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GE의 성과부진자 관리 사례
2. 우리나라의 경우
3. 성과부진자 해고의 법적 정당성 문제
4. 해고의 정당성 관련 판례 분석
2. 우리나라의 경우
3. 성과부진자 해고의 법적 정당성 문제
4. 해고의 정당성 관련 판례 분석
본문내용
기간을 연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성과가 없었음을 이유로 한 면직의 정당성을 인정하였으며,
“원고는 대기발령을 받은 후 청와대 및 일부 국회의원에게 민원을 제기하는 등 자신의 주장을 강변하는 태도를 보여왔을 뿐, 달리 대기발령 사유를 해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 흔적을 엿볼 수 없는 점, 참가인의 인사규정 제22조제1항제5호에 의하면 `‘직무수행능력 부족’ 자체가 면직사유로 규정되어 있는데, 앞서 본 바와 같은 원고의 직무수행능력이나 근무태도만으로도 충분히 해고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이는 점 등에 비추어 이 사건 해고가 부당하다고 볼 수 없다(서울행판 1999.11.2, 99구10178)”고 하여 근로자가 개선의 노력을 전혀 하지 않았음을 이유로 한 대기발령 후 면직의 정당성을 인정하였다.
“원고는 대기발령을 받은 후 청와대 및 일부 국회의원에게 민원을 제기하는 등 자신의 주장을 강변하는 태도를 보여왔을 뿐, 달리 대기발령 사유를 해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 흔적을 엿볼 수 없는 점, 참가인의 인사규정 제22조제1항제5호에 의하면 `‘직무수행능력 부족’ 자체가 면직사유로 규정되어 있는데, 앞서 본 바와 같은 원고의 직무수행능력이나 근무태도만으로도 충분히 해고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이는 점 등에 비추어 이 사건 해고가 부당하다고 볼 수 없다(서울행판 1999.11.2, 99구10178)”고 하여 근로자가 개선의 노력을 전혀 하지 않았음을 이유로 한 대기발령 후 면직의 정당성을 인정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스포츠산업의 필요성
재벌의문제점및해결방안
[기업개선작업]우리나라 기업퇴출제도의 평가와 개선방향
교사 책무성에 관한 레포트 A+받은 자료입니다.
헌법재판소
메이데이집회, 총파업투쟁, 메이데이투쟁, 한라중공업 파업투쟁, 집회시위, 서울경인사회복지...
[여성노동자][여성근로자]여성노동자(여성근로자)와 자본, 여성노동자(여성근로자) 차별이론,...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 노동운동]인도네시아의 역사, 인도네시아의 정부형태, 인도네시아의...
김대중 정부 이후 한국의 복지정책과 아동복지정책 비교
여성복지의 진정한 목표는 무엇이라 생각하는지 서술
싱가폴의 행정체제
[기업구조조정, 기업구조조정 의미, 기업구조조정 원칙, 기업구조조정 방법]기업구조조정의 ...
[교육과정 B형] 경험주의 교육과정의 개념을 설명하고 이것을 유아교육에 실제로 적용한다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