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 민요에 대한 정의 및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요] 민요에 대한 정의 및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민요에 대해서...

1. 민요의 분류와 그 특징
1) 육자배기조
2) 메나리조
3)타령조의음계 가락
4) 수심가조의락

5. 기타의 가락

본문내용

난봉가 계통의 음악에는 서도소리 특유의 시김새를 많이 가지고 있는데 곡목으로는 잦은난봉가, 병신난봉가, 소연평난봉가, 인천 소금밭 일놀이 중수세기 등이 있다.
그리고 메나리조와 육자배기조가 혼합되어 있는 형태, 또 메나리조와 창부타령조가 혼합되어 있는 형태로 개고리 개골천, 삼대독자 외아들, 부여 용정리 호상놀이 중 짝수소리, 고양 훨훨이, 고양 몸돌여, 고성 농사짓기 중 방아타령, 부여 모심기소리 등이 있다.
제주도 민요는 그 독특한 방언과 함께 다른 지역의 민요와 다른 맛을 자아낸다. 이야홍타령, 서우젯소리, 오돌또기등이 대표적이다.
이 외에도 그 특징을 단정짓기가 어려운 형태의 민요도 많이 있으므로 보다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각 지방의 민요의 특징을 간단히 적어 보면 서울 지방은 맑고 깨끗하며, 경쾌한 감이 있고. 전라도 지방은 소리가 낮고 부드러우면서도 억양이 분명하고, 경상도 지방은 꿋꿋하고 위압적이며, 서도 지방은 어딘지 모르게 상심 아닌 것이 없는 느낌을 주며, 강원도와 함경도 지방은 대체로 제일 높은 음으로부터 높이 질러낸 다음, 차차 하강하여 가장 낮은 음에서 종지 한다.
교사가 관심을 갖고 우리네 조상들이 삶의 생활 속에서 불러왔던 민요를 아동들에게 알려주고, 그 가창 방법에 대한 지도도 이루어질 때 국적 있는 음악으로서 작은 일부터 이루어지리라 생각된다. 우리 나라의 민요가 이렇게 많은 줄 몰랐다. 아마도 발굴하지 않아서 그렇지 더 많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코다이 같은 음악학자의 발굴 작업과 교사들이 민요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을 갖고 보급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추천자료

  • 가격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5.06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81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