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다.
얼굴에서 눈, 코, 입은 있지만 신체의 각 부분이 분화되어 있지 않았다.
ㆍ큰 머리- 지적 욕구가 강하거나 정신지체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ㆍ목이 생략된 인물- 정신지체나 미성숙한 정신상태에 있는 사람들이 많이그린다.
ㆍ손이 애매함- 사회적응에 자신이 없다.
ㆍ사각형 몸통- 정신지체나 정신질환자가 많이 그린다.
(8) 꽃
꽃은 아름다운 사랑을 상징한다. 또 개화에서 결실에 이르는 최초의 단계이기 때문에 성장 발달의 상징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여성스러움을 의미하고 강조하는 경우에 그리는 일이 많다.
그러나 높은 산봉우리의 꽃, 장례식용 꽃, 새 빨간색으로 길가에 피어있는 꽃 등은 그대로 자신의 영혼을 공감하는 꽃이며, 양친의 죽음을 애도하는 그림에서 많이 나타난다. 꽃에 색칠을 안한 경우는 감정이 실감나지 않는다는 하나의 표현으로 주로 정신분열증 환자에게 많이 나타난다.
(9) 동물
동물 그 자체가 상징성을 나타낸다. 팬더, 기린, 공작 등 눈에 띄는 것, 코알라, 애견, 고양이와 같이 귀여운 동물, 뱀, 돼지 등 일반적으로 싫어하는 동물 등 각 동물이 지닌 속성을 중심으로 부여되는 인간의 여러 가지 이미지와 동물의 세심한 특성과 생태, 신화, 전설 등에 그 의미를 맞출 수 있다.
집, 나무, 사람, 산, 강, 길을 전부 한쪽 밑에 아주 작게 그리고 동물을 크게 그리는 환자의 경우는 작아져 있는 현실을 보상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사람은 내면에 큰 에너지를 지니고 있다. 앞으로 어떻게 이끌어 낼 것인가 하는 것이 치료목표가 될 수 있다. 동물의 크기는 기준을 인간에게 둔다. 인간을 1로 하여 1보다 크면 인간이 지닌 에너지의 총량이 크다. 1보다 적으면 인간이 지닌 에너지의 총량이 적다.
분열증 환자나 대인공포증 환자는 토끼를 좋아하며 그리는 경우가 있다. 혹은 싸워서 상처를 입은 고슴도치, 매, 사자 등을 많이 표현하기도 한다. 등교거부 아동은 자주 소나 말을 그리는 경우가 많다. 학교내 폭력 소년은 고양이에게 몰려있는 듯한 쥐 모습을 그린다.
(10) 돌
돌의 의미는 상당히 중요하다. 그 속성은 단단함, 냉정함, 불변성이다. 돌은 일반적으로 눈에 띄지 않고 무수히 많은 것으로 그 존재를 알아차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것이 큰돌이나 큰 바위로서 전방을 가로막고 있으면 장애가 되고 큰짐이 되며 어려움을 나타낸다. 그러나 큰돌이라 하더라도 그 위치에 따라서 여러 가지 의미를 준다.
얼굴에서 눈, 코, 입은 있지만 신체의 각 부분이 분화되어 있지 않았다.
ㆍ큰 머리- 지적 욕구가 강하거나 정신지체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ㆍ목이 생략된 인물- 정신지체나 미성숙한 정신상태에 있는 사람들이 많이그린다.
ㆍ손이 애매함- 사회적응에 자신이 없다.
ㆍ사각형 몸통- 정신지체나 정신질환자가 많이 그린다.
(8) 꽃
꽃은 아름다운 사랑을 상징한다. 또 개화에서 결실에 이르는 최초의 단계이기 때문에 성장 발달의 상징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여성스러움을 의미하고 강조하는 경우에 그리는 일이 많다.
그러나 높은 산봉우리의 꽃, 장례식용 꽃, 새 빨간색으로 길가에 피어있는 꽃 등은 그대로 자신의 영혼을 공감하는 꽃이며, 양친의 죽음을 애도하는 그림에서 많이 나타난다. 꽃에 색칠을 안한 경우는 감정이 실감나지 않는다는 하나의 표현으로 주로 정신분열증 환자에게 많이 나타난다.
(9) 동물
동물 그 자체가 상징성을 나타낸다. 팬더, 기린, 공작 등 눈에 띄는 것, 코알라, 애견, 고양이와 같이 귀여운 동물, 뱀, 돼지 등 일반적으로 싫어하는 동물 등 각 동물이 지닌 속성을 중심으로 부여되는 인간의 여러 가지 이미지와 동물의 세심한 특성과 생태, 신화, 전설 등에 그 의미를 맞출 수 있다.
집, 나무, 사람, 산, 강, 길을 전부 한쪽 밑에 아주 작게 그리고 동물을 크게 그리는 환자의 경우는 작아져 있는 현실을 보상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사람은 내면에 큰 에너지를 지니고 있다. 앞으로 어떻게 이끌어 낼 것인가 하는 것이 치료목표가 될 수 있다. 동물의 크기는 기준을 인간에게 둔다. 인간을 1로 하여 1보다 크면 인간이 지닌 에너지의 총량이 크다. 1보다 적으면 인간이 지닌 에너지의 총량이 적다.
분열증 환자나 대인공포증 환자는 토끼를 좋아하며 그리는 경우가 있다. 혹은 싸워서 상처를 입은 고슴도치, 매, 사자 등을 많이 표현하기도 한다. 등교거부 아동은 자주 소나 말을 그리는 경우가 많다. 학교내 폭력 소년은 고양이에게 몰려있는 듯한 쥐 모습을 그린다.
(10) 돌
돌의 의미는 상당히 중요하다. 그 속성은 단단함, 냉정함, 불변성이다. 돌은 일반적으로 눈에 띄지 않고 무수히 많은 것으로 그 존재를 알아차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것이 큰돌이나 큰 바위로서 전방을 가로막고 있으면 장애가 되고 큰짐이 되며 어려움을 나타낸다. 그러나 큰돌이라 하더라도 그 위치에 따라서 여러 가지 의미를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