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강 동양사상이란 무엇인가
1.동양사상이란 무엇인가?
2.철학사(사상사) 서술방법
3.철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4.중국철학의 특징
1.동양사상이란 무엇인가?
2.철학사(사상사) 서술방법
3.철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4.중국철학의 특징
본문내용
큰 비행접시, 사물의 입장에서 가장 앞에 있는 것
∴관계적 투사
서양인들 대다수 - 가장 작은 비행접시, 자신의 시선방향으로부터 가장 멀리있는 것을 가장 앞에있는 것이라 여김.
자신이 중심(서양미술에서 원근법)
∴자아중심적 투사
예제2) 중앙의 꽃이 A그룹과 B그룹 중 어느그룹에 속하는가?
동양인들 대다수 - A그룹, 둥글둥글한 느낌으로 바라봄. 전체적 분위기
∴직관적
서양인들 대다수 - B그룹, 하나하나 분석해서 바라봄. 꽃+잎+줄기
꽃과 잎에서는 규칙성을 찾아낼 수 없으나
줄기부분은 A그룹과 B그룹이 정확히 나뉨.
∴분석적
예제3) 이 중 두 개를 묶는다면?
동양인들 대다수 - 원숭이와 바나나,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 빨가면..’, 조삼모사
∴경험적 입장(관계중시, 원숭이의 입장, 양태, 실제적 경험적 사실)
서양인들 대다수 - 원숭이와 팬더, 둘 다 포유류
∴분류적 입장(과학적 입장, 태도에서 속성의 공통점)
∴종합해보면, 동양사람과 서양사람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음.
4.중국철학의 특징
·타자중심적(↔자기중심적)
·직관적(↔분석적) - 直觀, 보는그대로 받아들임.
·관계론적(↔계통적) - 주변적 부분에 관심, 관계를 통해 한 사람을 규정
·실천적 - 이론과 실천의 병행, 학문적인 성과와 동시에 그 사람의 인품 중시
·내향적 - 마음을 중시, 수양
·추기급인(推己及人) / 역지사지(易地思之)
-추기급인 : 나를 미루어서 다른사람을 미친다.(생각한다) /
역지사지 :입장을 바꾸어 생각해본다.
-동양사상의 기본적, 핵심적인 요소
·언어배척
-언어는 도를 깨닫기위한 수단, 궁극적인 것이 아님.
-서양은 언어철학이 따로있을정도로 중요
*왕국유(인간사화)-근대화시기에 살았던 중국의 역사가, 문학자, 철학자
-시인이라는 말을 철학자로 바꿔도 말이됨. 오히려 맞음.
동양적, 철학적 사유방식을 합해야 함을 강조.
-직관적, 언어배척적 경향 → 논증의 부족이라는 약점.
*문(文)-사(史)-철(哲)은 하나다.
∴동양철학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건 약점이건, 우리가 어떻게 사유를 하고 어떻게 사물을 바라보고 어떻게 타인과의 관계를 설정하는가가 중요.
이러한 과정속에서 전통으로부터 물려받은 고유의 지식적인 틀, 사유의 틀이 어떻게 형성 되었고 그것은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가가 가장 중요한 물음임.
*소통
- 화이부동(和而不同) : 조화는 이루되 같아지지는 말아라.
*한학기동안의 목표
∴관계적 투사
서양인들 대다수 - 가장 작은 비행접시, 자신의 시선방향으로부터 가장 멀리있는 것을 가장 앞에있는 것이라 여김.
자신이 중심(서양미술에서 원근법)
∴자아중심적 투사
예제2) 중앙의 꽃이 A그룹과 B그룹 중 어느그룹에 속하는가?
동양인들 대다수 - A그룹, 둥글둥글한 느낌으로 바라봄. 전체적 분위기
∴직관적
서양인들 대다수 - B그룹, 하나하나 분석해서 바라봄. 꽃+잎+줄기
꽃과 잎에서는 규칙성을 찾아낼 수 없으나
줄기부분은 A그룹과 B그룹이 정확히 나뉨.
∴분석적
예제3) 이 중 두 개를 묶는다면?
동양인들 대다수 - 원숭이와 바나나,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 빨가면..’, 조삼모사
∴경험적 입장(관계중시, 원숭이의 입장, 양태, 실제적 경험적 사실)
서양인들 대다수 - 원숭이와 팬더, 둘 다 포유류
∴분류적 입장(과학적 입장, 태도에서 속성의 공통점)
∴종합해보면, 동양사람과 서양사람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음.
4.중국철학의 특징
·타자중심적(↔자기중심적)
·직관적(↔분석적) - 直觀, 보는그대로 받아들임.
·관계론적(↔계통적) - 주변적 부분에 관심, 관계를 통해 한 사람을 규정
·실천적 - 이론과 실천의 병행, 학문적인 성과와 동시에 그 사람의 인품 중시
·내향적 - 마음을 중시, 수양
·추기급인(推己及人) / 역지사지(易地思之)
-추기급인 : 나를 미루어서 다른사람을 미친다.(생각한다) /
역지사지 :입장을 바꾸어 생각해본다.
-동양사상의 기본적, 핵심적인 요소
·언어배척
-언어는 도를 깨닫기위한 수단, 궁극적인 것이 아님.
-서양은 언어철학이 따로있을정도로 중요
*왕국유(인간사화)-근대화시기에 살았던 중국의 역사가, 문학자, 철학자
-시인이라는 말을 철학자로 바꿔도 말이됨. 오히려 맞음.
동양적, 철학적 사유방식을 합해야 함을 강조.
-직관적, 언어배척적 경향 → 논증의 부족이라는 약점.
*문(文)-사(史)-철(哲)은 하나다.
∴동양철학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건 약점이건, 우리가 어떻게 사유를 하고 어떻게 사물을 바라보고 어떻게 타인과의 관계를 설정하는가가 중요.
이러한 과정속에서 전통으로부터 물려받은 고유의 지식적인 틀, 사유의 틀이 어떻게 형성 되었고 그것은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가가 가장 중요한 물음임.
*소통
- 화이부동(和而不同) : 조화는 이루되 같아지지는 말아라.
*한학기동안의 목표
추천자료
자연관에 대한 동양철학적 이해와 서양철학적 이해 비교
노자의 사상
유가사상에 대해서
불교사상의 기본 이론
동서양사상에서의 환경윤리 비교
공자사상의 현대적 재해석
[주자, 주자의 사상] 주자의 사상과 철학
<노장사상> 독후감
[도가사상]道(도)의 정의, 道(도)의 깨달음, 도가사상(노장사상)의 개념, 도가사상(노장사상)...
인간과 자연의 관계문제 (동양 자연관)
[인간관][서양][동양][성리학][유교][불교][원불교][기독교][인간]서양의 인간관, 동양의 인...
[중화사상, 중화사상 의미, 중화사상 역사, 중화사상의 민족중심문화, 중화사상의 우월의식, ...
한용운(韓龍雲)이 말하는 사상 연구 - 침묵에 관한 연구, 시에 나타난 님의 견해, 승려 한용...
한중일 삼국의 ‘개화기’ 역사의 철학적 고찰 (동양 삼국의 철학과 서구 철학의 충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