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메시지)
근거없는 이야기를 해서는 안된다
내가 보고 들은 것만 이야기한다(감각정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생각을 말한다(생각)
그 일에 대해 내가 어떻게 느끼는지 말한다(감정)
무엇을 원하는지 말한다(소망)
내가 무엇을 할 것인지(행동)를 이야기한다.
예) 요즘, 재떨이를 보세요, 당신 담배를 너무 많이 피우고 있어요(감각정보)
당신 건강에도 좋지 않고 나도 간접 흡연을 하고 있는 셈이지요(생각)
얘기를 해도 계속 피우니 화가 나요(감정)
우리의 건강을 위해 담배를 끊거나 줄였으면 좋겠어요(소망)
당신이 담배대신 즐기만한 과자나 사탕을 준비해 드릴께요(행동)
3. 듣기
말하기 보다 더 어렵다. 도중에 끼어들지 말고 주의를 기울이면서(주의 기울이기) 표정이나 몸짓으로 상대방의 이야기를 인정해 준다는 것을 표시한다(인정하기)
이야기가 끝나면 더 이야기 할 것이 없는지 물어보고(정보요청하기) 상대방이 이야기 하고자하는 것이 이러저러한 것인지 요약해 준다(요약하기)
예) 더 말할 건 없어, 그래 내가 최근 담배를 많이 피웠지, 건강에도 좋지 않은데, 여러번 이야기해도 듣지 않아 화가 났군, 담배 대신 과자를 먹으면 줄일 수 있을 거야.
4. 금기 사항
직접 관계 없는 일을 끌어들이거나 비교, 원망, 비난하는 말을 해서는 안된다. 한가지 문제만 이야기한다. 다른 문제로 비약해서는 안된다.
IV. 말하기 기술 연습
1) 감각 정보 묘사하기
2) 생각 표현하기
3) 느낌 나누기
4) 소망이야기하기
5) 행동진술하기
■ “당신 요즘 왜 그렇게 돈을 많이 써요”라고 쏘아붙이기보다
“나는 우리 가계의 지출(행동)이 많은 것이 걱정(감정)돼요.
“통장 잔고가 거의 바닥 났어요(감각 정보)
“당신이 쓰임새를 좀 더 줄였으면 좋겠어요(소망)
■ “당신, 요즘 자주 늦네요”(사실, 감각정보)
“내 생간엔 당신이 요즘 가정에 소홀해진 것 같아요”(아내의 사고)
“서운하네요”(아내의 감정)
“좀 일찍 들어오거나 늦더라도 미리 잡힌 약속이면 아침에 먼저 이야기 해줬으면 좋겠어요”(아내의 소망)
V. 듣기 기술
1) 주의 기울이기
2) 상대방의 경험 인정하기
3) 더 많은 정보 요청하기
4) 정확성을 위해 요약하기
5) 개방질문하기
예) 폐쇄형 질문
“당신은 화가 나 있어요, 아니면 슬퍼하고 있어요?
당신은 지금 멈추기를 원하세요.
예) 개방형 질문하기
“당신이 얼굴을 찡그리고 계시는데(감각적 정보) 무슨 일이 있어요?(개방질문)
*연습문제
폐쇄형 질문→개방형질문으로
1) 그가 말한 것에 대해 당신은 화났나요?
→
2) 그녀의 얼굴에서 웃음을 보았나요?
→
3) 그의 목소리에서 위협적인 어조를 들었어요?
→
4) 그것은 당신은 기쁘게해요, 슬프게해요?
→
5) 그녀에게 바로 다시 전화했어요?
→
6) 직장을 바꾸려고 하세요?
→
7) 당신계획은 이제 다 세워졌나요?
→
8) 토요일, 아니면 월요일에 돌아올 꺼예요?
→
9) 그것이 옳다고 생각해요, 그르다고 생각해요?
→
10) 당신은 갈 거예요, 머물 거예요?
→
11) 당신 또 담배 피웠지! 정말 이럴거야?
→
근거없는 이야기를 해서는 안된다
내가 보고 들은 것만 이야기한다(감각정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생각을 말한다(생각)
그 일에 대해 내가 어떻게 느끼는지 말한다(감정)
무엇을 원하는지 말한다(소망)
내가 무엇을 할 것인지(행동)를 이야기한다.
예) 요즘, 재떨이를 보세요, 당신 담배를 너무 많이 피우고 있어요(감각정보)
당신 건강에도 좋지 않고 나도 간접 흡연을 하고 있는 셈이지요(생각)
얘기를 해도 계속 피우니 화가 나요(감정)
우리의 건강을 위해 담배를 끊거나 줄였으면 좋겠어요(소망)
당신이 담배대신 즐기만한 과자나 사탕을 준비해 드릴께요(행동)
3. 듣기
말하기 보다 더 어렵다. 도중에 끼어들지 말고 주의를 기울이면서(주의 기울이기) 표정이나 몸짓으로 상대방의 이야기를 인정해 준다는 것을 표시한다(인정하기)
이야기가 끝나면 더 이야기 할 것이 없는지 물어보고(정보요청하기) 상대방이 이야기 하고자하는 것이 이러저러한 것인지 요약해 준다(요약하기)
예) 더 말할 건 없어, 그래 내가 최근 담배를 많이 피웠지, 건강에도 좋지 않은데, 여러번 이야기해도 듣지 않아 화가 났군, 담배 대신 과자를 먹으면 줄일 수 있을 거야.
4. 금기 사항
직접 관계 없는 일을 끌어들이거나 비교, 원망, 비난하는 말을 해서는 안된다. 한가지 문제만 이야기한다. 다른 문제로 비약해서는 안된다.
IV. 말하기 기술 연습
1) 감각 정보 묘사하기
2) 생각 표현하기
3) 느낌 나누기
4) 소망이야기하기
5) 행동진술하기
■ “당신 요즘 왜 그렇게 돈을 많이 써요”라고 쏘아붙이기보다
“나는 우리 가계의 지출(행동)이 많은 것이 걱정(감정)돼요.
“통장 잔고가 거의 바닥 났어요(감각 정보)
“당신이 쓰임새를 좀 더 줄였으면 좋겠어요(소망)
■ “당신, 요즘 자주 늦네요”(사실, 감각정보)
“내 생간엔 당신이 요즘 가정에 소홀해진 것 같아요”(아내의 사고)
“서운하네요”(아내의 감정)
“좀 일찍 들어오거나 늦더라도 미리 잡힌 약속이면 아침에 먼저 이야기 해줬으면 좋겠어요”(아내의 소망)
V. 듣기 기술
1) 주의 기울이기
2) 상대방의 경험 인정하기
3) 더 많은 정보 요청하기
4) 정확성을 위해 요약하기
5) 개방질문하기
예) 폐쇄형 질문
“당신은 화가 나 있어요, 아니면 슬퍼하고 있어요?
당신은 지금 멈추기를 원하세요.
예) 개방형 질문하기
“당신이 얼굴을 찡그리고 계시는데(감각적 정보) 무슨 일이 있어요?(개방질문)
*연습문제
폐쇄형 질문→개방형질문으로
1) 그가 말한 것에 대해 당신은 화났나요?
→
2) 그녀의 얼굴에서 웃음을 보았나요?
→
3) 그의 목소리에서 위협적인 어조를 들었어요?
→
4) 그것은 당신은 기쁘게해요, 슬프게해요?
→
5) 그녀에게 바로 다시 전화했어요?
→
6) 직장을 바꾸려고 하세요?
→
7) 당신계획은 이제 다 세워졌나요?
→
8) 토요일, 아니면 월요일에 돌아올 꺼예요?
→
9) 그것이 옳다고 생각해요, 그르다고 생각해요?
→
10) 당신은 갈 거예요, 머물 거예요?
→
11) 당신 또 담배 피웠지! 정말 이럴거야?
→
추천자료
가족의 의사소통
아동과 가족의 의사소통
아동과 가족의 의사소통
아동과 가족의 의사소통
가족과의 의사소통 -아동 간호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가족치료의 모델,구조적 가족치료,의사소통 가족치료 모델,전략적 가족...
의사소통 유형
가족 의사소통 기능에 가장 큰 문제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찾아보고 대안을 제시
가족 의사소통 기능에 가장 큰 문제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찾아보고 대안을 제시.
효과적인 의사소통방법과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고, 자신의 의사소통 유...
내가 생각하는 우리가족의 정의는 무엇인지와 ​가족원의 의사소통을 참고하여 본론...
[내가 생각하는 우리가족의 정의는 무엇인지와가족원의 의사소통을 참고하여 본론으로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