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코닌 박스를 활용한 음운 인식 지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엘코닌 박스를 활용한 음운 인식 지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도입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시사점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읽기 단계에서 음운 인식 지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 지도방안으로써 엘코닌 박스의 활용을 제안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음운 인식 활동의 수준별 지도 방안이 모색되어 지고 초등학습자들에게 적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Ⅵ. 참고 문헌
강보경. (2008). 음운 인식 지도를 통한 읽기 부진아의 읽기 능력 향상에 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윤 (2004). 초등학생의 영어 음소 인식 :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1(3), 103-131.
이주연 (2007). 음소인식을 활용한 초등영어 수업이 수준별 집단의 읽기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임수진 (2007). 엘코닌 박스를 활용한 음소지도가 초등학생의 영어 읽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임정은(2005). 초등 영어 학습자의 음운 인식 양상과 읽기 능력과의 관계 고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채정희 (2002). 영어 음운 인식을 통한 기초 읽기 지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Anthony, J. L., Francis, D. J. (2005).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4(5), 255-259.
Herron, J. (2008). Why phonics teaching must change. Educational Leadership, 66(1), 77-81.
McCarthy, P. A. (2008). Using sound boxes systematically to develop phonemic awareness. The Reading Teacher, 62(4), 346-349. doi:10,1598/RT.62.4.7
McGee, L. M., & Ukrainetz, T. A. (2009). Using scaffolding to teach phonemic awareness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The Reading Teacher, 62(7), 599-603. doi:10.1598/RT.62.7.6
Manyak, P. C.(2008). Phonemes in use : Multiple activities for a critical process. The Reading Teacher, 61(8), 659-662. doi:10.1598/RT.61.8.8
Yeh, S. S., & Connell, D. B. (2008). Effects of rhyming, vocabulary and phonemic awareness instruction on phoneme awareness.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31(2), 243-256. doi:10.1111/j.1467-9817.2007.00353.x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9.28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2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