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출청소년의 유형,개념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출청소년의 유형,개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 시작하는말‥‥‥‥‥‥‥‥‥‥‥‥‥‥‥‥‥‥‥‥ 2

Ⅱ 본 론
❒ 가출청소년 개념‥‥‥‥‥‥‥‥‥‥‥‥‥‥‥‥‥ 3
1. 가출청소년의 개념 의미/3
2. 연도별 살펴본 가출 의미/4
❒ 가출 청소년 유형‥‥‥‥‥‥‥‥‥‥‥‥‥‥‥‥‥4
1. 학자별따른 유형/4
2. 청소년 가출 유형/5
❐ 가출 청소년 특성‥‥‥‥‥‥‥‥‥‥‥‥‥‥‥‥‥ 6
❐ 가출 청소년의 이론적 시각 및 관점 ‥‥‥‥‥‥ 6
❒ 가출의 원인 및 사례‥‥‥‥‥‥‥‥‥‥‥‥‥‥‥‥8
❒ 청소년 가출 실태‥‥‥‥‥‥‥‥‥‥‥‥‥‥‥‥‥11
❒ 가출 청소년 당면 문제점‥‥‥‥‥‥‥‥‥‥‥‥ 13

Ⅲ 결 론
❒ 가출 청소년을 위한 현행 사회적 지원 체계 문제점‥‥‥ 16
1. 가출청소년 보호를 위한 법적체계상 문제점/16
2. 가출청소년 관련 행정 체계상 문제점/17
3. 가출청소년 관련 서비스상 문제점/18
❒ 가출청소년 위한 지원방안‥‥‥‥‥‥‥‥‥‥‥‥17
1. 개인 및 가정 차원에서 지원/18
2. 교육 차원에서 지원/19
3. 사회적 차원에서 지원/20
❒맺는말‥‥‥‥‥‥‥‥‥‥‥‥‥‥‥‥‥‥‥‥‥‥‥ 22
❒참고문헌‥‥‥‥‥‥‥‥‥‥‥‥‥‥‥‥‥‥‥‥‥‥ 22

본문내용

지역청소년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자리잡도록 하며 나아가 지역사회 공동체 회복운동을 전개해 나갈 수 있도록 교육시켜야 하겠다.
3. 사회제도적 차원에서의 지원
(1) 가출청소년 지원 근거법 마련
현재 청소년관련법으로는 가출청소년에 대한 개념 규정이나 구체적인 규정이 신속히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가출청소년의 정의와 가출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규정이 법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야 하겠다.
(2)가출청소년에 대한 시각 전환
가출현상에 대해 언론매체나 지역정보지를 통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홍보전략으로 가출청소년들이 통제의 대상이 아닌 원조의 대상자로 보아야하고, 가출청소년의 보호와 지도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 강조와 더불어 가출청소년 보호가 개인이의 책임이 아니라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라는 것을 분명히 밝히고 다양한 지원을 행해야 하겠다.
(3) 가출청소년을 위한 지원체계 확립
가출에 대한 시각 전환으로 가정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로 인식하여 행정부처 중에서 가출청소년을 표적대상으로하는 주무부처를 설정하고, 가출청소년업무의 비중을 높이고 다른 부처와 연계한 종합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분산되지 않도록 조정이 필요하며, 특히 민간의 서비스 제공은 정부책임의 대행이므로 재정적, 행정적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4) 일시보호서 및 중장기 시설의 확대 설치+ 전문요원 확충+재정 지원
청소년가출의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이들이 가출해서 당장 먹고자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제2의 비행과 범죄로 연결되기 쉽다. 돌아갈 가정이 없는, 또는 돌아가서는 안 될 가정을 가진 가출청소년들에게는 임시로 머물 수 있는 가출 청소년 쉼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쉼터에서는 예산 및 전문인력 부족으로 운영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국가에서는 재정적 지원과 더불어 청소년관련 보호시설 및 문화시설을 확충하여 가출청소년들이 2차적 비행을 예방하여야 할 것이다. 이때 주의되어야 할 점은 시설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아야 하며 가출청소년 특성상 너무 크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접근성이 용이하여야 한다.
(5) 가출청소년 전용 직업훈련센터 마련
가출청소년은 집에서 나올 경우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일이 일자리를 찾는 것이다. 현재 이들이 안정되게 보호 받으면서 일할 수 있는 곳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이들은 자신의 신분이 노출되는 것을 꺼려하므로 중·소 공장이나 분식집, 유흥업소 등에서 아르바이트 형식의 일을 하게 되고, 이를 악용하는 업주로부터 법적인 보호는커녕 오히려 노동착취의 대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가출청소년들을 이러한 업소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유흥업소의 접객부를 포함한 종사자, 신문 가판업소, 기타 영세 가내업소에 고용, 취업된 업소 종사자들에 대해서 전산입력 조치가 제도적으로 의무화해야 하겠다. 그 외에도 공고직업소개소를 가출청소년이 많이 모이는 지역에 설치하여 이들이 적절한 보호를 받으면서 일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6) 유해환경 정화
사회환경적 차원에서 빈곤 및 비행 다발지역에 대한 지역사회적 환경을 정비하고, 지역복지정책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본다. 청소년들이 자율적으로 활동하며 그들의 건전한 문화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청소년을 위한 소규모의 공간, 시설 등을 지역사회마다 설치하여 비행이나 가출유혹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해야 한다.
━━맺 는 말━━
청소년들에게 나타나는 정서적 불안감, 자기확신의 결여, 유혹에 빠지는 경향과 즉흥적인 태도는 자기발견의 기회나 자아정체감 확립이 결여된 청소년들에게 가출의 원인을 낳게 하고 있다. 청소년의 가출은 대부분이 가정적 결함에 원인이 있으므로 청소년가출을 감소시킬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문제가정에 예방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안정되고 화목한 가정에서 생활하는 자녀가 가출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사회적환경보다는 가정을 둘러싼 가족간의 인간관계가 원만히 이루어지는 것이 가출을 예방하는 지름길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우리나라의 청소년가출에 대한 대책은 가출 그 자체에 대한 대책에 머무르고 있다. 예컨대 가출청소년들을 일시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시설로 운영되고 있으며 가출이후에 행하게 되는 각종 범죄에 대해서는 거의 방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정부차원에서의 유해사범 단속과 법률에 근거한 청소년 성매매에 대한 처벌 등으로 가출청소년이 범죄에 빠져드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없는 것은 아니나, 그러한 법률 역시 가출 이후에 행해진 범죄에 대한 가해자의 처벌강화로서 범죄에 대한 가해자의 처벌강화로서 범죄에 대한 사후대책의 성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청소년의 가출은 가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이후에 행해지게 되는 범죄로 인하여 그 심각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가출에 이어지는 청소년범죄를 예방하고 그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가출청소년, 가족, 지역사회, 국가가 긴밀한 연계와 부단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우리나라의 현실을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면 한다.
참고문헌 및 출저
김향초 (1998) 가출청소년의 이해. 학지사
표갑수 (2004) 아동청소년복지론. 나남출판사
김지혜 (2003) 가출청소년 사례관리 지짐서 . 나눔의 집
김성이 외(2004)『청소년복지학』ː아산재단
이용교 편(2004)『디지털 청소년 복지』ː인간과 복지
민가영 편(2003)『가출, 지금거리에소녀는 없다』ː우리교육
권이종 편(1992)『청소년 여가생활』ː한국청소년연구원
서울YMCA청소년쉼터ːhttp://www.ymca/or.kr/shelter
한국청소년쉼터 협의회ː http://www.jikimi.or.kr
가출비행소년과 만남 ːhttp://taekuk.netian.com/
우리세상ːhttp://www.shelter.or.kr/
http://script.imnews.imbc.com/vodnews/article.asp?SeqNo=33378&CntsCode=A020200&CateCoe=B030000
http://find.sbs.co.kr/search.html?mode=news&keyword=%B0%A1%C3%E2%C3%BB%BC%D2%B3%E2&pageNum=2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0.05.01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