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아니다.
② 장면이나 에피소드는 보다 넓은 문맥이나 상황 속에서 작품의 전반적인 주제에 비추어 평가할 때만이 그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③ 하나님은 모든 본질에 있어서 변함이 없으신 분이시지만 이것은 그가 언제나 동일한 방식으로 자기를 계시하시거나 동일한 방식으로 자기 백성을 다루신다는 의미는 아니다.
④ 성경이야기에서 원리를 찾을 때 어떤 해석자는 성경의 문화 규범에 대한오해로 말미암아 실패하는 경우도 있다.
Ⅲ. 원리의 적용
① 부분적으로 하나님에 대한 변증이다.
② 사사기는 이스라엘이 어떻게 혼합주의와 연혼을 통해 가나안에 동화됨으로써 나라의 정체성이 위협받게 되었는지를 보여 준다.
③ 사사기의 메시지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설교학적 접근이 본문에 드러난 이들 주제 하나 하나에 대해 민감해야 한다.
제6장 본문의 실제적 적용 : 두가지 사례
Ⅰ. 벧엘의 대학살 : 젊은 아이들과 대머리 선지자 및 잔인한 두 마리의 암콤(왕하 2:23-25)
1. 사본학적 규명 및 번역(본문은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① 3장에서 살펴본 대로 해석자는 적어도 이상적으로는 먼저 원래의 본문을 먼저 확정한 후 의미론과 문법을 포함한 주석학적 문제들을 다루어야 한다.
② 본문비평은 논리적으로는 해석에 앞서지만 독자들은 의미론과 문법을 고려해야하는 본문비평이 주석작업과 함께 가장 잘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2. 본문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본문의 상황
① 아합 왕은 벧엘에 금송아지 우상을 세운 여로보암 1세의 죄를 떠나지 않았다.
② 그는 시돈 사람 이세벨과 결혼하여 바알을 북왕국의 국가 종교로 섬겼다.
③ 여호와의 선지자들은 박해를 받았다.
2) 문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① 이야기의 기본적 요소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이 메시지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 파악하라
② 본문의 담론구조, 극적구조 및 기타 문학적 특징들에 대해 규명하고 이들이 메시지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라.
③ 이야기의 인용 및 대화를 담론 유형 및 언어적 기능과 관련하여 분석한다.
④ 본문의 상호관련성에 민감하고 이들이 어떻게 메시지에 기여하는지 살펴본다.
3) 이야기의 주제를 요약하고 이들이 어떻게 책 전체의 주제에 기여하는지 살펴본다.
① 여호와의 선지자는 언약 공동체에서 하나님을 대리하는 자이기 때문에 합당한 존경을 받아야 한다.
② 하나님의 대변인을 업신여기고 무시하는 처사는 치명적인 대가를 치러야 한다.
③ 여호와께서는 자신의 권위를 보이시고 이스라엘에게 오직 하나님만 섬길 것을 요구하셨다.
4) 주어진 시간, 장소 및 상황 하에서 이 이야기가 당시의 함축적 독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본다.
① 포로기 이전 시대에 이 이야기는 열왕기서의 다른 책들과 함께 여호와가 참된 하나님이시며 유일한 경배를 받기에 합당하신 분임을 확인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② 하나님께서 의도하신 언약 공동체가 될 것을 촉구하고 격려하였던 선지자들을 통해 계시된 하나님의 뜻을 신실히 좇으려는 마음을 가졌을 것이다.
3. 본문은 오늘날 신앙 공동체의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① 성경의 일관성 있는 메시지는 구약 성경에 계시된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모든 사람들로부터 홀로 경배 받으시기에 합당한 유일하신 참 하나님이심을 보여준다.
② 하나님은 이 이야기에서 박해 받는 자신의 종 엘리사의 정당한 호소에 대해 즉각 반응하시는 재판관으로 자신을 제시하신다.
③ 이 이야기는 선지자가 그의 대적에 대해 저주를 호소하는 내용이다.
④ 이 이야기의 신학적 원리에 대한 고찰이 끝났으면 이러한 본문의 원리를 적용해야 한다.
Ⅱ. 암흑기의 빛 : 헌신적 사랑(룻기1장)
1. 사본학적 규명 및 번역(본문은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① 가장 중요한 사본상의 문제는 21절일 것이다.
② 70인역은 이 구절을 “그가 나를 징벌하였다”라는 히브리어 본문과 달리 “그가 나를 낮추셨다”로 번역한다.
2. 본문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본문의 상황
① 이스라엘 역사의 도덕적 암흑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호와의 율법에 나타난 기준에 따라 산 것이 아니라 자신의 도덕적, 윤리적 판단에 따라 살았다.
2) 문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① 시대적 배경은 중요한 문학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첫머리는 우리에게 이어지는 고무적인 이야기에 대한 어두운 배경을 제시한다.
② 나오미는 가족과 함께 모압으로 내려가는 장면으로부터 시작하여 하나님의 복된 손자를 품에 안는 장면으로 끝나는 이 이야기의 중심인물이다.
③ 그녀의 열정적인 헌신은 나오미에게 큰 도움을 주며 죽은 남편 대신 가족의 계보를 이어줄 후손을 생산한다.
3) 이야기의 주제를 요약하고 이들이 어떻게 책 전체의 주제에 기여하는지 살펴본다.
① 나오미의 경험은 여호와께서 가난한 자들을 보살피신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들이 타락한 세상의 가혹한 현실에 의해 넘어져 쓰러지면 하나님은 그들의 편이 되시고 슬픔을 기쁨으로 회복시키신다.
② 룻의 이야기는 하나님은 종종 헌신적인 사랑을 보여주는 개인들을 통하여 가난한 자들을 섭리적으로 도우신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③ 여호와께서는 서로 희생적으로 사랑하는 자들에게 때로는 그들이 상상할 수 없는 방법으로 그들의 생애가 끝난 후까지 지속되는 보상을 하신다.
4) 주어진 시간, 장소 및 상황 하에서 이 이야기가 당시의 함축적 독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본다.
① 고대 독자들에게 하나님은 자기 백성들이 어렵거나 위험한 상횡에서도 이웃을 사랑하기를 바라신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② 이 책은 독자들에게 가난한 자와 약자를 도와주며 그들이 처한 사회적 상황 안에서 그들에 대한 책임을 진지하게 고려할 것을 촉구한다.
③ 이스라엘 역사 어느 시대에도 적절하며 하나님의 언약의 본질과도 부합된다.
3. 본문은 오늘날 신앙 공동체의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① 헌신적인 사랑은 신약성경 복음 메시지의 핵심이다.
② 나래이터에 의해 언급된 유일한 신적 행위는 은혜로운 내용을 담고 있다.
③ 우리는 개인적으로 큰 비극이나 고통을 당할 때 하나님의 탓으로 돌리거나 그를 대적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④ 룻의 자기 희생적 사랑은 그리스도의 자기희생적 사랑을 예시한다.
② 장면이나 에피소드는 보다 넓은 문맥이나 상황 속에서 작품의 전반적인 주제에 비추어 평가할 때만이 그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③ 하나님은 모든 본질에 있어서 변함이 없으신 분이시지만 이것은 그가 언제나 동일한 방식으로 자기를 계시하시거나 동일한 방식으로 자기 백성을 다루신다는 의미는 아니다.
④ 성경이야기에서 원리를 찾을 때 어떤 해석자는 성경의 문화 규범에 대한오해로 말미암아 실패하는 경우도 있다.
Ⅲ. 원리의 적용
① 부분적으로 하나님에 대한 변증이다.
② 사사기는 이스라엘이 어떻게 혼합주의와 연혼을 통해 가나안에 동화됨으로써 나라의 정체성이 위협받게 되었는지를 보여 준다.
③ 사사기의 메시지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설교학적 접근이 본문에 드러난 이들 주제 하나 하나에 대해 민감해야 한다.
제6장 본문의 실제적 적용 : 두가지 사례
Ⅰ. 벧엘의 대학살 : 젊은 아이들과 대머리 선지자 및 잔인한 두 마리의 암콤(왕하 2:23-25)
1. 사본학적 규명 및 번역(본문은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① 3장에서 살펴본 대로 해석자는 적어도 이상적으로는 먼저 원래의 본문을 먼저 확정한 후 의미론과 문법을 포함한 주석학적 문제들을 다루어야 한다.
② 본문비평은 논리적으로는 해석에 앞서지만 독자들은 의미론과 문법을 고려해야하는 본문비평이 주석작업과 함께 가장 잘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2. 본문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본문의 상황
① 아합 왕은 벧엘에 금송아지 우상을 세운 여로보암 1세의 죄를 떠나지 않았다.
② 그는 시돈 사람 이세벨과 결혼하여 바알을 북왕국의 국가 종교로 섬겼다.
③ 여호와의 선지자들은 박해를 받았다.
2) 문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① 이야기의 기본적 요소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이 메시지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 파악하라
② 본문의 담론구조, 극적구조 및 기타 문학적 특징들에 대해 규명하고 이들이 메시지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라.
③ 이야기의 인용 및 대화를 담론 유형 및 언어적 기능과 관련하여 분석한다.
④ 본문의 상호관련성에 민감하고 이들이 어떻게 메시지에 기여하는지 살펴본다.
3) 이야기의 주제를 요약하고 이들이 어떻게 책 전체의 주제에 기여하는지 살펴본다.
① 여호와의 선지자는 언약 공동체에서 하나님을 대리하는 자이기 때문에 합당한 존경을 받아야 한다.
② 하나님의 대변인을 업신여기고 무시하는 처사는 치명적인 대가를 치러야 한다.
③ 여호와께서는 자신의 권위를 보이시고 이스라엘에게 오직 하나님만 섬길 것을 요구하셨다.
4) 주어진 시간, 장소 및 상황 하에서 이 이야기가 당시의 함축적 독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본다.
① 포로기 이전 시대에 이 이야기는 열왕기서의 다른 책들과 함께 여호와가 참된 하나님이시며 유일한 경배를 받기에 합당하신 분임을 확인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② 하나님께서 의도하신 언약 공동체가 될 것을 촉구하고 격려하였던 선지자들을 통해 계시된 하나님의 뜻을 신실히 좇으려는 마음을 가졌을 것이다.
3. 본문은 오늘날 신앙 공동체의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① 성경의 일관성 있는 메시지는 구약 성경에 계시된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모든 사람들로부터 홀로 경배 받으시기에 합당한 유일하신 참 하나님이심을 보여준다.
② 하나님은 이 이야기에서 박해 받는 자신의 종 엘리사의 정당한 호소에 대해 즉각 반응하시는 재판관으로 자신을 제시하신다.
③ 이 이야기는 선지자가 그의 대적에 대해 저주를 호소하는 내용이다.
④ 이 이야기의 신학적 원리에 대한 고찰이 끝났으면 이러한 본문의 원리를 적용해야 한다.
Ⅱ. 암흑기의 빛 : 헌신적 사랑(룻기1장)
1. 사본학적 규명 및 번역(본문은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① 가장 중요한 사본상의 문제는 21절일 것이다.
② 70인역은 이 구절을 “그가 나를 징벌하였다”라는 히브리어 본문과 달리 “그가 나를 낮추셨다”로 번역한다.
2. 본문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본문의 상황
① 이스라엘 역사의 도덕적 암흑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호와의 율법에 나타난 기준에 따라 산 것이 아니라 자신의 도덕적, 윤리적 판단에 따라 살았다.
2) 문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① 시대적 배경은 중요한 문학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첫머리는 우리에게 이어지는 고무적인 이야기에 대한 어두운 배경을 제시한다.
② 나오미는 가족과 함께 모압으로 내려가는 장면으로부터 시작하여 하나님의 복된 손자를 품에 안는 장면으로 끝나는 이 이야기의 중심인물이다.
③ 그녀의 열정적인 헌신은 나오미에게 큰 도움을 주며 죽은 남편 대신 가족의 계보를 이어줄 후손을 생산한다.
3) 이야기의 주제를 요약하고 이들이 어떻게 책 전체의 주제에 기여하는지 살펴본다.
① 나오미의 경험은 여호와께서 가난한 자들을 보살피신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들이 타락한 세상의 가혹한 현실에 의해 넘어져 쓰러지면 하나님은 그들의 편이 되시고 슬픔을 기쁨으로 회복시키신다.
② 룻의 이야기는 하나님은 종종 헌신적인 사랑을 보여주는 개인들을 통하여 가난한 자들을 섭리적으로 도우신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③ 여호와께서는 서로 희생적으로 사랑하는 자들에게 때로는 그들이 상상할 수 없는 방법으로 그들의 생애가 끝난 후까지 지속되는 보상을 하신다.
4) 주어진 시간, 장소 및 상황 하에서 이 이야기가 당시의 함축적 독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본다.
① 고대 독자들에게 하나님은 자기 백성들이 어렵거나 위험한 상횡에서도 이웃을 사랑하기를 바라신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② 이 책은 독자들에게 가난한 자와 약자를 도와주며 그들이 처한 사회적 상황 안에서 그들에 대한 책임을 진지하게 고려할 것을 촉구한다.
③ 이스라엘 역사 어느 시대에도 적절하며 하나님의 언약의 본질과도 부합된다.
3. 본문은 오늘날 신앙 공동체의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① 헌신적인 사랑은 신약성경 복음 메시지의 핵심이다.
② 나래이터에 의해 언급된 유일한 신적 행위는 은혜로운 내용을 담고 있다.
③ 우리는 개인적으로 큰 비극이나 고통을 당할 때 하나님의 탓으로 돌리거나 그를 대적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④ 룻의 자기 희생적 사랑은 그리스도의 자기희생적 사랑을 예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