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합의의 주체
3. 합의방법
4. 연장근로의 상한
5. 변형근로시간제하 연장근로와 그 한도
6. 연장근로 거부와 쟁의행위
2. 합의의 주체
3. 합의방법
4. 연장근로의 상한
5. 변형근로시간제하 연장근로와 그 한도
6. 연장근로 거부와 쟁의행위
본문내용
범위내에서 52조 근로시간 연장가능하다고 규정되어 있다.
② 주간한도
선택적 근로시간제에서도 연장근로가 52시간까지만 가능하다는 견해와 64시간까지 가능하다는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6. 연장근로 거부와 쟁의행위
판례는 근로자 동의아래 통상적으로 해오던 연장근로를 집단적으로 거부하도록 선동하여 회사의 정상적 운영 저해시 쟁의행위라고 판시하고 있다.
② 주간한도
선택적 근로시간제에서도 연장근로가 52시간까지만 가능하다는 견해와 64시간까지 가능하다는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6. 연장근로 거부와 쟁의행위
판례는 근로자 동의아래 통상적으로 해오던 연장근로를 집단적으로 거부하도록 선동하여 회사의 정상적 운영 저해시 쟁의행위라고 판시하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근로기준법-법적용대상
근로시간
근로시간의 보호-일반근로자,연소근로자,여성근로자
[임금][임금체계][인센티브][혁신적 보상시스템]임금, 임금체계와 인센티브 및 혁신적 보상시...
근로청소년복지
근로시간 및 휴게의 특례제도
[근로기준법][근로기준법개정][근로자]근로기준법과 근로자, 근로기준법개정의 역사, 근로기...
준법투쟁의 대표 유형별 정당성 법적 검토 (노동법)
근로관계종료후의 근로자보호 전반에 대한 법적 검토
근로기준법 51조의 탄력적 근로시간제도 검토
근기법 제63조 근로시간 등의 적용제외
2018년 7월 1일 개정예정 근로기준법과 근로시간의 보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