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적 경영과 상황이론에 바탕을 둔 경영의 비교․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스템적 경영과 상황이론에 바탕을 둔 경영의 비교․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시스템 이론(System Theory)
1. 시스템 이론의 정의
2. 시스템 이론의 배경
3. 시스템의 속성
4. 시스템 접근법

Ⅱ. 상황이론
1. 상황이론의 정의 및 개요
2. 상황이론의 조건과 성격
3. 상황이론의 연구실태
4. 상황이론의 강점과 문제점

Ⅲ. 시스템적 경영이나 상황이론에 바탕을 둔 기업, 조직의 예
1. 시스템적 경영 - LG 전자의 EIS(중역정보시스템)
2. 상황적합이론에 바탕을 둔 경영 -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전 명예회장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도서비스를 인수했다. 그러나 부푼 꿈을 안고 시작한 공장은 잔금을 치른 지 닷새 만에 그의 실수로 불이나 잿더미가 돼버렸다. 겨우 목숨만 구한 정 회장은 공장뿐만 아니라 고객이 맡겨놓은 자동차까지 태워버려 빚더미에 올라앉고 말았다.
(2) 고비마다 특유의 계산과 불도저 경영으로 위기 극복
그대로 주저앉을 수 없었던 그는 또 사채를 빌려 자동차 수리공장을 재개했다. 신설동 빈터에 무허가로 시작한 사업이었지만 남들보다 빨리 고치고 수리비를 비싸게 받는 식으로 사업을 확장해나갔다. 악몽의 고령교 공사 대구와 거창을 잇는 고령교가 6·25 전쟁 통에 파손되자 정부는 1953년 이를 복구하기로 했고 전쟁 전에 현대건설을 세웠던 정 회장은 이를 맡았다. 그러나 이 공사는 그에게 골칫덩어리로 변하고 말았다. 계절에 따라 다른 낙동강 수심과 열악한 장비시설, 예기치 않은 홍수 등이 공사를 방해했다. 가족과 동료들은 공사를 중단하자고 했으나 정 회장은 사업에는 신용이 최우선이라는 신념으로, 형제들의 집을 팔고 얻을 수 있는 빚은 모두 얻어 1955년 결국 계약한 기한보다 2개월 늦게 공사를 완공했다. 계약금액이 5,478만 환이었고 적자는 6,500만 환이었다. 이로 인해 정부로부터 크게 신뢰를 얻었기 때문에 현대건설이 정부공사를 대부분 수주하는 계기가 됐다.
(3) 중동신화의 서막 주베일 항만공사
1976년 사우디아라비아가 발주한 주베일 항만공사는 공사금액만 당시 우리나라 예산액의 절반에 맞먹는 9억 3,000만 달러(당시 환율로 약 4,600억원)로 세계 건설업계가 「20세기 최대의 역사」로 불렀던 일감이었다. 우여곡절 끝에 9억 3,114만 달러로 낙찰 받았다. 공사를 진행해 가던 정 회장은 또 하나 아이디어를 구상해냈다. 모든 기자재와 콘크리트 슬래브를 울산 조선소에서 제작해 세계 최대 태풍권인 필리핀 해양을 지나 걸프만까지 대형 바지 선으로 운반하는 것이었다. 오일쇼크로 침체돼있던 울산조선소에도 일거리를 주고 공사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내놓은 극약처방이었다. 그리고 19번에 걸쳐 이 거대한 바지선 운반 작업은 시행됐다. 이처럼 주베일 산업항 공사를 성공적으로 끝낸 뒤 현대건설은 쿠웨이트 슈아이바항 확장공사, 두바이 발전소 등 중동일대 대형 공사를 잇따라 수주하게 됐다. 1975년 중동 진출 뒤 1979년까지 현대는 약 51억 6,4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 참고문헌
석호징 연구원 (고려대학교 기업경영연구원)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19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23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