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13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13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봉건제국의 몰락

2. 중화민국의 성립

3. 5.4 신문화운동(1919년)

4. 맑스주의의 전파

5. 신문화 운동 시기 지식인들의 전통에 대한 입장

6. 과학과 철학

본문내용

쉬운 말을 사용해야 한다. (호적)
*대부분의 학자들이 유물사관의 영향을 받음
-유물사관: 마르크스주의의 근간으로, 경제적인 관계인 생산과 생산수단을 수단으로 역사
의 진행방향을 설명하고 있음. 결과적으로 사회주의로 귀결될 것이라고 주장.
2)중국 공산당의 성립
-성립시기에 대해 논란이 있으나 1921년 7월에 생긴 것으로 일반적으로 보고 있음.
-중국공산당의 태동
:러시아의 1917년 ‘10월 혁명’이 발생하면서 그 영향이 중국에 미치면서 공산당의 활동이 시작됨.
-마르크스주의 연구회: 이를 중심으로 많은 지식인이 결집
-코민테른 지도자: 러시아에서 넘어와 마르크스주의의 이론을 전파시킴.
*과학을 중요시 하는 사람들과 전통사상을 중요시하는 전통주의자들이 있었고, 러시아의 영향을 받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서로 주도권을 잡기 위해 다툼을 버림.
5.신문화 운동 시기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인들의 입장
-신고(信古): 전통을 믿고 따름. 전통주의자들의 입장
-의고(擬古): 전통적인 것을 모두 의심해봐야 한다. 급진주의자들의 입장
*대표자- 호적
:대부분의 중국의 철학서들은 공자를 중국철학의 시조로 보고 있었음. 공자의 출생 시
기는 공자 출생 후 수백 년이 지난 후 쓰인 ‘사기’를 토대로 알아낸 것인데, 호적은 이
에 대하여 믿을 수 없다고 하여 그가 지은 ‘중국철학사’에서 ‘노자’를 제 1장에 배치함.
주희의 ‘사서집주’ 등을 보면 공자나 맹자의 글을 크게 배치하고 자신의 글은 주석으로
적었으나, 호적의 ‘중국철학사’의 경우 자신의 글을 크게 배치하고 공자나 맹자의 글을
주석으로 적음. 전통과 권위에 대한 탈피를 엿볼 수 있음
:나증거래(拿證據來): 무엇을 하든 증거를 내놓아라. 실증주의적 입장
:대담하게 가정을 세우고, 엄밀하게 증명하라.
-절충(折衷): 전통과 급진의 중간
<그 당시의 학파>
(1)과학파
(2)현학(철학)파
(3)유물사관파
:1924년에 세 학파가 모여 중국의 미래를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지에 대해 논쟁을 벌임
-‘과학과 현학(인생/철학관) 논쟁’
1.왕국유와 문제의식
-가애자 불가신 가신자 불가애(可愛者 不可信 可信者 不可愛)
:사랑할 수 있는 것들은 믿을 수 없고, 믿을 수 있는 것들은 사랑할 수 없다. 인생의 진리는 ‘과학적 진리(1+1=2)’와 ‘현학적 진리(나는 순이를 사랑한다.)’의 두 가지가 있음.
-사랑할 수 있는 진리는 믿을 수 없다.
: 현학적 진리를 말함. 이에 대해 애정을 갖고 집착하나, 근거와 법칙이 없으므로 마음속에 있으므로 증명이 불가능.
-믿을 수 있는 진리는 사랑할 수 없다.
: 과학적 진리를 말함. 근거와 법칙이 있으나, 이에 대해 애정을 갖고 집착하지 않음.
*과학적 진리: 서양, 과학, 이성, 분석, 법률, 근대를 대표
*현학적 진리: 전통, 철학, 미학, 직관, 윤리를 대표
-->왕국유는 서양의 과학적 진리에 의해 현학적 진리로 대표되는 중국과 그를 유지하던 ‘초안정구조’가 붕괴되기 시작함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함.
-왕국유는 이화원의 곤명호에서 자살.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9.23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13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