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기
Ⅱ. 읽기
ⅰ. 단군신화(檀君神話)
ⅱ. 단군신화의 역사
Ⅲ. 나오기
Ⅱ. 읽기
ⅰ. 단군신화(檀君神話)
ⅱ. 단군신화의 역사
Ⅲ. 나오기
본문내용
집착하여 새로운 역사를 창조할 신성한 정신적 차원을 배제한 것은 잘못이라고 해야 한다. 민족사의 올바른 정립을 위해서는 삼국사기의 그러한 결점이 시정되고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일연의 삼국유사는 그런 각도에서 삼국에서 전해지는 말과 글을 채집하여 일종의 기전체(개인의 전기를 모아 한 시대의 역사를 구성하는 것)로 편성한 것이다. 그렇다면 삼국유사는 김부식의 삼국사기를 끝내 부정한 것이 아니라 그 결점을 보완하여 삼국의 진정한 역사를 이루려는 데에 궁극적인 찬술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유사라는 서명은 삼국사기에 대한 보유라는 뜻이 있어서 더욱 그러한 인상을 짙게 한다.
일연의 삼국유사는 이규보의 동명왕편을 계승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규보가 민족사의 주체적 창조를 위한 정신적 차원을 동명왕 1인에 한정하여 서술하였던 것과는 달리, 일연은 그것을 삼국 전체에 확대하였고, 무교의 천제신앙에 입각해 있던 신성관념을 불교화해야한다는 엄연한 역사적 사실을 인식시키려 하였다. 이러한 그의 역사의식은 고조선의 전승을 중심으로 동명설화 및 도교, 불교의 종교적 관념까지를 수용하여 민족전체의 건국신화를 발전시킨 단군신화를 크게 평가하게 하였으며, 이로써 삼국의 기원이 성립됨으로 인하여 이후 단군신화는 한민족의 역사적 기원으로 정착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신성한 창업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서는 합리적인 유교윤리의 중요성이 또한 의식되기에 이런 견지에서 일연의 삼국유사는 궁극적으로는 김부식의 삼국사기를 보유한다는 입장을 취했던 것이다.(고익진 저, 한국의 불교사상 중 일연의 역사의식과 단군신화에서)
일연의 삼국유사는 이규보의 동명왕편을 계승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규보가 민족사의 주체적 창조를 위한 정신적 차원을 동명왕 1인에 한정하여 서술하였던 것과는 달리, 일연은 그것을 삼국 전체에 확대하였고, 무교의 천제신앙에 입각해 있던 신성관념을 불교화해야한다는 엄연한 역사적 사실을 인식시키려 하였다. 이러한 그의 역사의식은 고조선의 전승을 중심으로 동명설화 및 도교, 불교의 종교적 관념까지를 수용하여 민족전체의 건국신화를 발전시킨 단군신화를 크게 평가하게 하였으며, 이로써 삼국의 기원이 성립됨으로 인하여 이후 단군신화는 한민족의 역사적 기원으로 정착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신성한 창업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서는 합리적인 유교윤리의 중요성이 또한 의식되기에 이런 견지에서 일연의 삼국유사는 궁극적으로는 김부식의 삼국사기를 보유한다는 입장을 취했던 것이다.(고익진 저, 한국의 불교사상 중 일연의 역사의식과 단군신화에서)
추천자료
단군 신화
[한국의 신화] 단군, 동명왕, 온조, 박혁거세
단군 신화의 의미와 단군 인식의 변천
그리스 신화와 한국 건국 신화 - 그 속에 나타난 여성의식 연구
건국 신화들의 비교
단군 신화의 제문제
단군의 만들어진 신화
단군이 사라져도 민족은 있다 (단군 신화에 대한 비판)
단군 신화의 모티브를 차용하여 대중적 영화 만들기
건국 신화(고조선, 백제, 가야, 고구려..)
[윤리][윤리적문제][윤리성]21세기의 윤리적 가치관, 단군신화의 윤리적 의미, 거짓말의 윤리...
색(색상, 색깔, 색채) 개념, 색(색상, 색깔, 색채) 역사, 색(색상,색깔,색채) 감정효과, 흰색...
우리 나라의 건국 신화
[영어영작/영어작문/영어에세이] 단군신화 소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