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세포 (細胞)
1. 세포의 구조
2. 세포의 기능
3. 세포분열Cell division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Transport from the cell membrane)
*생체막의 기능(세포막의 기능)
* 물질이동의 방법*
1. 수동수송(passive transport)
2. 능동수송(active transport)
세포의 액체환경
1. 체액의 조성
2. 모세혈관에서 액체이동
3. 기타 체액의 이동
1. 세포의 구조
2. 세포의 기능
3. 세포분열Cell division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Transport from the cell membrane)
*생체막의 기능(세포막의 기능)
* 물질이동의 방법*
1. 수동수송(passive transport)
2. 능동수송(active transport)
세포의 액체환경
1. 체액의 조성
2. 모세혈관에서 액체이동
3. 기타 체액의 이동
본문내용
분의 이동-
수분의 이동은 * 모세혈관에서 수분을 혈관 밖으로 밀어내는 힘
* 수분을 모세혈관 내로 끌어들이는 힘(교질삼투압)
* 수분을 혈관내로 밀어 넣으려는 힘(조직압)
=> 세 개의 압력에 의해 결정
-혈액이 모세혈관에 도달하면 모세혈관의 혈압은 32mmHg이고, 모세혈관을 따라 혈액이 더 흘러가면 혈압이 12mmHg까지 저하된다. 모세혈관막은 수분투과성이 있고 모세혈관 혈압은 수분이 모세혈관벽을 통해 간질공간으로 빠져나가 조직액을 형성하도록 한다.
BP 35mmHg BP 15
35 15
25 COP 25mmHg 25
COP: colloidal osmotic pressure교질삼투압
* 혈액이 모세혈관에 도달하면 모세혈관의 혈압은 35mmHg이고, 모세혈관을 따라 혈액이 더 흘러가면 혈압이 15mmHg 까지 저하, 모세혈관막은 투과성이 있고 모세혈관압은 수분 이 모세혈관벽을 통해 간질공간으로 빠져나가 조직액을 형성하도록 한다.
* 조직액에는 혈장단백질이 없으므로 혈장내 혈장단백질이 교질삼투압을 형성하여 수분을 간질공간에서 혈관으로 끌어 들인다.
* 모세혈관의 동맥단의 혈압이 35mmHg로 삼투압(25)보다 커서 모세혈관으로 재흡수되는 것보다 간질공간으로 나가는 수분이 많으므로 조직액을 형성한다. 반면, 모세혈관의 정맥 단에서는 삼투압이 혈압보다 커서 조직액이 모세혈관으로 재흡수된다.
<용어>
* 액압(fluid pressure) or 모세혈관압(capillary pressure)
심장이 혈액의 액체성분을 모세혈관 밖으로 여과시키는 힘 모세혈관의 동맥단의 혈압이 35mmHg
세혈관의 정맥단의 혈압이 15mmHg
* 혈장교질 삼투압(plasma colloidal osmotic pressure)
모세혈관막이 혈장내에 있는 단백질 분자를 통과시키지 못하므로 생기는 삼투압
즉 모세혈관 밖에 있는 액체를 모세혈관내로 밀어 넣는 힘
혈장단백질의 교질삼투압 25mmHg
* 조직압(tissue pressure)
세포사이에 있는 조직액이 갖는 압력-2mmHg
즉, 조직액은 모세혈관내로 밀어내는 힘
* 조직교질 삼투압(tissue colloidal osmotic pressure)
조직액 내에도 적은 양의 단백질이 존재
모세혈관내에 있는 혈장에서 액체를 조직쪽으로 밀어내는 힘-2mmHg
3. 기타 체액의 이동
1) 용질의 확산에 의한 이동
2) 혈관운동에 의한 이동
3) 음세포작용에 의한 이동
4) 세포막을 통한 이동
수분의 이동은 * 모세혈관에서 수분을 혈관 밖으로 밀어내는 힘
* 수분을 모세혈관 내로 끌어들이는 힘(교질삼투압)
* 수분을 혈관내로 밀어 넣으려는 힘(조직압)
=> 세 개의 압력에 의해 결정
-혈액이 모세혈관에 도달하면 모세혈관의 혈압은 32mmHg이고, 모세혈관을 따라 혈액이 더 흘러가면 혈압이 12mmHg까지 저하된다. 모세혈관막은 수분투과성이 있고 모세혈관 혈압은 수분이 모세혈관벽을 통해 간질공간으로 빠져나가 조직액을 형성하도록 한다.
BP 35mmHg BP 15
35 15
25 COP 25mmHg 25
COP: colloidal osmotic pressure교질삼투압
* 혈액이 모세혈관에 도달하면 모세혈관의 혈압은 35mmHg이고, 모세혈관을 따라 혈액이 더 흘러가면 혈압이 15mmHg 까지 저하, 모세혈관막은 투과성이 있고 모세혈관압은 수분 이 모세혈관벽을 통해 간질공간으로 빠져나가 조직액을 형성하도록 한다.
* 조직액에는 혈장단백질이 없으므로 혈장내 혈장단백질이 교질삼투압을 형성하여 수분을 간질공간에서 혈관으로 끌어 들인다.
* 모세혈관의 동맥단의 혈압이 35mmHg로 삼투압(25)보다 커서 모세혈관으로 재흡수되는 것보다 간질공간으로 나가는 수분이 많으므로 조직액을 형성한다. 반면, 모세혈관의 정맥 단에서는 삼투압이 혈압보다 커서 조직액이 모세혈관으로 재흡수된다.
<용어>
* 액압(fluid pressure) or 모세혈관압(capillary pressure)
심장이 혈액의 액체성분을 모세혈관 밖으로 여과시키는 힘 모세혈관의 동맥단의 혈압이 35mmHg
세혈관의 정맥단의 혈압이 15mmHg
* 혈장교질 삼투압(plasma colloidal osmotic pressure)
모세혈관막이 혈장내에 있는 단백질 분자를 통과시키지 못하므로 생기는 삼투압
즉 모세혈관 밖에 있는 액체를 모세혈관내로 밀어 넣는 힘
혈장단백질의 교질삼투압 25mmHg
* 조직압(tissue pressure)
세포사이에 있는 조직액이 갖는 압력-2mmHg
즉, 조직액은 모세혈관내로 밀어내는 힘
* 조직교질 삼투압(tissue colloidal osmotic pressure)
조직액 내에도 적은 양의 단백질이 존재
모세혈관내에 있는 혈장에서 액체를 조직쪽으로 밀어내는 힘-2mmHg
3. 기타 체액의 이동
1) 용질의 확산에 의한 이동
2) 혈관운동에 의한 이동
3) 음세포작용에 의한 이동
4) 세포막을 통한 이동
추천자료
황우석박사의 연구 지속과 윤리문제, 국의문제, 줄기세포 특허 문제의 심층적 논의
[교양]인간 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2005년 황우석 교수 사태를 중심으로
황우석박사 논란과 지속, 윤리문제, 국익문제, 줄기세포 특허 문제에 관한 심층적 고찰
[과외]고등 생물2-8세포 02
[인간복제][생명복제]인간배아복제의 개념, 생명복제기술의 발달, 복제인간 실험, 이안 윌멋...
[생명복제][생명복제기술][생명윤리][윤리적 문제][황우석사태][줄기세포][배아복제]생명복제...
황우석 신드롬 & 줄기 세포 연구의 쟁점 분석
[생명과학실험]현미경사용방법과 세포관찰
(예비+결과) 동,식물 세포의 관찰 및 크기 계측
[윤리적 관점][정보통신][유전자조작식품][GMO]윤리적 관점으로 본 정치권력, 윤리적 관점으...
[2005년, 2000년대]2005년(2000년대)의 인간체세포배아복제, 2005년(2000년대)의 정보화기술,...
핵산(Nucleic acid)의 합성, 단백질(Protein)의 합성과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
[2015기초간호과학]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면역관련 4가지형태 과민반응 특징, 주요질환, 4...
실험보고서 - 동물, 식물세포 관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