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비만증의 개요
2.비만의 원인
3.비만의 진단
4.비만과 운동법
5.비만과 식이요법
2.비만의 원인
3.비만의 진단
4.비만과 운동법
5.비만과 식이요법
본문내용
저항운동을 함으로써 제지방 조직이 손실되지 않도록 보호한다는 점이다.
- 앞에서 언급한대로 일주일에 0.5kg씩 체중을 감량시켜 20주 동안 10kg(체지방 1kg을 줄이기 위해서는 약 7,700kcal의 에너지가 필요)을 감소시킨다고 하면, 하루에 550kcal씩 주당 3,850kcal의 에너지를 소비해야 한다.
- 550kcal를 운동으로만 소비하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운동요법으로 300kcal, 식이 요법으로 250kcal를 줄이는 것이 적당하다.
- 만약 유산소 운동으로 주당 3일 350kcal를 소비한다면 1,050kcal이므로 음식섭취 제한으로 주당 2,800kcal(1일당 400kcal)를 줄여야 함
- 5일 운동을 하게 되면 1,750kcal이므로 음식섭취 제한으로 주당 2,100kcal(1일당 300kcal)를 소비해야 한다.
저항운동과 체중감량
- 저항운동은 조깅이나 자전거타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과 비교시 에너지 소비면에서 볼 때 영향을 덜 미침
- 동일한 운동시간에서 강도 높은 저항운동은 격렬한 유산소 운동시 소비하는 칼로리의 66%만 소비
- 저항운동은 체중감량에 직접적이기 보다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미침
- 근육량의 감소 (열량섭취 제한으로 인한)는 안정시 대사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
- 체중감량 프로그램 시행중 근육량 유지는 매우 중요
- 저항운동은 체지방 감소, 제지방량 증가, 운동 중, 후 안정시 대사량 증가시킴
- 제지방량 증가 - 안정시 대사량 증가
- 제지방량 감소 - 안정시 대사량 감소
- 800 칼로리만 섭취하는 극도의 저칼로리 다이어트에 저항운동과 유산소운동이 제지방량과 안정시 대사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유산소성 운동그룹은 제지방량 감소, 안정시 대사량 감소
→ 저항성 운동그룹은 제지방량 유지, 안정시 대사량 증가
- 결국, 저항운동은 식이 다이어트 유무에 상관없이 제지방량 유지 또는 증가시킴으로써 안정시 대사량을 유지 또는 증가시킴
- 안정시 대사량의 증가는 지방산화(분해)를 증가시킴
- 체중조절을 위해 유산소 운동과 저항운동을 병행
비훈련자를 위한 저항운동 프로그램
- 낮은 강도로 적은양(1set 10-12 RM) 시작
- 더 많은양과 알맞은 강도(3-4set 8-12 RM)로 늘림
- 훈련된 사람은 단지 세트 수를 늘리고 강도를 높이고 그에 맞게 반복 횟수를 조정
- 운동사이 휴식시간(60-90초), 상체운동과 하체를 교대로
- 앞에서 언급한대로 일주일에 0.5kg씩 체중을 감량시켜 20주 동안 10kg(체지방 1kg을 줄이기 위해서는 약 7,700kcal의 에너지가 필요)을 감소시킨다고 하면, 하루에 550kcal씩 주당 3,850kcal의 에너지를 소비해야 한다.
- 550kcal를 운동으로만 소비하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운동요법으로 300kcal, 식이 요법으로 250kcal를 줄이는 것이 적당하다.
- 만약 유산소 운동으로 주당 3일 350kcal를 소비한다면 1,050kcal이므로 음식섭취 제한으로 주당 2,800kcal(1일당 400kcal)를 줄여야 함
- 5일 운동을 하게 되면 1,750kcal이므로 음식섭취 제한으로 주당 2,100kcal(1일당 300kcal)를 소비해야 한다.
저항운동과 체중감량
- 저항운동은 조깅이나 자전거타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과 비교시 에너지 소비면에서 볼 때 영향을 덜 미침
- 동일한 운동시간에서 강도 높은 저항운동은 격렬한 유산소 운동시 소비하는 칼로리의 66%만 소비
- 저항운동은 체중감량에 직접적이기 보다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미침
- 근육량의 감소 (열량섭취 제한으로 인한)는 안정시 대사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
- 체중감량 프로그램 시행중 근육량 유지는 매우 중요
- 저항운동은 체지방 감소, 제지방량 증가, 운동 중, 후 안정시 대사량 증가시킴
- 제지방량 증가 - 안정시 대사량 증가
- 제지방량 감소 - 안정시 대사량 감소
- 800 칼로리만 섭취하는 극도의 저칼로리 다이어트에 저항운동과 유산소운동이 제지방량과 안정시 대사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유산소성 운동그룹은 제지방량 감소, 안정시 대사량 감소
→ 저항성 운동그룹은 제지방량 유지, 안정시 대사량 증가
- 결국, 저항운동은 식이 다이어트 유무에 상관없이 제지방량 유지 또는 증가시킴으로써 안정시 대사량을 유지 또는 증가시킴
- 안정시 대사량의 증가는 지방산화(분해)를 증가시킴
- 체중조절을 위해 유산소 운동과 저항운동을 병행
비훈련자를 위한 저항운동 프로그램
- 낮은 강도로 적은양(1set 10-12 RM) 시작
- 더 많은양과 알맞은 강도(3-4set 8-12 RM)로 늘림
- 훈련된 사람은 단지 세트 수를 늘리고 강도를 높이고 그에 맞게 반복 횟수를 조정
- 운동사이 휴식시간(60-90초), 상체운동과 하체를 교대로
추천자료
청소년 운동 프로그램(건강)- 운동프로그램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의 차이점
[재활운동] 재활운동의 의미와 목적 그리고 필요성, 치료방법, 재활트레이닝 시 유의점, 중요...
운동처방(Exercise Prescription)의 중요성 및 운동처방 프로그램
유아기 운동놀이의 지도원리와 운동놀이지도 및 활동내용의 실예
운동과 건강 (필라테스 운동에 관하여)
[운동학습] 운동학습과 피드백에 대한 이론
[운동처방학] 고혈압과 운동처방에 관해서
[운동처방] 운동과 영양 - 스포츠 영양
[운동중독] 운동중독의 원인, 특징, 대책
알코올과 운동 & 흡연과 운동 (술의 작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