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0대 칼빈 주의자
1.요한 칼빈
2.요한 낙스(John Knox)
3.흐룬 봔 프린스터(Groen Van Prinsterer)
4.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
5.헬만 바빙크(Herman Bavink 1854-1921)
6.끄라스 스킬더 (Klaas Schilder 1890-1952)
7.요나단 에드워드 (Jonathan Edwaed 1703-1758)
8.찰스 핫지(Charles Hodge 1797-1878)
9.비˙비 ˙윌필드 (Benjamin Breckinridge Warfield 1851-1921)
10.그레샴 메첸 (G. Machen 1881-1937)
1.요한 칼빈
2.요한 낙스(John Knox)
3.흐룬 봔 프린스터(Groen Van Prinsterer)
4.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
5.헬만 바빙크(Herman Bavink 1854-1921)
6.끄라스 스킬더 (Klaas Schilder 1890-1952)
7.요나단 에드워드 (Jonathan Edwaed 1703-1758)
8.찰스 핫지(Charles Hodge 1797-1878)
9.비˙비 ˙윌필드 (Benjamin Breckinridge Warfield 1851-1921)
10.그레샴 메첸 (G. Machen 1881-1937)
본문내용
“칼빈주의는 과거보다 오늘 우리시대에 필요한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그는 칼빈주의를 정의하기를 “칼빈주의자는 모든 만물의 현상배후에 역사하시는 하나님을 발견하며 이와 간은 모든 현상 속에서 하나님의 뜻에 의하여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손길을 볼 줄 아는 자이며 항상 기도하는 자세로 자기의 전 생애를 살아가며 구원문제에 있어서는 인가의 자기 힘으로 구속하지 못할 줄 알아 온전히 자신을 하나님의 은혜 중에 자기 자신을 내어 맡기는 자를 말한다.”라고 했다.
윌필드에게 있어서 특별은총이 칼빈주의의 심장이라고 말하였다.
10.그레샴 메첸 (G. Machen 1881-1937)
요한 그레샴 메첸은 1881년 7월 28일 발티모어에서 아더 웹스터 메첸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메첸은 21세까지 그의 유년기와 청년기를 발티모어에서 보냈는데 그의 생애의 결정적인 전환점은 1902년 프린스톤신학교에 들어가기로 결심한 때부터이다. 1872년에 출판한 찰스 핫지의 “조직신학”은 프린스톤을 움직일 수 없는 개혁신학의 틀이었다.
1923년 “초보자를 위한 신약 헬라어”를 출판하게 되었다. 이 책은 반세기가 지나도록 헬라어 연구의 고전이 되어버렸다.
1913년 11월 메첸은 32세의 나이로 목사안수를 받게 되었다.
1929년 메첸은 정교수로 취임하였고 필라델피아에 웨스트 민스트 신학교를 세우고 신약 교수가 되었으며 교수회 의장을 맡았다. 정통 기독교 운동의 투사 메첸은 1937년 1월 1일 그의 마지막 임종을 하면서 친구인 죤 머리 교수의 손을 잡고 그리스도에게 기꺼이 순종하게 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하다며 운명하였다.
윌필드에게 있어서 특별은총이 칼빈주의의 심장이라고 말하였다.
10.그레샴 메첸 (G. Machen 1881-1937)
요한 그레샴 메첸은 1881년 7월 28일 발티모어에서 아더 웹스터 메첸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메첸은 21세까지 그의 유년기와 청년기를 발티모어에서 보냈는데 그의 생애의 결정적인 전환점은 1902년 프린스톤신학교에 들어가기로 결심한 때부터이다. 1872년에 출판한 찰스 핫지의 “조직신학”은 프린스톤을 움직일 수 없는 개혁신학의 틀이었다.
1923년 “초보자를 위한 신약 헬라어”를 출판하게 되었다. 이 책은 반세기가 지나도록 헬라어 연구의 고전이 되어버렸다.
1913년 11월 메첸은 32세의 나이로 목사안수를 받게 되었다.
1929년 메첸은 정교수로 취임하였고 필라델피아에 웨스트 민스트 신학교를 세우고 신약 교수가 되었으며 교수회 의장을 맡았다. 정통 기독교 운동의 투사 메첸은 1937년 1월 1일 그의 마지막 임종을 하면서 친구인 죤 머리 교수의 손을 잡고 그리스도에게 기꺼이 순종하게 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하다며 운명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마태,마가,누가,요한 중요장 모음.hwp
〈토끼전〉과 「요한시집」의 비교 고찰
장용학(張龍鶴) 요한시집
[신약성경]'요한복음'을 읽고..
종교개혁의 가르침과 대조되는 요한 웨슬리의 신학적 특징을 소개하시오.
가톨릭사상 - 예수 그리스도, 요한 복음
[서평] ‘요한복음 맥 잡기’ 를 읽고 _ 신인철 저
[독후감, 요약, 감상문] 요한신학 _ 스티븐 S 스몰리(Stephen S. Smalley) 저
사회복지, 평생교육, 평생교육지도자 분석 (요한하인리히페스탈로치(Pestalozzi, Jgann Heinr...
[서평] 김세윤의 요한복음 강해
클래식 음악 (르네상스 음악,바로크 음악,요한 세바스찬 바흐)
[복음福音비평사] 예수님의 사역 준비 (세례요한의 출현, 예수님의 세례 받으심, 예수님께서 ...
[서평] [요한계시록의 비전]을 통한 3가지 반성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간 생명의 시작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회칙 생명의 복음을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