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우화의 가치와 의의
Ⅱ. 우화의 지도 자료
1. 늑대의 착각
2. 개구리와 살모사
3. 입 큰 개구리
Ⅲ. 우화의 지도 사례
1. 생각을 키워요 1
2. 생각을 키워요 2
Ⅳ. 우화의 지도 방법
1. 수업 전략 및 단계
1) 그림을 보고 이야기하기
2) 관련된 우화 듣기
3) 이야기 듣고 관련 내용 말하기
4) 우화 속에서 주는 교훈을 적용하며 태도 바꾸기
2. 적용상 유의점
참고문헌
Ⅱ. 우화의 지도 자료
1. 늑대의 착각
2. 개구리와 살모사
3. 입 큰 개구리
Ⅲ. 우화의 지도 사례
1. 생각을 키워요 1
2. 생각을 키워요 2
Ⅳ. 우화의 지도 방법
1. 수업 전략 및 단계
1) 그림을 보고 이야기하기
2) 관련된 우화 듣기
3) 이야기 듣고 관련 내용 말하기
4) 우화 속에서 주는 교훈을 적용하며 태도 바꾸기
2. 적용상 유의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료
스탠드형 전등과 화이트보드
학습지
1. 생각을 키워요 1
* 다음 글을 읽고 토론하세요.
학을 초대한 여우는 낮고 평평한 접시에 국물을 대접했다. 하지만 학은 가늘고 긴 부리로는 먹을 수가 없었기 때문에 매우 분했다. 그래서 이번에는 가늘고 긴 병에 음식을 담아 놓고 여우를 초대하였다.
* 학의 앙갚음을 읽고 학의 행동에 대하여 생각해보자.
학의 행동은 옳은 행동이었을까?
2. 생각을 키워요 2
오랫동안 숲 속 나무들은 사이좋게 지냈다. 어느 날 나무꾼 하나가 도끼자루를 만들기 위해 한 그루의 나무를 달라고 했다. 이 말을 들은 떡갈나무랑 삼나무들은 나무꾼의 청이 그다지 지나 친 게 아닌 것 같아서 얌전한 물푸레나무를 나무꾼의 도끼자루로 주었다. 나무꾼은 도끼로 숲 속의 나무를 모두 찍어냈다.
* 도끼의 이야기에서 물푸레나무의 행동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여러분이 물푸레나무라면 어떻게 했을까요? 떡갈나무와 삼나무의 행동은 과연 옳은 행동이었을까?
Ⅳ. 우화의 지도 방법
1. 수업 전략 및 단계
1) 그림을 보고 이야기하기
- 삽화그림을 보고 제시된 상황에 대한 여러 가지 궁금한 점을 이야기한다.
2) 관련된 우화 듣기
- 학습주제와 관련된 우화를 조용한 가운데 줄거리와 주제를 생각하며 듣는다.
3) 이야기 듣고 관련 내용 말하기
-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이 한 일과 그 일을 한 까닭을 말한다.
4) 우화 속에서 주는 교훈을 적용하며 태도 바꾸기
- 나라면 어떻게 할 것인지 생각해 보고, 내 주변의 인물들은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 생각해 본다.
2. 적용상 유의점
가. 우화가 담고 있는 주제를 살려 들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제란 이야기 속에 내재되어 있는 중요한 생각이다. 등장인물의 행동 속에 담긴 정서적 갈등이나 문제들이 해결되는 과정을 들으면서 아동들이 새로운 발견과 기쁨을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 우화의 언어적 표현 가치를 최대한 발휘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언어적 표현력이란 글 속에 내재되어 있는 주제를 나타내는 제각기 다른 표현 방법으로서, 아동들에게 보다 쉽고, 보다 재미있게 느낄 수 있는 리듬, 소리, 낱말의 뉘앙스를 살려 실감나게 읽어 주어야 한다.
다. 우화를 들려준 후에는 주제나 아동들의 경험에 대하여 아동들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야 한다. 이야기 나누기는 아동들의 경험을 넓혀 주는 훌륭한 교수 방법 중 하나다.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아동들은 우화가 담고 있는 정보를 정교화 하고, 그 속에 숨어있는 비유와 풍자를 통해 생각의 폭을 넓혀 주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참고문헌
김종해 저, 심현철옮김(1998) - 어른을 위한 이솝우화 전집, 문학세계사
김재환(1999) - 우화소설의 세계, 동물의 문학적 발상, 박이정
김도중(1995) - 속담과 이솝 우화 지도를 통한 흥미 유발이 Communicative competence에 미치는 효과, 현장교육연구대회 연구논문
송성이(2005) - 동물 우화소설 연구, 학위논문
윤해옥(1982) - 조선 후기 동물우화소설의 구조적 고찰,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스탠드형 전등과 화이트보드
학습지
1. 생각을 키워요 1
* 다음 글을 읽고 토론하세요.
학을 초대한 여우는 낮고 평평한 접시에 국물을 대접했다. 하지만 학은 가늘고 긴 부리로는 먹을 수가 없었기 때문에 매우 분했다. 그래서 이번에는 가늘고 긴 병에 음식을 담아 놓고 여우를 초대하였다.
* 학의 앙갚음을 읽고 학의 행동에 대하여 생각해보자.
학의 행동은 옳은 행동이었을까?
2. 생각을 키워요 2
오랫동안 숲 속 나무들은 사이좋게 지냈다. 어느 날 나무꾼 하나가 도끼자루를 만들기 위해 한 그루의 나무를 달라고 했다. 이 말을 들은 떡갈나무랑 삼나무들은 나무꾼의 청이 그다지 지나 친 게 아닌 것 같아서 얌전한 물푸레나무를 나무꾼의 도끼자루로 주었다. 나무꾼은 도끼로 숲 속의 나무를 모두 찍어냈다.
* 도끼의 이야기에서 물푸레나무의 행동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여러분이 물푸레나무라면 어떻게 했을까요? 떡갈나무와 삼나무의 행동은 과연 옳은 행동이었을까?
Ⅳ. 우화의 지도 방법
1. 수업 전략 및 단계
1) 그림을 보고 이야기하기
- 삽화그림을 보고 제시된 상황에 대한 여러 가지 궁금한 점을 이야기한다.
2) 관련된 우화 듣기
- 학습주제와 관련된 우화를 조용한 가운데 줄거리와 주제를 생각하며 듣는다.
3) 이야기 듣고 관련 내용 말하기
-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이 한 일과 그 일을 한 까닭을 말한다.
4) 우화 속에서 주는 교훈을 적용하며 태도 바꾸기
- 나라면 어떻게 할 것인지 생각해 보고, 내 주변의 인물들은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 생각해 본다.
2. 적용상 유의점
가. 우화가 담고 있는 주제를 살려 들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제란 이야기 속에 내재되어 있는 중요한 생각이다. 등장인물의 행동 속에 담긴 정서적 갈등이나 문제들이 해결되는 과정을 들으면서 아동들이 새로운 발견과 기쁨을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 우화의 언어적 표현 가치를 최대한 발휘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언어적 표현력이란 글 속에 내재되어 있는 주제를 나타내는 제각기 다른 표현 방법으로서, 아동들에게 보다 쉽고, 보다 재미있게 느낄 수 있는 리듬, 소리, 낱말의 뉘앙스를 살려 실감나게 읽어 주어야 한다.
다. 우화를 들려준 후에는 주제나 아동들의 경험에 대하여 아동들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야 한다. 이야기 나누기는 아동들의 경험을 넓혀 주는 훌륭한 교수 방법 중 하나다.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아동들은 우화가 담고 있는 정보를 정교화 하고, 그 속에 숨어있는 비유와 풍자를 통해 생각의 폭을 넓혀 주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참고문헌
김종해 저, 심현철옮김(1998) - 어른을 위한 이솝우화 전집, 문학세계사
김재환(1999) - 우화소설의 세계, 동물의 문학적 발상, 박이정
김도중(1995) - 속담과 이솝 우화 지도를 통한 흥미 유발이 Communicative competence에 미치는 효과, 현장교육연구대회 연구논문
송성이(2005) - 동물 우화소설 연구, 학위논문
윤해옥(1982) - 조선 후기 동물우화소설의 구조적 고찰,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