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본문내용
일반적으로 청소년들이 많이 듣는 말 중에 하나도 "놀지말고 공부 좀 해라"라는 말이다. 이 말 속에는 '놀이는 하지 말아야 되고 심지어는 해서는 안되는 듯한' 인상을 심하게 풍긴다. 최근에 청소년들의 학교생활과 관련하여 분석한 여러 논문에 의하면 청소년들의 생활은 학업성적에 따라 '범생이 집단 - 공부를 잘하는 모범생 집단', '들러리 집단- 공부는 중간 정도이면서 학교나 가정 또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규범을 적당히 지켜나가면서 적당히 즐길줄 아는 집단', 그리고 '날라리(노는 애) 집단- 공부는 포기하고 다양한 놀이문화에 빠져 사는 아이들'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분은 공부와 노는 것을 이분법으로 구분하고 있는 우리사회에서 비롯된 현상이다. 그래서 우리사회에서 청소년들이 '논다'라는 것은 사실상 사회적 규범을 지키지 않고 일탈적인 놀이문화에 빠져 있는 것과 동일하게 취급한다.일반적으로 하루 24시간 중 8시간은 휴식시간으로서의 잠자는 시간. 8시간은 일하는 시간이라면 나머지 8시간은 놀이를 포함한 여가시간이다. 그렇다면 사람의 삶에서 놀이를 포함한 여가시간은 삶을 위한 당연한 행위인데도 이를 그렇게 탐탁하게 여기지 않으며 특히 청년들의 놀이에 대해서는 왜 그렇게 정적인 시각을 가지는가? 놀이에 대한 여러 관점에서 이야기하는 것을 보면 놀이는 인간을 위한 유익한 활동이라고 이야기하며 특히 발달시기에 있는 청소년에게는 필수적인 것이라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학자인 Huizinga(1950)는 여러 문화에서 나타나는 놀이의 특성을 정리하여 놀이는 1)자발적인 행동이며(자발성). 2)놀이 기간 동안 일상생활의 공간과 시간에서 이탈되고(분리성). 3)놀이에 참여하는 사람의 행동을 지배하는 규칙이 존재(규칙성)한다고 말한다. 여기에 더하여 Caillois(1961)는 비 생산성(놀이 자체의 결과가 새로운 물질의 창조나 물질적 가치로 환원되지 않음)과 허구성(현실과 유리된 다른 차원의 인식이 이루어짐)을 놀이의 특징이라고 정리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놀이는 심리학자들에 의해서 인간의 성장을 도우며 인간관계를 확장시켜주고, 흥미와 집중력을 높여주며 탐구력과 판단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성인의 역할을 배워가도록 돕는
추천자료
청년실업의 원인과 대책
청년발달의 이해
청년실업
[청년실업][실업대책][실업문제][정부실업대책][정부실업대책평가]청년실업의 원인, 특징, 국...
청년, 청소년기의 성역할 고찰
[인간발달과업][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청년기][중년기][노년기]인간발달과업 구성요소,...
[광주광역시][광주시]광주광역시의 지명유래와 특성, 광주광역시의 청년회활동과 청년운동가,...
[독일문학][소녀문학][전쟁문학][사실주의][청년독일파][쉴러]독일문학의 역사, 독일문학의 ...
청년실업문제의 해결방안
[1920년대][민족협동전선론][소작쟁의][광주청년회]1920년대의 민족협동전선론, 1920년대의 ...
[노동시장구조, 노동시장구조와 노동환경, 노동시장구조와 기업, 노동시장구조와 청년층, 근...
[청년기 지적발달] 청년기의 정신능력, 지적발달의 측면
청년 헤겔의 신학론집 베른 프랑크푸르트 시기을 읽고
[청년기 발달] 청년기의 신체발달 성적발달 인지발달 성격발달 사회성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