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위쪽으로 밀기는 늑골 바로 밑에서 주먹 쥔 손으로 상복부를 향해 밀어넣는 것이다. 내부 장기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구조자의 손이 흉골의 검상돌기 하부 늑골 가장자리를 건드려서는 안된다. 이물질이 배출될 때까지 5회 이상 빠르게 밀어내기를 반복한다. 이 과정은 몸을 누르거나 끌어안는 것이 아니고 팔을 압박하지 말아야 한다. 아동은 기도페쇄가 완화된 후에 구토를 하게 될 것이며, 흡인을 예방할 수 있는 자세를 취해주어야 한다. 호흡이 돌아온 후에 합병증의 발생을 사정하기 위해 아동에게 의학적인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이 방법은 최대호흡을 발생시키면 성공적이다. 아동은 흡기 시에 음식으로 인한 질식이 잘 발생한다. 폐에는 1회 호흡량에 호기 시 잔여량을 더한 것이 남아 있다가 횡격막 위에 압력이 가해지면 음식 덩어리는 튀어 오르는 공기의 힘에 의해서 바깥으로 배출된다.
◆ 경과 및 합병증
- 뇌세포는 4~6분동안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죽는다. 그렇기 때문에 심한 상기도 폐쇄는 빠른 응급처치를 요하며, 치료가 즉각적이고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뇌 손상, 호흡 부전,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드물지만 기도를 폐쇄했던 이물질이 입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폐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수일 후 쌕쌕 거리는 숨소리, 기침, 폐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참고문헌
1. 최신 아동간호학 2( 홍경자 외, 수문사, 2009)
2. 아동간호학 Ⅱ( 조결자 외, 현문사, 1997)
3. 아동간호학각론(김미예 외, 수문사, 1999)
4. http://blog.naver.com/rc76/80036539791
◆ 경과 및 합병증
- 뇌세포는 4~6분동안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죽는다. 그렇기 때문에 심한 상기도 폐쇄는 빠른 응급처치를 요하며, 치료가 즉각적이고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뇌 손상, 호흡 부전,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드물지만 기도를 폐쇄했던 이물질이 입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폐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수일 후 쌕쌕 거리는 숨소리, 기침, 폐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참고문헌
1. 최신 아동간호학 2( 홍경자 외, 수문사, 2009)
2. 아동간호학 Ⅱ( 조결자 외, 현문사, 1997)
3. 아동간호학각론(김미예 외, 수문사, 1999)
4. http://blog.naver.com/rc76/80036539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