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제나 주도권을 튼튼히 틀어쥐고 적을 타격할 수 있게 하는 현명한 전략전술적 방침이다"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배합전략은 모택동식 유격전략을 바탕으로 하여 6ㆍ25전쟁과 대남도발의 경험 및 소련식 군사전략이 융합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즉 집중과 분산, 적극적 방어와 후방교란, 大ㆍ小부대 활동의 결합, 정규전과 비정규전 배합, 즉시적 반격과 연속적 타격, 적 배후에의 제2 전선 형성, 저격수 및 유격조 활동 등을 들 수 있다. 정보사령부,「북한군 군사사상」(서울 : 정보사령부, 2007.12.),pp 209~210
(2) 선제기습전략
선제기습전략은 전혀 예상치 못한, 또 예상하더라도 대응시간을 박탈할 수 있는 시기와 장소 및 방법을 택하여 상대방을 공격하는 전략으로서 시간의 利을 극대화하여 신속ㆍ비밀ㆍ위계로 행하여지는 전략으로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두기 위한 것이다.
정규군에 의한 대규모 전략적 기습으로부터 특수전 부대를 비롯한 비정규군에 의한 전술적 기습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고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선제기습전략은 이미 1950년대 6ㆍ25전쟁 시 김일성에 의하여 시도된 바 있는데 정규군에 있어서는 기동력과 화력을 극대화하고 비정규군에 있어서는 무장을 경량화시킴으로써 군사력에서 속도의 요소를 중시하여 산악전과 야간전투역량을 강화시켜야한다고 강조하였다.
따라서, 경보병부대를 비롯한 각종 특수전부대를 "무장의 경량화+주력"에 의한 고도의 특수전 준비를 강화하고 있으며 폭력과 비폭력투쟁 정치투쟁과 경제투쟁, 합법ㆍ비합법투쟁 하에 유격전 등을 감행함으로써 정규군 공격을 위한 유리한 상황을 조성시키려 하고 있다.「북한학보 제8권」(서울 : 북한연구소, 1984),pp 271~273
(3) 속전속결전략
속전속결 전략은 전통적인 군사전략이론에서 강조되어 왔던 것으로 우세한 병력을 집중적으로 운용, 상대방의 주력부대를 각개 격파함으로써 전쟁에서 짧은 시간내에 승리를 쟁취하자는 것으로 기동력을 필요로하는 전략이다.
이러한 속전속결 전략 아래 4대 군사노선에 따라 전군의 현대화정책을 지속 추진하여 항공기, 미사일, 전차 등 정규군의 기동력을 대폭 증강시키고 있다.
속전속결 전략을 채택한 배경으로 환경적 측면에서 보면 ①민족역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수도권을 포함한 경인지역을 장악해야만 전세를 결정적으로 유리하게 몰고 나갈 수 있으며, ②미국의 본격적인 참전이 있기 전에 경인지역의 장악 또는 전략적인 절대 우위를 확보할 필요에서 속전속결을 시도할 것, ③중동전에서속전으로 유리한 고지를 장악한 쪽이 정치대세와 군사대세를 좌우했다는 교훈을얻었을 것 ④ 인구 및 경제력에 있어서 남한보다 열세에 있는 북한으로서 장기전을 수행한다는 것이 곤란하다는 점 등이다. 정보사령부,「북한군 군사사상」(서울 : 정보사령부, 2007.12.),pp 212~213
3. 4대 군사노선과 군사전략의 관계
북한의'국방에 있어서의 자위' 원칙, 즉 4대 군사노선은 방위측면에서 의미 뿐 아니라 군사전력의 공격적 측면에 있어서도 함축된 의미가 있다.
북한으로 하여금 남침전쟁을 감행하지 못하는 주된 요인은 한미 동맹체제이다. 그런데 국제정세의 변화 특히, 美ㆍ소ㆍ중 관계의 변화 혹은 이것에 의한 미국의 아시아 정책의 전환으로 북한이 남한과 1대1의 전쟁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할 경우 소련 또는 중국의 지원없이 남침을 시도할 수 있다.
북한은 이러한 상황 도래 시 소련 혹은 중국의 군사전략을 모방해서는 성공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배합전략, 선제기습 전략, 속전속결 전략 등 독자적인 남침전략을 수립했던 것이다. 북한연구소,「북한군사론」(서울 : 북한연구소, 1978.),pp262~263
이러한 배합전략은 모택동식 유격전략을 바탕으로 하여 6ㆍ25전쟁과 대남도발의 경험 및 소련식 군사전략이 융합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즉 집중과 분산, 적극적 방어와 후방교란, 大ㆍ小부대 활동의 결합, 정규전과 비정규전 배합, 즉시적 반격과 연속적 타격, 적 배후에의 제2 전선 형성, 저격수 및 유격조 활동 등을 들 수 있다. 정보사령부,「북한군 군사사상」(서울 : 정보사령부, 2007.12.),pp 209~210
(2) 선제기습전략
선제기습전략은 전혀 예상치 못한, 또 예상하더라도 대응시간을 박탈할 수 있는 시기와 장소 및 방법을 택하여 상대방을 공격하는 전략으로서 시간의 利을 극대화하여 신속ㆍ비밀ㆍ위계로 행하여지는 전략으로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두기 위한 것이다.
정규군에 의한 대규모 전략적 기습으로부터 특수전 부대를 비롯한 비정규군에 의한 전술적 기습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고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선제기습전략은 이미 1950년대 6ㆍ25전쟁 시 김일성에 의하여 시도된 바 있는데 정규군에 있어서는 기동력과 화력을 극대화하고 비정규군에 있어서는 무장을 경량화시킴으로써 군사력에서 속도의 요소를 중시하여 산악전과 야간전투역량을 강화시켜야한다고 강조하였다.
따라서, 경보병부대를 비롯한 각종 특수전부대를 "무장의 경량화+주력"에 의한 고도의 특수전 준비를 강화하고 있으며 폭력과 비폭력투쟁 정치투쟁과 경제투쟁, 합법ㆍ비합법투쟁 하에 유격전 등을 감행함으로써 정규군 공격을 위한 유리한 상황을 조성시키려 하고 있다.「북한학보 제8권」(서울 : 북한연구소, 1984),pp 271~273
(3) 속전속결전략
속전속결 전략은 전통적인 군사전략이론에서 강조되어 왔던 것으로 우세한 병력을 집중적으로 운용, 상대방의 주력부대를 각개 격파함으로써 전쟁에서 짧은 시간내에 승리를 쟁취하자는 것으로 기동력을 필요로하는 전략이다.
이러한 속전속결 전략 아래 4대 군사노선에 따라 전군의 현대화정책을 지속 추진하여 항공기, 미사일, 전차 등 정규군의 기동력을 대폭 증강시키고 있다.
속전속결 전략을 채택한 배경으로 환경적 측면에서 보면 ①민족역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수도권을 포함한 경인지역을 장악해야만 전세를 결정적으로 유리하게 몰고 나갈 수 있으며, ②미국의 본격적인 참전이 있기 전에 경인지역의 장악 또는 전략적인 절대 우위를 확보할 필요에서 속전속결을 시도할 것, ③중동전에서속전으로 유리한 고지를 장악한 쪽이 정치대세와 군사대세를 좌우했다는 교훈을얻었을 것 ④ 인구 및 경제력에 있어서 남한보다 열세에 있는 북한으로서 장기전을 수행한다는 것이 곤란하다는 점 등이다. 정보사령부,「북한군 군사사상」(서울 : 정보사령부, 2007.12.),pp 212~213
3. 4대 군사노선과 군사전략의 관계
북한의'국방에 있어서의 자위' 원칙, 즉 4대 군사노선은 방위측면에서 의미 뿐 아니라 군사전력의 공격적 측면에 있어서도 함축된 의미가 있다.
북한으로 하여금 남침전쟁을 감행하지 못하는 주된 요인은 한미 동맹체제이다. 그런데 국제정세의 변화 특히, 美ㆍ소ㆍ중 관계의 변화 혹은 이것에 의한 미국의 아시아 정책의 전환으로 북한이 남한과 1대1의 전쟁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할 경우 소련 또는 중국의 지원없이 남침을 시도할 수 있다.
북한은 이러한 상황 도래 시 소련 혹은 중국의 군사전략을 모방해서는 성공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배합전략, 선제기습 전략, 속전속결 전략 등 독자적인 남침전략을 수립했던 것이다. 북한연구소,「북한군사론」(서울 : 북한연구소, 1978.),pp262~263
추천자료
변화하는 북한 변하지 않는 북한
[북한정치] 북한의 권력구조의 변화와 정치체제
[러시아 대북정책][북러정상회담][러시아의 북핵문제에 대한 입장][러시아의 북한에 대한 평...
[북핵문제][북한핵문제][대북정책][핵정책][핵위기][한반도위기]한반도핵문제(북핵문제)에 따...
[대북정책][남북관계][북한][김대중][노무현][남북평화]북한의 대외관계 변화, 김대중정부의 ...
[외교정책][외교][중국 외교정책][북한 외교정책][일본 외교정책][영국 외교정책]중국의 외교...
[권력체제][권력][독일 권력체제 사례][북한 권력체제 사례][중국 공산당 권력체제 사례][한...
[남북협력][남북한협력][남북한공동협력][남북공동협력][북한]남북한의 공동 보훈협력, 남북...
[북한] 북한경제의 자연적 조건
중동 민주화 운동, 원인, 민주화 운동 현황, 결과, 유가상승, 북한의 영향, 북한의 민주화 변...
미국의 대한정책 (주한미군 감축, 베트남 파병, 이라크 파병, 북한 핵문제, 부시행정부 대북...
[통일관(남북통일관)][한국 통일관][북한 통일관][고려 통일관]통일관(남북통일관)과 한국의 ...
[남북화해, 남북화해와 대북정책, 남북화해와 포용정책, 평화협상, 북한정치관, 종교적 자유]...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미국][일본][북한][안보]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와 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