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우리들은1학년 교과의 성격
Ⅲ. 우리들은1학년 교과의 목표
Ⅳ. 우리들은1학년 교과의 내용체계
Ⅴ. 우리들은1학년 교과의 지도중점
Ⅵ. 우리들은 1학년 교과의 지도방법
1. 학교 교육 과정의 운영
2. 교수․학습 자료 개발
Ⅶ. 우리들은1학년 교과의 평가
1. 평가 내용
2. 평가 방법
Ⅷ. 결론
참고문헌
Ⅱ. 우리들은1학년 교과의 성격
Ⅲ. 우리들은1학년 교과의 목표
Ⅳ. 우리들은1학년 교과의 내용체계
Ⅴ. 우리들은1학년 교과의 지도중점
Ⅵ. 우리들은 1학년 교과의 지도방법
1. 학교 교육 과정의 운영
2. 교수․학습 자료 개발
Ⅶ. 우리들은1학년 교과의 평가
1. 평가 내용
2. 평가 방법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취해야 할 능력이나 특성의 폭과 깊이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8) 학습 내용 구성은 이후에 다루어질 교과 내용을 병치시키는 통합 방식보다는 학생의 취학 전 생활 경험과 일치될 수 있도록 생활 경험 중심으로 조직한다.
(9) 내용 영역과 단원 구성이 일치되는 조직 형식이 아니라, 제재를 중심으로 통합적으로 내용을 조직하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통합 교과로서의 성격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10) 기초 학습 기능은 연계되는 교과와 겹치지 않도록 하고, 꼭 필요한 기능만 최소화하여 제시한다.
(11) 교과서를 삽화, 사진 위주로 구성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활동 중심의 학습 활동이 일어나도록 한다.
(12) 사이좋게 꾸미기, 함께 놀이하기 등의 공동 활동을 많이 제시한다.
(13) 반복을 통하여 습관화시킬 필요가 있는 내용은 여러 제재에서 반복하여 다루어 주도록 한다.
(14) ‘우리들은 1학년’ 제재 구성은 통합의 정신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 제시한다.
Ⅶ. 우리들은1학년 교과의 평가
1. 평가 내용
<우리들은 1학년>의 평가는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 바른 생활 습관, 원만한 인간 관계, 기초 학습 기능과 관련해서 학생들의 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한다. 이 때 학생의 관심이나 흥미, 적응상의 어려움 등 개별적인 특성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둔다.
2. 평가 방법
학교생활 전반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행동과 산출물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 학생과의 자연스런 대화를 통해서 평가한다. 자연스런 상태에서 학생들의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허용적인 분위기에서 학생의 관심과 흥미를 파악한다.
Ⅷ. 결론
‘우리들은 1학년’ 교과는 입문기 오리엔테이션의 기능이 강하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생소한 이론적, 논리적 계열을 가지기보다는 일상 생활의 자연스러운 상황들을 중심으로 주제를 설정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유치원 교육을 통하여 통합적인 열린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초등학교에서는 교과 중심, 지식 중심의 획일화된 교육을 받게 된다는 비판을 수용하여야 하겠다.
참고문헌
교육부(1997) - 바른생활 슬기로운생활 즐거운생활 우리들은 1학년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교육부(1997) - 제7차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1998) -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Ⅳ), 서울 교육부
김경자(2000) - 학교교육과정론, 서울 교육과학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2000) -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 연수
(8) 학습 내용 구성은 이후에 다루어질 교과 내용을 병치시키는 통합 방식보다는 학생의 취학 전 생활 경험과 일치될 수 있도록 생활 경험 중심으로 조직한다.
(9) 내용 영역과 단원 구성이 일치되는 조직 형식이 아니라, 제재를 중심으로 통합적으로 내용을 조직하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통합 교과로서의 성격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10) 기초 학습 기능은 연계되는 교과와 겹치지 않도록 하고, 꼭 필요한 기능만 최소화하여 제시한다.
(11) 교과서를 삽화, 사진 위주로 구성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활동 중심의 학습 활동이 일어나도록 한다.
(12) 사이좋게 꾸미기, 함께 놀이하기 등의 공동 활동을 많이 제시한다.
(13) 반복을 통하여 습관화시킬 필요가 있는 내용은 여러 제재에서 반복하여 다루어 주도록 한다.
(14) ‘우리들은 1학년’ 제재 구성은 통합의 정신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 제시한다.
Ⅶ. 우리들은1학년 교과의 평가
1. 평가 내용
<우리들은 1학년>의 평가는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 바른 생활 습관, 원만한 인간 관계, 기초 학습 기능과 관련해서 학생들의 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한다. 이 때 학생의 관심이나 흥미, 적응상의 어려움 등 개별적인 특성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둔다.
2. 평가 방법
학교생활 전반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행동과 산출물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 학생과의 자연스런 대화를 통해서 평가한다. 자연스런 상태에서 학생들의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허용적인 분위기에서 학생의 관심과 흥미를 파악한다.
Ⅷ. 결론
‘우리들은 1학년’ 교과는 입문기 오리엔테이션의 기능이 강하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생소한 이론적, 논리적 계열을 가지기보다는 일상 생활의 자연스러운 상황들을 중심으로 주제를 설정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유치원 교육을 통하여 통합적인 열린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초등학교에서는 교과 중심, 지식 중심의 획일화된 교육을 받게 된다는 비판을 수용하여야 하겠다.
참고문헌
교육부(1997) - 바른생활 슬기로운생활 즐거운생활 우리들은 1학년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교육부(1997) - 제7차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1998) -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Ⅳ), 서울 교육부
김경자(2000) - 학교교육과정론, 서울 교육과학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2000) -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 연수
추천자료
국어과 교수 학습의 실제 - 중학교 1학년 말하기 영역의 학년별 지도내용과 수업모형
중학교 1학년(7학년) 가정과 학습지도안-청소년기의 특성
1학년)바른생활-4.함께쓰는 물건-함께쓰는 물건 알아보기
1학년) 수학 (수학과 교수 ; 학습 지도안) - 6. 50까지의 수 : 10을 알고, 읽고 쓸 수 있다. ...
1학년)즐거운 생활 <즐거운 생활과 교수-학습 과정안> - 4. 열매 맺는 가을 [2~3/12] : 명화 ...
1학년) <교생 (체육) 연구수업지도안> 배구 - 언더핸드패스
1학년 바른생활 지도안-4.누구를 만날까요-친구와 사이좋게 지내는 방법(중안)
[수업지도안] 고등 1학년) <(수학)과 인수분해 학습지도안> III. 식의 계산 1. 다항식 07. 인...
[방통대 1학년 글쓰기]자기 주변에서 자신이 가장 닮고 싶은 사람, 혹은 인생의 선배이자 충...
[수업지도안-교육계획안] 의미 관련 단원 수업의 실제와 제언 (중학교 1학년) 단원명: 5. 낱...
중학교1학년의 고민상담 (친구들과 잘 어울리고 잘 지내고 싶어요, 교우관계상담, 청소년교우...
2016년 방송통신대학교 1학년 1학기 글쓰기 중간과제물
본인이 초등학교 1학년 자녀(여) 1명을 키우는 한 부모 여성 장애인에 대하여 통합적 사례관...
[방통대 1학년 1학기 멀티미디어 영어 공통형] - 중간과제물 (과제명 : 교재 뒤에 붙은 (어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