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관계 문헌의 개요
Ⅱ. 본론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1) 개인정보
(2) 기본 욕구 사정
(3) 현재 건강력 사정
(4) 과거 건강력 사정
2) 객관적 자료
(1) 신체검진
(2) 기본 욕구 사정
(3) 의학적 치료 계획
2. Problem List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1. 평가
2.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관계 문헌의 개요
Ⅱ. 본론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1) 개인정보
(2) 기본 욕구 사정
(3) 현재 건강력 사정
(4) 과거 건강력 사정
2) 객관적 자료
(1) 신체검진
(2) 기본 욕구 사정
(3) 의학적 치료 계획
2. Problem List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1. 평가
2.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형접합가족형 및 비가족형) 및 복합형(혼합형) 이상지질혈증(Fredrickson Type Ⅱa 및 Ⅱb형) 환자의 상승된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아포-B 단백,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치를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치를 증가시키는 식이요법의 보조제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가 상승된 환자(FredricksonType IV)의 식이요법
보조제
식이요법에 적절히 반응을 하지 않는 원발성 이상베타리포프로테인혈증 (Fredrickson Type III)
동형접합 가족형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치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지질저하제(예, LDL-apheresis)와 병용하거나, 이런지질저하제로의 치료가불가능한 경우
식이요법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아래의 기준에 해당되는 이형접합 가족형 고콜레
스테롤혈증을 가진 만10세-만17세의 소아환자(여성의경우 초경 이후의 환자)의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아포-B 단백 수치를 감소시키는 식이요법의 보조제
이 약의 구성 성분에 과민한 환자
활동성 간질환 환자 또는 혈청 트랜스아미나제치의 상승이 정상상한치의 3배 이상 상승된 환자
근질환 환자
임부, 수유부, 피임제를 사용하지 않는 가임여성
출산이 가능한 연령의 여성에 이 약을 투여시 임신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와 태아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에 대해 알려주었을 때만 투여한다.
칼슘채널길항제 (Calcium Channel Blockers)
herben retard 90mg
PO
협심증, 본태성 고혈압(경증-중등도)
중증의 울혈성 심부전 환자(심부전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동기능부전증후군, 동방블록, 방실블록(2, 3도) 환자(인공심실박동기를 착용중인 환자는 제외)
저혈압(수축기압 90mmHg 미만) 또는 쇽 환자
이 약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X선 소견상 급성 심근경색 환자 및 폐울혈 환자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전해질 수액 (Electrolytes Solutions)
normal saline bag 1000ml
IV
*0.45, 0.9% 주사제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륨 결핍, 염소 결핍)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키트주사제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3% 주사제
전해질 및 수분의 빠른 공급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한다.
저나트륨혈증 또는 저염소혈증
반복적인 관장에 의한 과량의 수분섭취 또는 경요도전립선절제술중 개방정맥동으로의 관류액 관류에 따라 세포외액이 격렬히 희석된 경우
중증 염분고갈시의 응급처치
*11.7% 주사제
전해질 보액의 전해질 보정(저나트륨혈증, 저염소혈증)
고나트륨혈증 환자
수분과다상태 환자
부종과 복수를 동반한 간경화 환자혈장 전해질농도가 상승되거나 정상 또는 약간 감소한 경우
나트륨 및 염화물의 투여가 임상적으로 해로운 경우
항히스타민 & 항알러지약 (Antihistamines & antiallergics)
peniramin
PO
고초열, 두드러기, 소양성 피부질환(습진피부염, 피부소양증, 약진), 알레르기성 비염, 혈관운동성 비염, 코감기에 의한 재채기콧물기침, 혈관운동성 부종, 곤충자상
안내압상승환자
갑상선기능항진환자
협착성소화성궤양 또는 유문십이지장 폐색 환자(항콜린 작용에 의해 평활근의운동억제, 긴장저하가 일어나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순환기계질환환자
고혈압등 심혈관계 질환 환자
간질환자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및 천식환자
간질환환자
항응고제 (Anticoagulants)
clexane 60mg
외과 영역의 수술후 발생하는 정맥의 혈전/색전 질환 예방
혈액투석 시 체외 혈액순환 회로에서의 혈액 응고 방지
심재성 정맥 혈전증의 치료
아스피린과의 병용 투여 : 불안정 협심증과 비Q파 심근 경색증(NQMI)의 치료
다음의 급성내과 질환으로 활동부적상태 환자에서의 심재성 정맥 혈전 색전 질환 예방
심부전(NYHA class Ⅲ or Ⅳ)
급성호흡부전
아래의 한가지 이상 정맥 혈전 색전의 위험인자가 동반된급성감염 혹은 급성 류마티스 질환, 75세 이상, 암, 정맥 혈전 색전 질환의 병력, 비만, 호르몬 치료, 심부전 만성, 호흡부전
이약 또는 헤파린, 저분자량 헤파린을 포함한 헤파린 유도체에 과민증을 보인 환자
지혈이상으로 인해 활동성 대출혈 상태에 있거나 출혈 경향이 증가된 환자(최근 출혈성 뇌졸중의 병력이 있는환자 포함)
에녹사파린투여시 혈소판 감소증의 병력을 가진 환자
출혈하기쉬운 조직 병소가 있는 환자
급성세균성 심내막염 환자
출혈성뇌혈관 사고 환자
② 외과적 처치
2. 문제목록(Problem list)
① 통증
② 운동장애
3. 간호진단(ESP : Etiology, Symptom, Problem), NANDA 간호진단
4. 간호과정 적용
일시
날짜
&
시간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날짜, 시간)
7/15~
7/20
주관적자료:
-가슴이 답답해
-숨쉴 때 가끔통증을 느껴
-진통제가 들어가고 있어? 너무 아파
객관적자료:
-통증척도가 운동시 6점, 안정시 2점
-통증으로 찡그린 표정을 지음
단기목표:
-3일이내에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장기목표:
-한달이내에 통증이 사라진다.
-통증을 호소하는지 관찰한다.
-통증의 양상을 관찰한다.
-진통제를 투여한다.
-통증 호소하여 진통제 투여
-계속적으로 통증호소시 진통제 투여.
-진통제 투여하여 통증완화
-진통제 투여 후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통증을 참을 수 있다고 말한다.
① 간호진단 : 질환과 관련된 통증
Ⅲ. 결론
1. 평가
강○○님은 7월 4일부터 잦은 가슴통증으로 인해 도보로 OPD를 이용하여 ADM하였다.
대상자의 문제점으로 통증을 호소함을 알수 있었다. 통증을 호소할 때마다 진통제를 이용했고, 진통제를 투여하면서 어느 정도의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었다.
2. 참고문헌
황옥남외 공저(2009),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황옥남외 공저(2009),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양선이외 공저(2007), 기본간호학 상, 현문사
양선이외 공저(2007), 기본간호학 하, 현문사
은재순외 공저(2008), 임상약리학, 현문사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가 상승된 환자(FredricksonType IV)의 식이요법
보조제
식이요법에 적절히 반응을 하지 않는 원발성 이상베타리포프로테인혈증 (Fredrickson Type III)
동형접합 가족형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치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지질저하제(예, LDL-apheresis)와 병용하거나, 이런지질저하제로의 치료가불가능한 경우
식이요법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아래의 기준에 해당되는 이형접합 가족형 고콜레
스테롤혈증을 가진 만10세-만17세의 소아환자(여성의경우 초경 이후의 환자)의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아포-B 단백 수치를 감소시키는 식이요법의 보조제
이 약의 구성 성분에 과민한 환자
활동성 간질환 환자 또는 혈청 트랜스아미나제치의 상승이 정상상한치의 3배 이상 상승된 환자
근질환 환자
임부, 수유부, 피임제를 사용하지 않는 가임여성
출산이 가능한 연령의 여성에 이 약을 투여시 임신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와 태아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에 대해 알려주었을 때만 투여한다.
칼슘채널길항제 (Calcium Channel Blockers)
herben retard 90mg
PO
협심증, 본태성 고혈압(경증-중등도)
중증의 울혈성 심부전 환자(심부전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동기능부전증후군, 동방블록, 방실블록(2, 3도) 환자(인공심실박동기를 착용중인 환자는 제외)
저혈압(수축기압 90mmHg 미만) 또는 쇽 환자
이 약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X선 소견상 급성 심근경색 환자 및 폐울혈 환자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전해질 수액 (Electrolytes Solutions)
normal saline bag 1000ml
IV
*0.45, 0.9% 주사제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륨 결핍, 염소 결핍)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키트주사제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3% 주사제
전해질 및 수분의 빠른 공급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한다.
저나트륨혈증 또는 저염소혈증
반복적인 관장에 의한 과량의 수분섭취 또는 경요도전립선절제술중 개방정맥동으로의 관류액 관류에 따라 세포외액이 격렬히 희석된 경우
중증 염분고갈시의 응급처치
*11.7% 주사제
전해질 보액의 전해질 보정(저나트륨혈증, 저염소혈증)
고나트륨혈증 환자
수분과다상태 환자
부종과 복수를 동반한 간경화 환자혈장 전해질농도가 상승되거나 정상 또는 약간 감소한 경우
나트륨 및 염화물의 투여가 임상적으로 해로운 경우
항히스타민 & 항알러지약 (Antihistamines & antiallergics)
peniramin
PO
고초열, 두드러기, 소양성 피부질환(습진피부염, 피부소양증, 약진), 알레르기성 비염, 혈관운동성 비염, 코감기에 의한 재채기콧물기침, 혈관운동성 부종, 곤충자상
안내압상승환자
갑상선기능항진환자
협착성소화성궤양 또는 유문십이지장 폐색 환자(항콜린 작용에 의해 평활근의운동억제, 긴장저하가 일어나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순환기계질환환자
고혈압등 심혈관계 질환 환자
간질환자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및 천식환자
간질환환자
항응고제 (Anticoagulants)
clexane 60mg
외과 영역의 수술후 발생하는 정맥의 혈전/색전 질환 예방
혈액투석 시 체외 혈액순환 회로에서의 혈액 응고 방지
심재성 정맥 혈전증의 치료
아스피린과의 병용 투여 : 불안정 협심증과 비Q파 심근 경색증(NQMI)의 치료
다음의 급성내과 질환으로 활동부적상태 환자에서의 심재성 정맥 혈전 색전 질환 예방
심부전(NYHA class Ⅲ or Ⅳ)
급성호흡부전
아래의 한가지 이상 정맥 혈전 색전의 위험인자가 동반된급성감염 혹은 급성 류마티스 질환, 75세 이상, 암, 정맥 혈전 색전 질환의 병력, 비만, 호르몬 치료, 심부전 만성, 호흡부전
이약 또는 헤파린, 저분자량 헤파린을 포함한 헤파린 유도체에 과민증을 보인 환자
지혈이상으로 인해 활동성 대출혈 상태에 있거나 출혈 경향이 증가된 환자(최근 출혈성 뇌졸중의 병력이 있는환자 포함)
에녹사파린투여시 혈소판 감소증의 병력을 가진 환자
출혈하기쉬운 조직 병소가 있는 환자
급성세균성 심내막염 환자
출혈성뇌혈관 사고 환자
② 외과적 처치
2. 문제목록(Problem list)
① 통증
② 운동장애
3. 간호진단(ESP : Etiology, Symptom, Problem), NANDA 간호진단
4. 간호과정 적용
일시
날짜
&
시간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날짜, 시간)
7/15~
7/20
주관적자료:
-가슴이 답답해
-숨쉴 때 가끔통증을 느껴
-진통제가 들어가고 있어? 너무 아파
객관적자료:
-통증척도가 운동시 6점, 안정시 2점
-통증으로 찡그린 표정을 지음
단기목표:
-3일이내에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장기목표:
-한달이내에 통증이 사라진다.
-통증을 호소하는지 관찰한다.
-통증의 양상을 관찰한다.
-진통제를 투여한다.
-통증 호소하여 진통제 투여
-계속적으로 통증호소시 진통제 투여.
-진통제 투여하여 통증완화
-진통제 투여 후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통증을 참을 수 있다고 말한다.
① 간호진단 : 질환과 관련된 통증
Ⅲ. 결론
1. 평가
강○○님은 7월 4일부터 잦은 가슴통증으로 인해 도보로 OPD를 이용하여 ADM하였다.
대상자의 문제점으로 통증을 호소함을 알수 있었다. 통증을 호소할 때마다 진통제를 이용했고, 진통제를 투여하면서 어느 정도의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었다.
2. 참고문헌
황옥남외 공저(2009),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황옥남외 공저(2009),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양선이외 공저(2007), 기본간호학 상, 현문사
양선이외 공저(2007), 기본간호학 하, 현문사
은재순외 공저(2008), 임상약리학, 현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중환자실 실습 1일 보고서
pleural effusion
흉막과 흉막강 질환 환자 간호
OS 케이스 (Lt. tibia fibula open fx)
성인실습 확장형심근증(DCMP) 케이스 사례보고서
간호과정 응급실 케이스 (4개)
급성당남염 케이스 스터디
폐렴 Peumonia
MI case 간호진단
[간호학 임상 CASE] 직장암 (rectal cancer)
협심증(Angina pectoris) 케이스
[케이스스터디]폐쇄성죽상동맥경화증, 협심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천식, 당뇨병 케이스...
운동부하검사 결과해석
STEMI, 심근경색증 케이스 (간호사정, 검사결과, 간호진단, 문헌고찰, 간호계획, 약물조사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