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절][예][예의][예의범절]마음가짐예절(예의범절), 몸가짐예절(예의범절), 옷차림(복장)예절(예의범절), 이웃간예절(예의범절), 방문예절(예의범절), 차(茶)예절(다도예절)(예의범절), 인사예절(예의범절)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절][예][예의][예의범절]마음가짐예절(예의범절), 몸가짐예절(예의범절), 옷차림(복장)예절(예의범절), 이웃간예절(예의범절), 방문예절(예의범절), 차(茶)예절(다도예절)(예의범절), 인사예절(예의범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마음가짐예절(예의범절)
1. 시사명(視思明)
2. 청사총(聽思聰)
3. 색사온(色思溫)
4. 모사공(貌思恭)
5. 언사충(言思忠)
6. 사사경(事思敬)
7. 의사문(疑思問)
8. 분사난(忿思難)
9. 견득사의(見得思義)

Ⅱ. 몸가짐예절(예의범절)
1. 얼굴표정
1) 얼굴 전체를 부드럽고 온화하게 갖는다
2) 얼굴의 근육을 긴장시키거나 찡그리지 않는다
3) 입은 조용히 다물되 힘주지 않는다
4) 턱을 자연스럽고 반듯하게 갖는다
5) 조작된 억지 표정을 짓지 않는다
6) 경우에 맞는 표정을 짓는다
7) 갑작스럽게 표정을 바꾸면 안 된다
8) 얼굴색으로 가슴속을 보이고 눈빛으로 말한다
2. 눈과 입의 표정
1) 눈의 표정
2) 입의 표정
3. 구용
1) 두용직(頭容直)
2) 목용단(目容端)
3) 구용지(口容止)
4) 성용정(聲容靜)
5) 기용숙(氣容肅)
6) 색용장(色容莊)
7) 수용공(手容恭)
8) 족용중(足容重)
9) 입용덕(立容德)
4. 서는 자세
1) 머리
2) 눈
3) 입과 턱
4) 어깨
5) 가슴
6) 손
7) 무릎, 엉덩이, 허리
8) 발
5. 걷는 자세
1) 걷기의 기본자세
2) 남의 앞을 지날 때
3) 실내에서 걷는 자세
4) 계단을 오르내릴 때
6. 바닥에 앉는 예절
1) 무릎 꿇기
2) 발의 모습
3) 손의 모습
4) 바닥에 편히 앉는 자세
5) 바닥에 앉을 때의 기본 자세
6) 바닥에 앉을 때 유의할 점
7. 방석에 앉는 예절
8. 의자에 앉는 예절
1) 의자에 앉기
2) 의자에 앉을 때의 기본자세
3) 의자에 앉을 때의 유의 사항

Ⅲ. 옷차림(복장)예절(예의범절)
1. 바른 옷차림 예절
1) 옷차림 예절
2) 옷입는 요령
2. 한복
1) 여자한복
2) 남자한복
3. 양복
1) 체형에 맞는 슈트의 선택
2) 얼굴형에 맞는 칼라의 선택
3) 색이 주는 느낌

Ⅳ. 이웃간예절(예의범절)
1. 이웃생활예절
1) 친숙하게 지내기
2) 사생활 보호하기
3) 서로 돕기
4) 양해 구하기
5) 폐 끼치지 않기
6) 대화하기
7) 청소하기
2. 이웃어른에 대한 예절
3. 엘리베이터 예절

Ⅴ. 방문예절(예의범절)

Ⅵ. 차(茶)예절(다도예절)(예의범절)

Ⅶ. 인사예절(예의범절)
1. 절
1) 선절(경례)
2) 앉은 절
2. 때와 장소에 알맞은 인사
3. 바른 인사말 쓰기
1) 상대에 맞은 인사말
2) 때와 장소에 맞는 인사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어 손가락 끝을 한데 모으고 곧게 펴서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 끝이 오른쪽 눈썹 끝에 닿도록 한다. 올린 팔은 곧게 펴고, 경례한 손바닥이 상대편에게 보이지 않도록 한다. 모자를 썼을 때에는 모자 차양의 오른쪽 끝에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 끝이 닿도록 경례를 한다.
④ 악수
친한 정분을 나타내는 인사법의 하나이다. 악수는 이성일 경우에 여자가 먼저, 동성일 경우에는 손윗사람이 먼저 악수를 청한다. 악수하는 방법은 즐거운 마음으로 오른손과 오른손을 마주잡고, 몸을 바로 가진 채 약간 흔든다. 시선은 상대방의 얼굴을 보고, 반가운 인사말을 주고받으며 행한다. 손을 힘없이 살짝 쥐는 것은 상대방에게 실례가 되므로, 잠시 동안 알맞게 힘을 주어한다. 처음 만나는 사람이나 이성간에는 손을 가볍게 잡는 것이 좋다. 예복을 입었을 때에는 장갑은 벗지 않아도 좋으나, 평상시의 방한용 장갑은 벗고 한다.
2) 앉은 절
① 큰절
큰절은 혼례 때나 제사 때에 한다. 남자의 큰절은 마주 쥔 두 손을 눈높이 까지 올렸다가 몸을 구부리며 동시에 같이 앞으로 내려 방바닥을 짚고 절하고 일어설 때에도 마주 두 손을 눈높이까지 올렸다가 내린다. 여자의 큰절은 한복을 입고하는데 두 손을 펴서 모아 잡고 눈높이로 든 채 발목을 서로 포개어 앉는다. 그리고 모아 잡은 손을 그대로 둔 채 고개를 숙여 절하고 일어서면서 손을 모아 잡은 채 조용히 눈높이까지 들어 올렸다가 내려서 마주잡고 그 자리에 서서 어른의 분부를 기다린다.
② 평절
남자의 평절은 두 손을 가볍게 마주 잡고 약간 들며 한쪽 발을 뒤로 밀고 다리를 구부려 무릎으로 방바닥을 짚은 다음 다시 한쪽 다리도 같이 구부려 두 무릎을 가지런히 하고 엎드려 손을 내려 방바닥을 짚고, 손등 위에서 15-20cm 거리에 얼굴이 오도록 숙여 절을 한 다음 일어서서 마주 잡은 두 손을 올리다가 내리며 두어 걸음 물러나서 두 손을 모아 잡고 어른의 분부를 기다린다. 여자의 평절은 한 쪽 발을 약간 뒤로 밀고 조용히 앉으면서 뒤로 민 다리를 방바닥에 놓고, 다른 쪽 다리는 세운 후 팔은 자연스럽게 따라 내려가 방바닥을 짚은 다음, 완전히 앉으면 고개를 숙여 절을 한다. 이때에 손은 몸 옆에 놓이게 되며, 손끝은 바깥쪽을 향하도록 한다. 절이 끝나면, 한쪽 발을 뒤로 밀며 조용히 일어서 두 팔을 모은다. 양장일 때에는 두 무릎을 꿇고 두 다리를 살며시 옆으로 보내며 앉아서 절을 한다.
2. 때와 장소에 알맞은 인사
1) 길거리나 건물 통로에서 웃어른을 만났을 때 “안녕하세요?” 하면서 허리를 굽히는 보통의 인사가 좋으나 허리를 너무 많이 굽히거나 반대로 고개만 까딱 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조금 전에 만난 분이거나 낯선 사람일지라도 복도나 엘리베이터 등에서 만나면 고개를 가볍게 숙여 목례를 한다.
2) 실내에서 인사할 때
사무실이나 응접실 같이 양식으로 되어 있는 방에서는 앉은 절 대신에 허리를 30。~45°정도로 구부려서 인사를 한다. 그러나 한국식 가옥일 경우에는 앉는 절을 하는 것이 좋다. 앉은절도 평절과 큰절이 있으며, 남녀가 하는 방법이 다르므로 잘 익혀 바르게 절을 하도록 한다.
*어른이 나중에 방에 들어오시는 경우에는 반드시 자리에서 일어서서 맞아 들여야 하며 어른이 자리에 앉으신 후에 절을 하도록 한다.
3. 바른 인사말 쓰기
1) 상대에 맞은 인사말
바른 말씨는 그 사람의 인품을 재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같은 내용의 말도 말하는 태도에 따라 상대방이 받아들이는 뜻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바르고 고운말을 골라 정감 있게 하는 것이 자기의 생각이나 뜻을 잘 표현 할 수도 있고 듣기에도 좋은 것이다.
① 어른에게
어른에게는 존댓말을 쓴다.
“ 선생님, 안녕하십니까.?”
“ 어머니, 안녕히 주무셨어요.?”
“ 소영이 어머님, 안녕하십니까? 소영이도 잘 있지요.?”
② 친구에게
남의 비위를 상하게 하는 말이나, 상스러운 말, 남을 헐뜯는 말은 하지 않는다.
“ 진희야, 안녕?”
“ 순희야 잘자.”
“ 요즘, 잘 있니? 놀러와.”
2) 때와 장소에 맞는 인사말
인사말은 동작으로 나타내는 인사를 더욱 효과 있게 하여 상대방에게 친밀감을 주는 것이므로 언제나 성실하고 바르게 교환해야 하며 듣기 거북한 인사말이 되지 않도록 때와 장소에 알맞은 인사말을 써야 한다.
*보통 때
“ .....안녕하십니까 ?”
*아침 일찍
“ ...안녕히 주무셨습니까 ?”
*식사 때
“ 맛있게 드십시오.”
*저녁 때
“ 어머님, 안녕히 주무십시오.”
*밖에 나가는 사람에게
“ 아버지, 안녕히 다녀오십시오.”
*밖에서 돌아오는 사람에게
“ 안녕히 다녀오셨습니까?”
*밖에 나갈 때
“ 어머니, 도서관에 갔다가 5시에 돌아오겠습니다.”
*밖에서 돌아왔을 때
“ 어머니, 놀이터에서 놀다가 돌아왔습니다.”
*특별한 날씨에는
“ 아주머니, 추운 날씨에 안녕하십니까?”
*모처럼 만난 사람에게는
“ 아저씨, 오랜만에 뵙습니다.”
*어른이 불렀을 때
“ 어머님, 저를 부르셨습니까?”
* 아픈 사람을 위문할 때
“ 할머니, 편찮으시다기에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좋아지셨다니 정말 다행입니다.”
*남의 집을 방문할 때
“ 아저씨, 갑자기 찾아와 죄송합니다.”
*손님을 맞이할 때
“ 아저씨, 찾아 주셔서 고맙습니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때
“ 아저씨, 고맙습니다.”
* 다른 사람에게 폐를 끼쳤을 때
“ 아저씨, 죄송합니다.”
*자기를 소개할 때
“ 저는 철수와 같은 반 친구인 ○○○.입니다.”
*다른 사람을 소개할 때
“ 저의 짝 ○○○입니다. 우리 반 부반장입니다.” 라고 소개하면
“ 평소 만나고 싶었습니다. 반갑습니다.”
“ 철수한테 네 얘길 많이 들었어. 참 반갑다.” 하고 서로 인사를 나누고 이야기를 나눈다.
참고문헌
강영숙 : 누구나 알아야 할 생활 예절, 문학아카데미, 1990
김득중·문상주 : 실천예절개론 세계화를 지향하는 현대인의 생활예절, 고려 출판사
남상해 : 예절학, 한영사
이정우 외 : 생활예론, 숙명여자대학출판부
홍남석 : 현대인의 생활예절, 서울 : 수문회관, 1990
한홍렬 외 : 생활예절과 국제매너, 서울 : 인간 사랑, 2001

키워드

예절,   ,   예의,   예의범절,   인사예절
  • 가격7,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0.07.2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52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