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개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지 발달과정
1)조선시대 이전의 사회복지사
우리 역사는 고조선까지 거슬러 올라 갈 때 오천년의 역사이다. 그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조선, 삼국, 고려, 조선시대의 사회복지사를 몇 줄로 요약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과거 사회복지는 다른 사회제도와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기에 많은 사회제도는 통지자의 의한 구제 또는 규휼사업과 민간의 의한 상부상조 활동으로 대처하여 왔다.
초기 국가의 형태가 나타나는 시기로 천연재해나 전쟁등으로 인하여 발생된 빈곤문제에 국가 존립을 위한 목적으로 구휼정책과 황정으로 대처하여 왔다.
삼국시대의 대표적인 구휼제도는 고구려의 진대법(賑貸法: 춘궁기에 관의 곡식을 빈곤한 백성에게 대여하였다가 추수기에 갚는 제도)이 있다. 재해로 피해를 입은 주민에게 조세를 감면해 주는 제도, 환과고독(鰥寡孤獨 ), 노병빈핍(老病貧乏) 등 독립생활이 불가능한 사람들에 대하여 의류, 곡물 등을 제공해 주는 사회적 보호가 이루어 졌다.
고려시대에는 조직적인 구제제도가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인 제도로는 창제(創製)이다, 창제는 흑창(黑倉)의창(義倉), 상평창(常平倉),유비창(有備倉) 등이 있었는데, 창제로는 의창과 상평창을 들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창제 이외에 다음과 같은 구제제도와 구제기관들이 있었다.
*은면(恩免; 국가적 정사, 개국, 전쟁 직후에 왕이 백성에게 조세탕감이나 각종 은전을 베푸는 것)
*재면 :전재지변, 전쟁, 질병 등으로 인해 이재민의 조세, 부역, 형벌 등을 감면해 주는 것
*환과고독진대: 환과고독에 있는 자를 우선으로 보호하고 각종 물품, 주택을 급여하는 것
*제위보: 빈민구제사업과 이재민 구제사업을 실시하기 위하여 대부사업을 통하여 생긴 이익금으로 구제사업을 실시하는 기관
*구제도감; 중앙에 설치된 구휼행정의 총괄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생활필수품을 갖추고 빈곤한 사람들을 구제하고 병약자를 보호하는 기관
*동서대비원, 혜민국: 의료구제를 위한 것으로, 빈곤한 사람들에게 약품과 의복을 제공하고 병약자를 치료해 주던 의료구제기관
2)조선시대의 구제사업과 구제제도
조선시대는 유교의 자혜사상을 기반으로 왕의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여 보다 체계적인 구제사업을 실천하게 되었다.
* 비황/창제도
의창, 상평창, 사창이라는 삼창제도를 근간으로 곡물을 비축하여 춘궁기에 백성에게 대부하였다가 환납하게 하는 제도
* 구황제도
사회복지적인 사업으로 노인보호사업, 음식제공, 진휼 및 진대사업, 관곡의 염가매출과 방곡사업, 혼례나 장례를 치르지 못한 자에 대한 비용 조달 등을 실시한 제도
* 구료제도
의료기관인 혜민서, 동서대비원, 재생, 광제원 등을 설치하여 의료사업을 실시한 제도
또한 계, 두레, 향약 등의 조직의 활동은 민간에서 하였다.
계는 성원간의 상호부조 활동으로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고, 군포계, 공장계, 공인계 등이 있고 특정한 목적으로 혼상계, 화수계 등이 있다.
두레는 농민공동체의 역할이고, 향약은 덕업상군, 과실상규, 예속상교, 환란상휼의 4대 실천덕목을 기초로 주민의 교화와 인보사업을 위하여 활동하였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5.19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25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