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말과글
작문의 절차와 방법
작문의 절차와 방법
본문내용
나누는 방법이다.
구분은 일반적인 상위 개념을 하위 개념으로 나누어 보는 설명 방식이다.
나) 예시
예시는 글의 주제나 그 관계 사항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쉽고 인상 깊게 기술하는 방식이다.
③ 비교· 대조와 분석
가) 비교· 대조
비교와 대조는 다같이 문장에 나타나는 대상을 서로 관계를 맺게 함으로써 성립되는 기술 방식이다. 비교는 대상들의 비슷한 점을 들추어서 둘이 얼마만큼 가까운 관계에 있는가를 드러내는 것이다. 반면에 대조는 서로 다른 점을 들추어서 둘이 얼마만큼 차이 있는가를 보이는 것이다.
나) 분석
분석이란 하나의 관념이나 사물을 구성요소로 나누어 가는 전개방법을 말한다. 따라서 소로 연관된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진 관념이나 대상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면이 있다. 분석의 종류에는 물리적 분석, 개념적 분석이 있다.
(2) 논증
논증은 주어진 명제나 주제를 논리적으로 입증하여 합리화하는 서술방식이다. 합당한 논증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논증의 합리성, 반대 의견의 고려 등을 유의하여 논증하여야 할 것이다.
① 명제
명제는 어떠한 판단을 표현한 것으로서 논증은 언제나 명제에 관해서만 행해질 수 있다. 명제란 하나의 판단을 말이나 기호로 표현한 것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실 명제, 가치 명제, 당위 명제로 나눌 수 있다.
② 논증과 논거
논술에서 독자로 하여금 필자가 바라는 대로 생각하고 행동하게 뒷받침하여 진술하는 과정을 논증이라 한다.
명제를 뒷받침해 주는 자료들을 논거라 한다. 그리고 논거는 사실 논거와 소견 논거로 나뉜다.
③ 추론의 방법
추론은 합당한 논거에 의하여 새로운 주장을 합리적으로 밝히는 작업이다. 다시 말해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자신의 주장의 타당성 여부를 펼쳐 나가는 논리적 사고 작용을 말한다. 추론의 방법에는 연역법과 귀납법이 있다. 연역법에는 삼단논법이 있고 귀납법에는 일반화와 유추가 있다.
(3) 묘사
묘사는 어떤 대상으로부터 받은 인상을 그림으로 그리거나 사진을 찍듯이, 구체적으로 드러내 보이는 기술 방식이다. 묘사는 일반적으로 설명적 묘사와 암시적 묘사로 구분되는데 설명적 묘사는 실용적 묘사, 전문적 묘사, 도구적 묘사라 부르기도 한다.
(4) 서사
서사는 활동하는 생활 속에서의 행동과 관련된 기술 양식의 하나이다. 신화, 전설, 민담, 소설과 같은 허구의 이야기는 서사의 한 부분에 불과하다. 서사는 사건의 진행을 다루는 기술 양식으로서 움직임, 시간, 의미를 기본적 요소로 한다.
3. 단락 기술 방법
(1) 단락 구성의 원리
① 통일성
통일성은 소주제문과 뒷받침문장들이 일관성이 있어야 함을 뜻한다. 아무리 훌륭한 내용이라도 소주제와 관련이 없는 문장은 글의 초점을 흐릴 뿐이므로 뒷받침문장으로 삼아서는 안된다.
② 연결성
연결성이란 소주제를 떠받드는 뒷받침문장들을 순리적으로 배열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소주제를 서술하는 재료인 뒷받침문장들은 자연스럽고 이치에 맞게 배열되어야 한다.
③ 강조성
강조성의 원리란 소주제가 충분히 강조되어야 함을 뜻한다. 독자가 그 글의 요점을 인상 깊게 받아 들이고 충분히 이해하고 납득 할 수 있도록 소주제를 강도 높게 드러내야 한다는 것이다.
(2) 단락의 유형
① 두괄식 단락
두괄식 단락은 소주제문, 곧 중심 생각이 단락의 첫머리에 제시되고 그 뒤에 뒷받침문장이 이어지는 구조 유형이다.
두괄식 단락은, 소주제문이 먼저 제시되기 때문에 독자들로 하여금 글의 핵심을 쉽게 파악하게 할 수 있다는 점과 글이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② 미괄식 단락
미괄식 단락은 뒷받침문장들이 앞에 나오고 소주제문이 맨 끝에 나타나는 형식의 구조 유형이다. 이의 장점은 소주제문을 점층적으로 이끌어내기 때문에 극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③ 양괄식 단락
양괄식 단락은 소주제문을 첫머리에 내세우고 그것을 뒷받침한 다음에 말미에 가서 소주제문을 다시 한 번 되풀이하는 구조의 유형이다. 끝에 가서 소주제를 다시 한 번 환기시켜 주기 때문에 강조의 효과를 얻는다는 장점이 있다.
④ 중괄식 단락
중괄식 단락은 소주제문이 단락의 글 중간에 놓여 앞 부분과 뒷 부분에 뒷받침문장이 나뉘어 배열되어 있는 짜임새이다. 이렇게 중괄식 단락은 앞뒤의 뒷받침문장들이 소주제를 보충해주는 장점이 있지만 소주제가 단락의 중간에 들어 있어 잘 드러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독자의 관심이 집중되는 곳은 단락의 첫머리와 끝 부분이기 때문이다.
구분은 일반적인 상위 개념을 하위 개념으로 나누어 보는 설명 방식이다.
나) 예시
예시는 글의 주제나 그 관계 사항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쉽고 인상 깊게 기술하는 방식이다.
③ 비교· 대조와 분석
가) 비교· 대조
비교와 대조는 다같이 문장에 나타나는 대상을 서로 관계를 맺게 함으로써 성립되는 기술 방식이다. 비교는 대상들의 비슷한 점을 들추어서 둘이 얼마만큼 가까운 관계에 있는가를 드러내는 것이다. 반면에 대조는 서로 다른 점을 들추어서 둘이 얼마만큼 차이 있는가를 보이는 것이다.
나) 분석
분석이란 하나의 관념이나 사물을 구성요소로 나누어 가는 전개방법을 말한다. 따라서 소로 연관된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진 관념이나 대상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면이 있다. 분석의 종류에는 물리적 분석, 개념적 분석이 있다.
(2) 논증
논증은 주어진 명제나 주제를 논리적으로 입증하여 합리화하는 서술방식이다. 합당한 논증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논증의 합리성, 반대 의견의 고려 등을 유의하여 논증하여야 할 것이다.
① 명제
명제는 어떠한 판단을 표현한 것으로서 논증은 언제나 명제에 관해서만 행해질 수 있다. 명제란 하나의 판단을 말이나 기호로 표현한 것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실 명제, 가치 명제, 당위 명제로 나눌 수 있다.
② 논증과 논거
논술에서 독자로 하여금 필자가 바라는 대로 생각하고 행동하게 뒷받침하여 진술하는 과정을 논증이라 한다.
명제를 뒷받침해 주는 자료들을 논거라 한다. 그리고 논거는 사실 논거와 소견 논거로 나뉜다.
③ 추론의 방법
추론은 합당한 논거에 의하여 새로운 주장을 합리적으로 밝히는 작업이다. 다시 말해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자신의 주장의 타당성 여부를 펼쳐 나가는 논리적 사고 작용을 말한다. 추론의 방법에는 연역법과 귀납법이 있다. 연역법에는 삼단논법이 있고 귀납법에는 일반화와 유추가 있다.
(3) 묘사
묘사는 어떤 대상으로부터 받은 인상을 그림으로 그리거나 사진을 찍듯이, 구체적으로 드러내 보이는 기술 방식이다. 묘사는 일반적으로 설명적 묘사와 암시적 묘사로 구분되는데 설명적 묘사는 실용적 묘사, 전문적 묘사, 도구적 묘사라 부르기도 한다.
(4) 서사
서사는 활동하는 생활 속에서의 행동과 관련된 기술 양식의 하나이다. 신화, 전설, 민담, 소설과 같은 허구의 이야기는 서사의 한 부분에 불과하다. 서사는 사건의 진행을 다루는 기술 양식으로서 움직임, 시간, 의미를 기본적 요소로 한다.
3. 단락 기술 방법
(1) 단락 구성의 원리
① 통일성
통일성은 소주제문과 뒷받침문장들이 일관성이 있어야 함을 뜻한다. 아무리 훌륭한 내용이라도 소주제와 관련이 없는 문장은 글의 초점을 흐릴 뿐이므로 뒷받침문장으로 삼아서는 안된다.
② 연결성
연결성이란 소주제를 떠받드는 뒷받침문장들을 순리적으로 배열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소주제를 서술하는 재료인 뒷받침문장들은 자연스럽고 이치에 맞게 배열되어야 한다.
③ 강조성
강조성의 원리란 소주제가 충분히 강조되어야 함을 뜻한다. 독자가 그 글의 요점을 인상 깊게 받아 들이고 충분히 이해하고 납득 할 수 있도록 소주제를 강도 높게 드러내야 한다는 것이다.
(2) 단락의 유형
① 두괄식 단락
두괄식 단락은 소주제문, 곧 중심 생각이 단락의 첫머리에 제시되고 그 뒤에 뒷받침문장이 이어지는 구조 유형이다.
두괄식 단락은, 소주제문이 먼저 제시되기 때문에 독자들로 하여금 글의 핵심을 쉽게 파악하게 할 수 있다는 점과 글이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② 미괄식 단락
미괄식 단락은 뒷받침문장들이 앞에 나오고 소주제문이 맨 끝에 나타나는 형식의 구조 유형이다. 이의 장점은 소주제문을 점층적으로 이끌어내기 때문에 극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③ 양괄식 단락
양괄식 단락은 소주제문을 첫머리에 내세우고 그것을 뒷받침한 다음에 말미에 가서 소주제문을 다시 한 번 되풀이하는 구조의 유형이다. 끝에 가서 소주제를 다시 한 번 환기시켜 주기 때문에 강조의 효과를 얻는다는 장점이 있다.
④ 중괄식 단락
중괄식 단락은 소주제문이 단락의 글 중간에 놓여 앞 부분과 뒷 부분에 뒷받침문장이 나뉘어 배열되어 있는 짜임새이다. 이렇게 중괄식 단락은 앞뒤의 뒷받침문장들이 소주제를 보충해주는 장점이 있지만 소주제가 단락의 중간에 들어 있어 잘 드러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독자의 관심이 집중되는 곳은 단락의 첫머리와 끝 부분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