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적 정보
2. 최종 목표
1) 호흡훈련
2) 발성훈련
3) 공명훈련
4) 조음훈련
2. 최종 목표
1) 호흡훈련
2) 발성훈련
3) 공명훈련
4) 조음훈련
본문내용
발성훈련
1) 연장발성
치료사는 환자 앞에 시각판과 초시계를 제시하고 "○○야, 이번에는 선생님처럼 '아'를 길게 소리내는 거야."라고 말하며 "아-"를 연장발성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환자는 "아-"라고 10초 이상 연장발성한다.
·시각판, 초시계
※환자의 발성 속도에 맞추어 시각판을 움직여 시각적 피드백을 준다.
치료사는 아동이 정반응을 보일 때까지 최대 10회의 기회를 제공한다.
2) 음역확대
① 고음역
치료사는 환자에게 "○○야, 이번에는 머리를 들고 '아'소리를 하는 거야."라고 지시를 한다.
환자가 정반응하면 다음에는 치료사가 환자의 갑상연골 측면을 압박해 주고 화자는 '아'를 발성한다.
환자는 치료사의 지시에 따라 머리를 뒤로 제치고 "아" 발성한다.
·시각판
※즉각적 feedback을 위해 시각판을 사용한다.
단계
치료목표
치료활동
자료 및 유의점
치료사
아동
전개
발성훈련
② 저음역
환자는 머리를 숙이고 '아'라고 발성하면 치료사는 갑상연골 정면을 압박해 준다.
③ 동요부르기
치료사와 환자는 느리고 부드러운 '송아지'노래를 부르며 음역을 확대한다.
환자는 치료사의 지시에 따라 머리를 숙이고 "아" 발성한다.
공명훈련
조음훈련
1) 연장발성
치료사는 환자 앞에 시각판과 초시계를 제시하고 "○○야, 이번에는 선생님처럼 '아'를 길게 소리내는 거야."라고 말하며 "아-"를 연장발성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환자는 "아-"라고 10초 이상 연장발성한다.
·시각판, 초시계
※환자의 발성 속도에 맞추어 시각판을 움직여 시각적 피드백을 준다.
치료사는 아동이 정반응을 보일 때까지 최대 10회의 기회를 제공한다.
2) 음역확대
① 고음역
치료사는 환자에게 "○○야, 이번에는 머리를 들고 '아'소리를 하는 거야."라고 지시를 한다.
환자가 정반응하면 다음에는 치료사가 환자의 갑상연골 측면을 압박해 주고 화자는 '아'를 발성한다.
환자는 치료사의 지시에 따라 머리를 뒤로 제치고 "아" 발성한다.
·시각판
※즉각적 feedback을 위해 시각판을 사용한다.
단계
치료목표
치료활동
자료 및 유의점
치료사
아동
전개
발성훈련
② 저음역
환자는 머리를 숙이고 '아'라고 발성하면 치료사는 갑상연골 정면을 압박해 준다.
③ 동요부르기
치료사와 환자는 느리고 부드러운 '송아지'노래를 부르며 음역을 확대한다.
환자는 치료사의 지시에 따라 머리를 숙이고 "아" 발성한다.
공명훈련
조음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