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심폐기능이 외관상 작동하는 사람을 사체로 취급하여 매장허가를 받는다든가 유언장을 집행한다든가 사망신고를 한다는 것은 일상적인 생사관의 관점에서 보면 지극히 부자연스러운 일인데 뇌사설은 이 같은 부자연스러움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뇌사 상태에 빠져 있는 자는 자기 스스로가 자기 처분권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본인의 승락을 받을 수 없다. 법률은 가족이나 친족의 승락은 물론 본인 자신의 승낙이나 촉탁도 생명권에 관한 한 인정하지 않는다. 어느 누구를 위하여 어느 누구의 생명을 희생시키는 것을 정당화시킬 수 잇는 논리적-윤리적 근거는 어디에서도 찾아 볼 수 없다. 생존 가능성이 없는 자의 생명을 단순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인간의 평등한 독립적 인격의 주체성을 부인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안락사와 존엄사의 허용여부
장기이식과 사회사업가의 역할
장기이식, 장기매매, 장기분배에 대한 이해와 문제점 및 다양한 해결방안
안락사(安樂死)[인간답게 죽을 권리인가,신성한 생명의 포기인가]
[간호학]간호철학 및 윤리-대상자 간의 윤리
[죽음][사망][종교][장례][죽음 개념][죽음에 대한 두려움][죽음에 대한 태도][죽음 단계][죽...
안락사, 존엄사, 각나라 사례들, 우리나라 사례들, 안락사 판례
장기이식과 상품화의 도덕성 논쟁
안락사 논쟁(죽음 그리고 권리)
간경변(간경화, 간경변증)의 개념, 간경변(간경화, 간경변증)의 원인과 종류, 간경변(간경화,...
[죽음과 임종] 죽음의 정의 및 단계와 반응
임종간호 죽음의 정의 호스피스의 역사 임종간호중재 임종계획과 사전의료 의향서 임종시 신...
장기이식의 문제점(장기이식 관련 문제점)
장기이식 대상자에 대한 사례관리자의 역할 및 개입(장기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례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