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시험목적
2.시험기구
3.시험방법
4.시험결과 정리 및 평가
5.고찰
6.주의사항
7.참고사항
8.참고문헌
2.시험기구
3.시험방법
4.시험결과 정리 및 평가
5.고찰
6.주의사항
7.참고사항
8.참고문헌
본문내용
. 적당히 혼합되어 있을 때에는 입자의 크기가 균일한 경우나 작은 입자가 많은 경우와 비교하여 워커빌리티, 강도, 내구성, 수밀성등의 양질의 콘크리트를 비교적 적은 단위 시멘트량으로 만들 수 있어 경제적이다. 골재의 입도는 KS F 2502의 체가름시험(sieve analysis test)에 의하여 구한다. 체가름시험은 각 체에 대한 시료의 통과 또는 잔류중량백분율을 구하는 것이며, 그 결과로부터 입도곡선, 조립률 또는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를 얻을 수 있다.
3 골재
: 골재란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하여 시멘트 및 물과 함께 믹싱할 때 주로 보강과 중량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래, 부순 돌, 슬래그, 기타 이와 비슷한 재료를 말한다. 골재가 콘크리트 속에서 차지하는 골재가 콘크리트 속에서 차지하는 용적 비율은 65 ∼ 80 %정도로서 용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재료이기 때문에 골재의 종류나 성질에 따라 콘크리트의 성질이 크게 좌우된다.
【6】시 험 결 과
(1) 시료를 체가름하여 19mm체를 통과하고 10mm, 13mm체에 남은 골재량를 각각 2,500g씩 총 5,000g을 가려, 표 1-2에서의 B등급으로 하여 철구 11개(표 1-1 참조)와 함께 로스앤젤레스 시험기에 투입하였다.
1 표 1-2 에서는 20mm, 15mm, 10mm로 나와 있는데 각각의 체가 없어서 19mm, 13mm, 10mm체로 대체하였다.
2 철구 11개의 무게 : 4580±25(g)
(2) 로스앤젤레스 시험기에 투입한 골재와 철구를 500회 회전시킨 후, 시료를 시험기에서 꺼내 1.7mm체로 체가름하였다.
(3) 1.7mm체에 남은 시료를 다시 한번 깨끗이 세척한 후 건조기에서 105±5℃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다.
(4) 건조기에서 시료를 꺼내서 중량을 달아보니 4,066g이 나왔다.
각각의 수치를 위에서 언급한 식에 대입하면,
마모율(%) = { 5,000g-4,066g} over {5,000 } TIMES 100=18.68(%)
마모손실중량(g)=5,000g-4066g=934(g)
(5) 위 결과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굵은 골재의 닮음시험
시 험 일
서기 1999 년 9 월 28 일 화요일
체 의 크 기 또는 번 호
각 무더기의
중 량(g)
각 무더기의
중량백분율(%)
① 시험 전의
시료의 중량(g)
남 는 체
통 과 체
No 8
-
-
-
No.8(2.38)
No 4
-
-
-
No.4(4.76)
No. 3 1/2
-
-
-
No. 3 1/2(5.66)
10
-
-
-
10
13
2,800
50.0
2,500
13
19
2,800
50.0
2,500
19
25
-
-
-
25
40
-
-
-
40
50
-
-
-
50
65
-
-
-
65
80
-
-
-
합 계
5,600
100
5,000
입 도 구 분
B급
철 구 의 수
11개
회 전 수
32/min → 15분 37초간 500회
② 시험후 1.7 mm체에 남은
시료의 중량 ( g )
4,066 g
③ 마모 손실 중량 ①-② (g)
934 g
④ 마모율
(③/∑①)×100 ( % )
18.68 %
【7】 고 찰
먼저 시험했던 굵은골재의 체가름, 비중, 흡수량 시험보다는 대체적으로 손쉽게 할 수 있는 시험이었던 것 같다. 인원이 많아서 서로 나누어 시험을 하다보니 보다 깨끗이 시료를 씻을 수 있었고, 체가름도 더 많이 해서 보다 정확한 결과치가 나오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실험실에 있는 시료가 거의다 25mm체에 걸러지는 것들이어서 더 폭넓은 마모시험을 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또한 로스앤젤레스 시험기를 사용할 때 뚜껑을 확실하게 대각선을 마주보고 조여서 닫았지만, 시험기가 돌아가는 동안 계속해서 골재의 가루가 날리고 시험기의 소리가 너무 커서 주위의 시험하는 조한테 피해를 준 것 같아 아쉽다.
이번 시험의 목적이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굵은골재의 마모저항을 통해 그 사용여부가 적합한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군대에 있었을 때, 작업을 나가 콘크리트를 사용할 때 바다모래도 쓰고 아무런 자갈을 그냥 퍼와서 사용했기에 원래가 그렇게 하는 것인가 하고 생각을 했었는데 직접 사회에서 시공을 할 때는 이런 시험을 통해 검증된 골재가 사용된다는 것을 알게 된 것도 이번 시험을 통해 얻은 하나의 수확이랄 수 있겠다.
【8】참 고 문 헌
최신토목재료실험, 박승범, 문운당, 1998, Page 69∼73
건설재료학, 문한영, 동명사, 1998, Page 332∼334
3 골재
: 골재란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하여 시멘트 및 물과 함께 믹싱할 때 주로 보강과 중량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래, 부순 돌, 슬래그, 기타 이와 비슷한 재료를 말한다. 골재가 콘크리트 속에서 차지하는 골재가 콘크리트 속에서 차지하는 용적 비율은 65 ∼ 80 %정도로서 용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재료이기 때문에 골재의 종류나 성질에 따라 콘크리트의 성질이 크게 좌우된다.
【6】시 험 결 과
(1) 시료를 체가름하여 19mm체를 통과하고 10mm, 13mm체에 남은 골재량를 각각 2,500g씩 총 5,000g을 가려, 표 1-2에서의 B등급으로 하여 철구 11개(표 1-1 참조)와 함께 로스앤젤레스 시험기에 투입하였다.
1 표 1-2 에서는 20mm, 15mm, 10mm로 나와 있는데 각각의 체가 없어서 19mm, 13mm, 10mm체로 대체하였다.
2 철구 11개의 무게 : 4580±25(g)
(2) 로스앤젤레스 시험기에 투입한 골재와 철구를 500회 회전시킨 후, 시료를 시험기에서 꺼내 1.7mm체로 체가름하였다.
(3) 1.7mm체에 남은 시료를 다시 한번 깨끗이 세척한 후 건조기에서 105±5℃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다.
(4) 건조기에서 시료를 꺼내서 중량을 달아보니 4,066g이 나왔다.
각각의 수치를 위에서 언급한 식에 대입하면,
마모율(%) = { 5,000g-4,066g} over {5,000 } TIMES 100=18.68(%)
마모손실중량(g)=5,000g-4066g=934(g)
(5) 위 결과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굵은 골재의 닮음시험
시 험 일
서기 1999 년 9 월 28 일 화요일
체 의 크 기 또는 번 호
각 무더기의
중 량(g)
각 무더기의
중량백분율(%)
① 시험 전의
시료의 중량(g)
남 는 체
통 과 체
No 8
-
-
-
No.8(2.38)
No 4
-
-
-
No.4(4.76)
No. 3 1/2
-
-
-
No. 3 1/2(5.66)
10
-
-
-
10
13
2,800
50.0
2,500
13
19
2,800
50.0
2,500
19
25
-
-
-
25
40
-
-
-
40
50
-
-
-
50
65
-
-
-
65
80
-
-
-
합 계
5,600
100
5,000
입 도 구 분
B급
철 구 의 수
11개
회 전 수
32/min → 15분 37초간 500회
② 시험후 1.7 mm체에 남은
시료의 중량 ( g )
4,066 g
③ 마모 손실 중량 ①-② (g)
934 g
④ 마모율
(③/∑①)×100 ( % )
18.68 %
【7】 고 찰
먼저 시험했던 굵은골재의 체가름, 비중, 흡수량 시험보다는 대체적으로 손쉽게 할 수 있는 시험이었던 것 같다. 인원이 많아서 서로 나누어 시험을 하다보니 보다 깨끗이 시료를 씻을 수 있었고, 체가름도 더 많이 해서 보다 정확한 결과치가 나오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실험실에 있는 시료가 거의다 25mm체에 걸러지는 것들이어서 더 폭넓은 마모시험을 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또한 로스앤젤레스 시험기를 사용할 때 뚜껑을 확실하게 대각선을 마주보고 조여서 닫았지만, 시험기가 돌아가는 동안 계속해서 골재의 가루가 날리고 시험기의 소리가 너무 커서 주위의 시험하는 조한테 피해를 준 것 같아 아쉽다.
이번 시험의 목적이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굵은골재의 마모저항을 통해 그 사용여부가 적합한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군대에 있었을 때, 작업을 나가 콘크리트를 사용할 때 바다모래도 쓰고 아무런 자갈을 그냥 퍼와서 사용했기에 원래가 그렇게 하는 것인가 하고 생각을 했었는데 직접 사회에서 시공을 할 때는 이런 시험을 통해 검증된 골재가 사용된다는 것을 알게 된 것도 이번 시험을 통해 얻은 하나의 수확이랄 수 있겠다.
【8】참 고 문 헌
최신토목재료실험, 박승범, 문운당, 1998, Page 69∼73
건설재료학, 문한영, 동명사, 1998, Page 332∼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