대인간 조화 또는 착한 소년소녀 지...
[교육심리학]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 계속...
[교육심리학]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설명, 교육적 시사점, 계속적 강화와 간헐...
만점받음-교육심리학-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그 교육적 시사점.계속적 강화와...
인간과교육)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인간과교육)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교육심리학 과제]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外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