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불교의 정의
2. 한국불교의 전래와 수용
2-1. 고구려
2-2. 백제
2-3. 신라
2-4. 가야
3. 불교의 역사적 특성
4. 고려 불교
5. 조선 불교
6. 통일 신라 불교
7. 원효의 사상
7-1. 일심사상
7-2. 화쟁사상
8. 원효 사상의 결론
9. 참고 문헌
2. 한국불교의 전래와 수용
2-1. 고구려
2-2. 백제
2-3. 신라
2-4. 가야
3. 불교의 역사적 특성
4. 고려 불교
5. 조선 불교
6. 통일 신라 불교
7. 원효의 사상
7-1. 일심사상
7-2. 화쟁사상
8. 원효 사상의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는 진리를 전달하기도 하지만 진리를 은폐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언어의 이중적인 속성을 정확하게 파악해야만 이론에 집착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화쟁의 방법은 크게 ①‘극단의 떠남’, ②‘긍정과 부정의 자재’(自在), ③‘여러 경전들의 폭 넓은 이해’라는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우선 ‘집착’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모든 이론들을 부정한다. ‘집착’을 버리게 하는 것이 쟁론을 화해시키기 위한 일차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부정’만으로 집착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며 도리어 ‘부정’ 자체에 집착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한 부정의 형식이 오히려 긍정을 말하는 경우도 있다. 가령 ‘이중부정’과 같이 ‘아닌 것’이 ‘아님’을 나타내는 경우는 ‘긍정’의 표현인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둘째 방법인 ‘긍정과 부정의 자재’가 필요하다. 이것은 “동의하지도 않고 이의도 제기하지 않으면서 설한다.”는 방법으로 ‘긍정’과 ‘부정’보다 ‘태도’의 문제를 중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초로서 불경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하다. 어느 하나의 경전에 집착하지 않고 두루 불경의 내용을 이해하여 폭넓은 시각을 가짐으로써 올바른 견해를 가질 수 있다.
8. 원효 사상의 결론
: 원효의 사상은 후대에 국내외적으로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국외적으로는 중국의 화엄종(華嚴宗)을 집대성한 법장(法藏)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제자인 징관(澄觀)도 원효를 높이 평가했다. 국내에서는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사상가 의천(義天)과 지눌(知訥)에게 큰 영향을 주어 당시 대립적인 위치에 있던 선(禪)과 교(敎)를 조화시키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된다. 의천의 교관겸수(敎觀兼修)를 주장하여 교종의 입장에서 선종을 포섭하려 했고, 지눌은 정혜쌍수(定慧雙修)를 주장하여 선종의 입장에서 교종을 융화시키려고 함으로써 모두 원효의 일심과 화쟁정신을 이어 나갔다. 이러한 영향은 숭유배불 청책이 만연하던 조선시대에까지 이어져서 휴정(休靜)과 같은 승려는 삼교조화론(三敎調和論)에 입각하여 유불도 삼교를 통합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으며 이처럼 원효의 사상은 우리나라 불교의 특징을 가장 잘 대표하는 사상일 뿐만 아니라 그 기틀을 잡는 시조로서 지대한 공헌을 했다.
9. 참고 문헌 :
▶ Naver 인터넷 검색 참고
▶ 불교교리 강좌
지은이 : 해주 , 출판사 : 불광출판부(1993)
▶ 이야기 한국철학(전통사상의 뿌리와 줄기1)
⇒ 지은이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출판사 : 풀빛(1996)
▶ 한국사상의 길라잡이
⇒ 지은이 : 황 준 연 , 출판사 : 박영사(1998)
▶ 불교의 체계적 이해
⇒ 지은이 : 고 익 진 , 출판사 : 새터(1994)
▶ 한국의 불교 사상
⇒ 지은이 : 이 기 영 , 출판사 : 삼성출판사(1988)
▶ 강좌 한국철학
⇒ 지은이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출판사 : 예문서원(1997)
▶ 세계의 사상 100선
⇒ 지은이 : 김철호이수영박건미김명주 엮음 , 출판사 : 녹두(1994)
화쟁의 방법은 크게 ①‘극단의 떠남’, ②‘긍정과 부정의 자재’(自在), ③‘여러 경전들의 폭 넓은 이해’라는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우선 ‘집착’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모든 이론들을 부정한다. ‘집착’을 버리게 하는 것이 쟁론을 화해시키기 위한 일차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부정’만으로 집착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며 도리어 ‘부정’ 자체에 집착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한 부정의 형식이 오히려 긍정을 말하는 경우도 있다. 가령 ‘이중부정’과 같이 ‘아닌 것’이 ‘아님’을 나타내는 경우는 ‘긍정’의 표현인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둘째 방법인 ‘긍정과 부정의 자재’가 필요하다. 이것은 “동의하지도 않고 이의도 제기하지 않으면서 설한다.”는 방법으로 ‘긍정’과 ‘부정’보다 ‘태도’의 문제를 중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초로서 불경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하다. 어느 하나의 경전에 집착하지 않고 두루 불경의 내용을 이해하여 폭넓은 시각을 가짐으로써 올바른 견해를 가질 수 있다.
8. 원효 사상의 결론
: 원효의 사상은 후대에 국내외적으로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국외적으로는 중국의 화엄종(華嚴宗)을 집대성한 법장(法藏)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제자인 징관(澄觀)도 원효를 높이 평가했다. 국내에서는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사상가 의천(義天)과 지눌(知訥)에게 큰 영향을 주어 당시 대립적인 위치에 있던 선(禪)과 교(敎)를 조화시키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된다. 의천의 교관겸수(敎觀兼修)를 주장하여 교종의 입장에서 선종을 포섭하려 했고, 지눌은 정혜쌍수(定慧雙修)를 주장하여 선종의 입장에서 교종을 융화시키려고 함으로써 모두 원효의 일심과 화쟁정신을 이어 나갔다. 이러한 영향은 숭유배불 청책이 만연하던 조선시대에까지 이어져서 휴정(休靜)과 같은 승려는 삼교조화론(三敎調和論)에 입각하여 유불도 삼교를 통합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으며 이처럼 원효의 사상은 우리나라 불교의 특징을 가장 잘 대표하는 사상일 뿐만 아니라 그 기틀을 잡는 시조로서 지대한 공헌을 했다.
9. 참고 문헌 :
▶ Naver 인터넷 검색 참고
▶ 불교교리 강좌
지은이 : 해주 , 출판사 : 불광출판부(1993)
▶ 이야기 한국철학(전통사상의 뿌리와 줄기1)
⇒ 지은이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출판사 : 풀빛(1996)
▶ 한국사상의 길라잡이
⇒ 지은이 : 황 준 연 , 출판사 : 박영사(1998)
▶ 불교의 체계적 이해
⇒ 지은이 : 고 익 진 , 출판사 : 새터(1994)
▶ 한국의 불교 사상
⇒ 지은이 : 이 기 영 , 출판사 : 삼성출판사(1988)
▶ 강좌 한국철학
⇒ 지은이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출판사 : 예문서원(1997)
▶ 세계의 사상 100선
⇒ 지은이 : 김철호이수영박건미김명주 엮음 , 출판사 : 녹두(1994)
추천자료
[불교불상, 불교, 불상, 불교불상 의미, 불교불상 유형, 불교불상 표현방식, 불교불상 수인]...
[불교사상, 공사상, 보시사상, 복전사상, 보살사상, 보은사상, 장자사상]불교사상과 공사상, ...
[불교 선(禪), 선종, 원각경, 초의, 회화사상, 위빠사나, 성품오득]불교 선(禪)과 선종, 불교...
[불교, 불교계 사회복지관, 불교계 사회복지사업, 불교계 경기체가, 불교계 장묘사업, 사회복...
[불교사회복지정보지원센터, 불교사회복지]불교사회복지정보지원센터의 운영, 불교사회복지정...
[불교설화, 불교설화와 여성성, 불교설화와 금강경설화, 불교설화와 관음설화, 불교설화와 석...
[불교, 불교적 상상력, 불교적 진리판별, 불교적 역사의식, 불교적 사생관, 불교적 청소년, ...
[불교철학, 불교철학과 연기법, 불교철학과 우주론, 불교철학과 힌두이즘, 불교철학과 사사무...
[신라불교, 신라불교 특징, 신라불교 성격, 신라불교 시기구분, 신라불교 수용, 신라불교 발...
[일본불교, 일본불교 역사, 일본불교 사상, 일본불교 포교, 일본불교와 민족주의, 민주주의]...
[중국불교, 중국불교와 불교전래, 중국불교와 선재동자, 중국불교와 선종, 중국불교와 당왕조...
[초기불교, 원시불교, 초기불교(원시불교) 공사상, 중도사상, 연기론, 무아설]초기불교(원시...
[불교 선(禪), 정혜불이, 화엄, 원각경, 인간존재, 정신겅강]불교 선(禪)과 정혜불이, 불교 ...
[불교사회복지]불교사회복지(불교복지)와 아동복지, 불교사회복지(불교복지)와 청소년복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