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보고서를 시작하며
2. 읽기 교육의 이론적 배경
(1) 행동주의적 관점
(2) 형태심리학적 관점
(3) 인지심리학
3. 읽기의 이론적 고찰
(1) 읽기의 본질
(2) 읽기의 과정
4. 읽기의 이론적인 측면을 고려한 좋은 제재의 선정 기준
(1) 읽기의 구성요소
(2) 읽기 교육의 목표
(3) 읽기교육의 내용구성
(4) 읽기 교육의 내용
5. 읽기 이론을 통해 알아본 ‘좋은 제재 선정기준’
6. 1, 2학년 읽기 교과서에서 좋은 제재 선정을 위한 기준
7. 1, 2 학년 새《읽기》교과서 中 좋은 제재 선정 ․ 분석
1) 1-1 3단원, 만복이는 풀잎이다.
2) 1-1 4단원, 오는 길 -피천득
3) 1-1 6단원, 꾀를 내어서, 떡시루 잡기
4) 2-1 1단원, 설문대 할망
※ 참고문헌
2. 읽기 교육의 이론적 배경
(1) 행동주의적 관점
(2) 형태심리학적 관점
(3) 인지심리학
3. 읽기의 이론적 고찰
(1) 읽기의 본질
(2) 읽기의 과정
4. 읽기의 이론적인 측면을 고려한 좋은 제재의 선정 기준
(1) 읽기의 구성요소
(2) 읽기 교육의 목표
(3) 읽기교육의 내용구성
(4) 읽기 교육의 내용
5. 읽기 이론을 통해 알아본 ‘좋은 제재 선정기준’
6. 1, 2학년 읽기 교과서에서 좋은 제재 선정을 위한 기준
7. 1, 2 학년 새《읽기》교과서 中 좋은 제재 선정 ․ 분석
1) 1-1 3단원, 만복이는 풀잎이다.
2) 1-1 4단원, 오는 길 -피천득
3) 1-1 6단원, 꾀를 내어서, 떡시루 잡기
4) 2-1 1단원, 설문대 할망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어의 의미를 앞뒤에 사용된 단어와 상황들로 추측하며 읽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는 좋은 제재이다. 어려운 단어가 포함되어 있었지만 이 어려운 단어를 알게 하는 것이 읽기 교육의 목표가 아니기에, 이 단어의 의미를 어떻게 읽을 수 있는지 그 방법을 알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제재라고 생각했다.(문맥과 상황을 고려한 읽기방법 체득)
- 이와 관련하여 p.65 박목월의 아기의 대답 역시 피천득의 오는 길과 마찬가지로 아기가 등장인물로 설정되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는 좋은 제재이다. 또한 발름발름만 써있다면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이 무슨 의미인지를 읽을 수 없어, 생각과 느낌을 나누어 보자는 학습목표에도 도달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코부터 발름발름’ 이라고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단어와 함께 쓰여 반복되는 말에 포함된 느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좋은 제재이다. (우리는 뭉게뭉게 하면 구름을 떠올리지만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은 뭉게뭉게가 단독으로 쓰였을 때 어떤 느낌으로 쓰인 것인지 모르기 때문에, 구름과 함께 써줌으로써 뭉게뭉게의 느낌이 어떨 때 쓰이는 것인지 파악하게 한다.)
3) 1-1 6단원. 느낌이 솔솔
(1) 1학년 1학기 대단원 학습 목표 및 단원 구성
① 대단원 학습 목표: 옛이야기는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입니다.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생각하며 옛이야기를 읽어 봅시다. 그리고 재미있는 자연을 찾아 표현하여 봅시다.
(2) 선정 읽기 제재 소개
① p. 96 ★ 꾀를 내어서, p.99 떡시루 잡기
학습목표 : 옛이야기를 읽고, 재미있는 장면을 찾아봅시다.
② 제재 선정이유
재차 강조하지만 읽기 교육은 내용을 학습하는 것 보다는, 읽기 방법에 대한 기본을 알아가도록 교육해야 하는 것이므로 이런 점에서 옛이야기는 내용이 비록 허구일지는 몰라도 읽기에 대한 긍정적인 느낌을 갖게 하고 읽기 방법에 대해 재밌고 즐겁게 배울 수 있다는 면에서 좋은 제재가 된다고 생각한다.
p.96) 꾀를 내어서
※ 제재 선정이유
- 1단원에서 어떤 행동을 묘사하는 반복되는 말이 나타나면 그냥 행동을 표현하는 단어를 통해 그 반복되는 말의 느낌을 읽는 방법을 배웠으므로, 학생들이 제재내의 단어를 통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단어들이 등장인물의 이름으로(머리를 긁적-박박이, 눈을 비비는-눈첩첩이) 사용되어 좀 더 학생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갖게 하는 좋은 제재라고 생각하였다.
- 또한 문자를 학습하려고 하는 사람의 연령을 고려하여 내용이 비록 과장되었을지라도 등장인물들의 이름과 관련된 재미있는 장면을 찾아보며 읽는 방법을 학습하게 하였다는 데서 좋은 제재이다.
p.99) 떡시루 잡기
※ 제재 선정이유
- 솔솔, 깔깔깔 등 어떤 모습이나 행동을 묘사하는 말이 단서와 함께 제시되어 묘사하는 말과 일반적으로 표현하는 말이 어떤 관계가 있고,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제재라고 생각한다. 이는 학생 수준에 인지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한 좋은 제재로 봐도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 떡시루 잡기도 ‘꾀를 내어서’와 마찬가지로 제재의 내용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물의 말과 행동이 사실은 아닐지라도, 재미있고 과장하여 표현되어있어 재미있는 장면을 인물의 말과 행동을 통해 찾을 수 있다는 읽기 방법을 배울 수 있는 좋은 제재라고 생각한다. (매우 맛있어 보였습니다. -> 군침이 저절로 돌았습니다./ 기운이 없어 졌습니다. ->기운이 쏙 빠졌습니다./ 맛있는 냄새가 솔솔 나자, 떡시루는 산 아래로 떼굴떼굴 굴러갔습니다. 두꺼비는 배꼽을 쥐고 ‘깔깔깔’ 웃었습니다.)
4) 2-1 1단원. 느낌을 말해요.
(1) 2학년 1학기 대단원 학습 목표 및 단원 구성
① 대단원 학습 목표: 시나 이야기를 읽을 때 반복되는 말이나 재미있는 말의 느낌을 살려 읽으면 실감이 납니다. 말의 느낌을 살려 시나 이야기를 읽어 봅시다.
(2) 선정 읽기 제재 소개
① p. 17 설문대 할망
학습목표 : 말의 느낌을 살려 이야기를 읽어봅시다.
② 제재 선정이유
- 학생은 읽기 제재를 통해 배경지식을 넓혀갈 수도 있지만(내용학습) 이는 학생 자신의 삶 속에서 수행하는 읽기 형태이지 학교에서 학습할 것이 아니다. 따라서 설문대 할망에 나온 한라산은 실제 한라산의 생성과정과는 다르지만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친근한 제주도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읽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관심과 흥미)를 가지게 하는데 도움이 되는 제재라고 생각한다.
- 또 제주도라는 친숙한 소재를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말을 배울 때 글자로 쓰여 있는 것을 보고 배우기보다는 부모가 말하는 것을 듣고 배워가기 때문에 구어체로 서술된 이 제재는 학생들이 ‘읽기’에 부담 갖지 않고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좋은 제재라고 생각한다.
- 또한 문어체로 서술된 제재를 읽을 때와는 다른 느낌을 경험해보도록 함으로써 어떻게 표현되었을 때 더 실감나고 자연스럽게 읽을 수 있는지, 그 읽기 방법을 배울 수 있는 좋은 제재라고 생각한다.
- 이와 관련하여 1학년 1학기 2단원에 나오는 글자의 짜임을 알아보는 제재 (p.24 나무 나무 무슨 나무/ 가자 가자 감나무/ 배가 아파 배나무/ 바람 솔솔 소나무)에서 가자와 감나무, 배가 아플 때의 ‘배’와 배나무의 ‘배’는 다른 의미로 단지 같은 음을 쓰고 있을 뿐이지만 문자를 학습하려는 사람의 연령을 고려하여 학생의 수준에 인지할 수 있는 ‘가자’, ‘배’, ‘솔솔’ 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글자의 짜임을 알게 했다. 이런 면에서 학생의 수준을 고려한 제재는 읽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는 동시에 읽기 방법을 학습하게 하는 좋은 제재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과 교과서. 2009.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2학년 1학기 국어과 교과서. 2009.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해설서, 2008.
삼지원. “국어교육학개론”. 최현섭 외 6명. 2008.
서울대학교출판부. “읽기 지도의 이해”. 박수자. 2001.
박이정. “읽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이경화. 2001.
- 이와 관련하여 p.65 박목월의 아기의 대답 역시 피천득의 오는 길과 마찬가지로 아기가 등장인물로 설정되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는 좋은 제재이다. 또한 발름발름만 써있다면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이 무슨 의미인지를 읽을 수 없어, 생각과 느낌을 나누어 보자는 학습목표에도 도달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코부터 발름발름’ 이라고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단어와 함께 쓰여 반복되는 말에 포함된 느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좋은 제재이다. (우리는 뭉게뭉게 하면 구름을 떠올리지만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은 뭉게뭉게가 단독으로 쓰였을 때 어떤 느낌으로 쓰인 것인지 모르기 때문에, 구름과 함께 써줌으로써 뭉게뭉게의 느낌이 어떨 때 쓰이는 것인지 파악하게 한다.)
3) 1-1 6단원. 느낌이 솔솔
(1) 1학년 1학기 대단원 학습 목표 및 단원 구성
① 대단원 학습 목표: 옛이야기는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입니다.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생각하며 옛이야기를 읽어 봅시다. 그리고 재미있는 자연을 찾아 표현하여 봅시다.
(2) 선정 읽기 제재 소개
① p. 96 ★ 꾀를 내어서, p.99 떡시루 잡기
학습목표 : 옛이야기를 읽고, 재미있는 장면을 찾아봅시다.
② 제재 선정이유
재차 강조하지만 읽기 교육은 내용을 학습하는 것 보다는, 읽기 방법에 대한 기본을 알아가도록 교육해야 하는 것이므로 이런 점에서 옛이야기는 내용이 비록 허구일지는 몰라도 읽기에 대한 긍정적인 느낌을 갖게 하고 읽기 방법에 대해 재밌고 즐겁게 배울 수 있다는 면에서 좋은 제재가 된다고 생각한다.
p.96) 꾀를 내어서
※ 제재 선정이유
- 1단원에서 어떤 행동을 묘사하는 반복되는 말이 나타나면 그냥 행동을 표현하는 단어를 통해 그 반복되는 말의 느낌을 읽는 방법을 배웠으므로, 학생들이 제재내의 단어를 통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단어들이 등장인물의 이름으로(머리를 긁적-박박이, 눈을 비비는-눈첩첩이) 사용되어 좀 더 학생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갖게 하는 좋은 제재라고 생각하였다.
- 또한 문자를 학습하려고 하는 사람의 연령을 고려하여 내용이 비록 과장되었을지라도 등장인물들의 이름과 관련된 재미있는 장면을 찾아보며 읽는 방법을 학습하게 하였다는 데서 좋은 제재이다.
p.99) 떡시루 잡기
※ 제재 선정이유
- 솔솔, 깔깔깔 등 어떤 모습이나 행동을 묘사하는 말이 단서와 함께 제시되어 묘사하는 말과 일반적으로 표현하는 말이 어떤 관계가 있고,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제재라고 생각한다. 이는 학생 수준에 인지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한 좋은 제재로 봐도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 떡시루 잡기도 ‘꾀를 내어서’와 마찬가지로 제재의 내용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물의 말과 행동이 사실은 아닐지라도, 재미있고 과장하여 표현되어있어 재미있는 장면을 인물의 말과 행동을 통해 찾을 수 있다는 읽기 방법을 배울 수 있는 좋은 제재라고 생각한다. (매우 맛있어 보였습니다. -> 군침이 저절로 돌았습니다./ 기운이 없어 졌습니다. ->기운이 쏙 빠졌습니다./ 맛있는 냄새가 솔솔 나자, 떡시루는 산 아래로 떼굴떼굴 굴러갔습니다. 두꺼비는 배꼽을 쥐고 ‘깔깔깔’ 웃었습니다.)
4) 2-1 1단원. 느낌을 말해요.
(1) 2학년 1학기 대단원 학습 목표 및 단원 구성
① 대단원 학습 목표: 시나 이야기를 읽을 때 반복되는 말이나 재미있는 말의 느낌을 살려 읽으면 실감이 납니다. 말의 느낌을 살려 시나 이야기를 읽어 봅시다.
(2) 선정 읽기 제재 소개
① p. 17 설문대 할망
학습목표 : 말의 느낌을 살려 이야기를 읽어봅시다.
② 제재 선정이유
- 학생은 읽기 제재를 통해 배경지식을 넓혀갈 수도 있지만(내용학습) 이는 학생 자신의 삶 속에서 수행하는 읽기 형태이지 학교에서 학습할 것이 아니다. 따라서 설문대 할망에 나온 한라산은 실제 한라산의 생성과정과는 다르지만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친근한 제주도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읽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관심과 흥미)를 가지게 하는데 도움이 되는 제재라고 생각한다.
- 또 제주도라는 친숙한 소재를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말을 배울 때 글자로 쓰여 있는 것을 보고 배우기보다는 부모가 말하는 것을 듣고 배워가기 때문에 구어체로 서술된 이 제재는 학생들이 ‘읽기’에 부담 갖지 않고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좋은 제재라고 생각한다.
- 또한 문어체로 서술된 제재를 읽을 때와는 다른 느낌을 경험해보도록 함으로써 어떻게 표현되었을 때 더 실감나고 자연스럽게 읽을 수 있는지, 그 읽기 방법을 배울 수 있는 좋은 제재라고 생각한다.
- 이와 관련하여 1학년 1학기 2단원에 나오는 글자의 짜임을 알아보는 제재 (p.24 나무 나무 무슨 나무/ 가자 가자 감나무/ 배가 아파 배나무/ 바람 솔솔 소나무)에서 가자와 감나무, 배가 아플 때의 ‘배’와 배나무의 ‘배’는 다른 의미로 단지 같은 음을 쓰고 있을 뿐이지만 문자를 학습하려는 사람의 연령을 고려하여 학생의 수준에 인지할 수 있는 ‘가자’, ‘배’, ‘솔솔’ 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글자의 짜임을 알게 했다. 이런 면에서 학생의 수준을 고려한 제재는 읽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는 동시에 읽기 방법을 학습하게 하는 좋은 제재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과 교과서. 2009.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2학년 1학기 국어과 교과서. 2009.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해설서, 2008.
삼지원. “국어교육학개론”. 최현섭 외 6명. 2008.
서울대학교출판부. “읽기 지도의 이해”. 박수자. 2001.
박이정. “읽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이경화. 2001.
추천자료
읽기교육의 전반적 개관
한국화 교육의 이론적 배경
[인사행정 개혁][유럽연합][인사행정 사례]인사행정 개혁이론과 유럽연합의 인사행정 사례를 ...
STS수업모형(학습,과학기술사회)의 이론적 배경, STS수업모형(학습,과학기술사회)의 현황과 ...
부모교육 프로그램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이론적 배경,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효과에 대하...
한 아동을 선택하여 그 아동의 개인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직접 관찰, 또는 간접 관찰(주양육...
아동발달의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아동교육의 방향을 제시
디스타프로그램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출산장려정책 비교·분석> 출산장려정책의 이론적 배경, 출산장려정책교...
러더포드(Rutherford)의 원자구조 (과학 도서) (원자구조의 발견, 교육환경 및 인적 네트워크...
지적장애인 가족사례 (지적장애인, 가족치료, 가족상담사례, 지적장애인교육, 이론적 배경)
[유아문학]읽기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과 적용의 이론적 근거 - 그림책 읽어주기 방법, 글 없...
20세기 전반과 후반의 교육학자들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교육내용과 나의 교육철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