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전쟁] 통화가치 절상에 따른 영향과 향후 전망 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율전쟁] 통화가치 절상에 따른 영향과 향후 전망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통화가치 절상률 …………………………3

Ⅱ. 미국 달러 가치 하락 ……………………4

Ⅲ. 3차 환율대전 ……………………………5

Ⅳ. 중국의 대응 ………………………………5

Ⅴ. 미국의 대응 ………………………………7

Ⅵ. 통화가치 절상에 따른 영향 ……………8

1. 일본의 영향
2. 중국의 영향
3. 한국의 영향
4. 신흥국의 영향

Ⅶ. 각국의 시장개입 …………………………9

1. 브라질의 시장개입
2. 한국의 시장개입
3. 일본의 시장개입

본문내용

세미나에서세미나에서 “하원의 위안화 제재 법안은 상원에서 부결되거나 백악관이 이를 중단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11월 중간 선거를 앞두고 중부지역 중소기업들의 이해를 대변하기 위한 정치적 동기에서 하원 법안이 통과됐지만 실제 시행 가능성은 없다”고 분석했다.
의도적으로 위안화의 가치를 하락시켜 온 중국에 대해서 미국은 환율전쟁을 벌이는 등의 충돌을 일으킬 가능성이 적다고 할 수 있다. 서로간의 마찰이 결국 양쪽 국가에게 이득이 될게 없기 때문이다. 중국도 위안화 가치를 향상시켜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간의 입장 조율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Ⅵ. 통화가치 절상에 따른 영향
1. 일본의 영향
달러를 추가로 풀겠다는 미국의 방침은 곧바로 일본을 강타했다. 일본 엔화 가치는 지난 4월 말까지만 하더라도 달러당 94엔대를 유지했으나 그리스 재정위기가 불거진 이후인 7월 말 86엔대로 올랐고,8월10일 FOMC 의결문이 발표된 뒤 추가로 절상돼 9월14일 장중 82엔대로 치솟았다.
2. 중국의 영향
중국은 미국의 압박에 '만만디'(천천히)로 대응했다. 리먼브러더스 파산 이후 위안화 가치를 달러에 연동시키는 페그제를 운용했던 중국은 6월19일 관리변동환율제(복수통화바스켓)로 전환한다고 선언했지만 지난달 말까지 위안화 절상폭은 2%에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소극적인 대응을 했다. 미국이 환율조작 의심 국가에 보복관세를 매길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만든 배경이다.
중국은 미국을 비롯한 세계의 부정적인 시각으로 인해 위안화를 절상하긴 하였지만 그상승폭이 미세한 수준에 그쳤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은 중국으로 하여금 더 높은 절상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중국은 이를 수용하게 될 것으로 보여진다.
3. 한국의 영향
미국 중국 일본 등 경제대국들 간 환율전쟁 유탄은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신흥국으로 튀고 있다. 한국은 버냉키 의장이 양적완화 방침을 발표한 8월27일 이후 9월30일까지 원 · 달러 환율이 4.9% 하락(원화 가치 상승)했다. 원 · 달러 환율은 1일에도 9원80전 더 떨어져 1130원40전을 기록했다.
한국도 미국의 달러 가치 하락 움직임에 따라서 영향을 받고 있으며 달러가치가 하락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원화 가치가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4. 신흥국의 영향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도 비슷한 상황이다. 같은 기간 이들 국가 통화의 절상률은 태국 3.1%,싱가포르 2.8%,말레이시아 1.6%,인도네시아 0.6% 등이다.
올 한 해를 기준으로 하면 말레이시아 11.14%,태국 9.77%,싱가포르 6.71%,인도네시아 5.25% 등에 이른다. 말레이시아와 태국의 달러 대비 통화 가치는 13년 만에 최고치이며 인도네시아는 3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브라질 헤알화 가치도 지난달에만 3.7% 치솟는 등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신흥국 이외 국가와 지역의 통화가치도 급등세다. 8월27일 이후 지난달 말까지 유로화는 7.3% 뛰었으며 호주달러 가치는 9.5% 상승했다.
신흥국들은 통화가치가 대폭 절상될 경우 경상수지가 악화돼 다시 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1997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외환위기가 대표적인 사례다. 달러 가치의 지나친 약세는 곤란하다는 것이 신흥국들의 입장이다
Ⅶ. 각국의 시장개입
1. 브라질의 시장개입
브라질이 총대를 먼저 멨다. 기두 만테가 브라질 재무장관은 최근 "미국 달러의 가파른 약세는 브라질의 경쟁력을 위협하고 있다"며 "필요한 경우 브라질 헤알화의 과다 절상을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브라질은 지난해 투기성 단기자본의 유입에 금융거래세를 부과했고 지난달에는 94억달러 규모의 매수 개입을 단행했다.
미국이 달러 가치를 하락시키는 움직임을 보임에 따라서 브라질도 자국의 가치를 하락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통화가치의 하락은 해당국가로 하여금 수출을 하는데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측면이 크기 때문에 이점으로 작용한다.
2. 한국의 시장개입
한국도 원화 가치 상승 추세 자체를 인위적으로 바꾸지는 않겠지만 상승 속도는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외환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3. 일본의 시장개입
일본 외환당국은 9월15일 달러를 사들이는 시장개입을 단행했다. 2004년 이후 6년 만이었다. 규모는 2조엔으로 사상 최대였다. 엔화 가치는 86엔대 근처로 하락했다. 최근 엔화 가치가 83엔대로 다시 상승하자 일본은 추가 대책을 강구 중이다.
참고자료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100101041
<한국경제>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100101671
<한국경제>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91784351
<한국경제>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100105451
<한국경제>
http://www.hani.co.kr/arti/economy/finance/442169.html
<한겨레>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0100417057012258&outlink=1
<머니투데이경제>
http://news2.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4180858&cp=nv
<국민일보>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1595654
<노컷뉴스>
http://economy.hankooki.com/lpage/economy/201010/e2010100418022570070.htm
<서울경제>
http://www.fnnews.com/view?ra=Sent0401m_View&corp=fnnews&arcid=0922107022&cDateYear=2010&cDateMonth=10&cDateDay=04
<파이낸셜뉴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10.04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3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