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교 홈페이지의 맞춤법 파괴 사례
2. 방송매체의 맞춤법 파괴 사례
3. 일상생활에서의 맞춤법 파괴 사례
2. 방송매체의 맞춤법 파괴 사례
3. 일상생활에서의 맞춤법 파괴 사례
본문내용
일상생활에서의 맞춤법 파괴 사례
6. '호수가' / '호숫가'
→ ‘호숫가'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이루어진 합성어로 앞말이 모
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므로 사
이시옷을 붙여 쓴다.)
7. 치마가 걸리적 거리다
→ 거치적 (걸리적은 틀린 표현)
8. 이 자리를 (빌어/빌려) 감사드립니다.
망치 좀 (빌어/빌려) 주시겠습니까?
→ 빌려
(맞춤법 규정이 되기 전에는 빌어도 썼지만, 규정이
된 후 ‘빌려’로 통일됨)
6. '호수가' / '호숫가'
→ ‘호숫가'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이루어진 합성어로 앞말이 모
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므로 사
이시옷을 붙여 쓴다.)
7. 치마가 걸리적 거리다
→ 거치적 (걸리적은 틀린 표현)
8. 이 자리를 (빌어/빌려) 감사드립니다.
망치 좀 (빌어/빌려) 주시겠습니까?
→ 빌려
(맞춤법 규정이 되기 전에는 빌어도 썼지만, 규정이
된 후 ‘빌려’로 통일됨)
추천자료
맞춤법 관련 국어지식교육 - 국어지식과 맞춤법 실태 및 교정방안
국어과 교육과 읽기 교과서 분석
국어교육의 운용체제
국어과 교육의 방법과 직접 교수법
국어표기법에 대한 변천과정
국어과교육의개념과성격
[국어교육] 국어지식영역 교육내용 분석
국어학사 레포트
[국어과교육]우리나라 국어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중학교 2학년 국어 교과 학습 지도안-제 2단원. 낱말 형성법과 국어의 관용어
[초등학교 국어교육]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말하기교육과 글쓰기교육, 초등학교 국어과(...
현대국어와 15세기 국어의 문법체계 대비
국어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국어지식 교육을 위한 재재 활용 (제 7차 5,6학년 교과서) [국어의 본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