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허약함, 부패, 우리 육신의 어리석음'을 여실히 드러내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또한 웃음은 두려움을 없애는 기능을 하며 급기야는 체제전복적인 힘을 발휘한다고 말한다. 다시 말해 웃음은 우리를 죽음의 두려움으로부터 해방시켜 준다는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당시 웃음은 악마의 유혹(힘)으로 간주하였고 그의 신앙관은 죽음은 신의 영향하에 있는 것인데 신에게 벗어난다는 것은 신에 대한 도전이며 권력에 도전한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정작 호르헤가 두려워하는 것은 권위를 가진 대상(神)의 실체와 허위의식을 드러내어 그 대상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없애고 비판적인 의식을 갖게 되는 것이 두려웠던 것이다.
종교개혁은 16세기 이후로 유럽의 그리스도 교권을 두 개로 나누는 결과를 가져왔다. 북유럽은 루터파의 영향에 들어가고 남유럽은 가톨릭 교회의 세력권에 머물게 되었다. 20세기에 와서 소설로 창작되고 영화화된 ‘장미의 이름’ 이 영화는 무대가 종교개혁의 2세기전인 14세기의 무대임에도 불구하고 그 속에 신교의 입장을 투영시킬 수 있는 윌리암과 구교의 입장을 투영시킬 수 있는 호르헤 수사 등 여러 가지 장면들이 종교개혁의 축소판을 보여주기에 충분한 영화이다.
종교개혁은 16세기 이후로 유럽의 그리스도 교권을 두 개로 나누는 결과를 가져왔다. 북유럽은 루터파의 영향에 들어가고 남유럽은 가톨릭 교회의 세력권에 머물게 되었다. 20세기에 와서 소설로 창작되고 영화화된 ‘장미의 이름’ 이 영화는 무대가 종교개혁의 2세기전인 14세기의 무대임에도 불구하고 그 속에 신교의 입장을 투영시킬 수 있는 윌리암과 구교의 입장을 투영시킬 수 있는 호르헤 수사 등 여러 가지 장면들이 종교개혁의 축소판을 보여주기에 충분한 영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