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능력 검정 주관식 예상 100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 능력 검정 주관식 예상 100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의 역사의 시작

2. 삼국의 성립과 발전

3. 통일신라와 발해

4. 고려의 성립과 발전

5. 조선의 성립과 발전

6. 조선 사회의 변동

7. 개화와 자주운동

8. 주권수호운동의 전개

9. 민족의 독립운동

10. 대한민국의 발전

본문내용


북진정책
사대정책
금국 정벌
금과 화친
고구려 계승의식
신라 계승의식
37. 무신정권의 정치 군사기구
1) 교정도감 : 최씨 무신 정권의 최고 권력 기구
2) 정방 : 최씨 무신 정권의 인사행정 기구
3) 도방 : 최씨 무신 정권의 사병집단
38. 무신 정권기 하극상 풍조
1) 김보당의 난 : 의종 복위를 이루고자 발생
2) 조위총의 난 : 무신정권에 대항하여 발생한 문신란
3) 공주 명학소의 난 : 특수 행정구역민의 봉기
4) 운문(청도)-김사미, 초전(울산)-효심 : 신라부흥운동
5) 노비의 신분해방운동 : 개경의 만적의 난
39. 국가에 봉사하는 대가로 관리들에게 지급하던 토지 수조권은 ?
⇒ 고려시대 - 전시과 / 조선시대 - 과전법 (→ 직전법 → 관수관급제)
40. 고려시대 귀족의 지위를 유지하기 기반이 되었던 두 제도는 ? 공음전, 음서
41.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을 기초로 쓰여진 현존 최고(最古)의 역사서는 무엇인가 ? 김부식<삼국사기>
42. 우리나라 최초의 금속 활자는 ?
상정고금예문(1234) - 기록상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직지심체요절(1377) - 현존 최고의 금속활자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있음)
43. 인간의 심성과 우주의 원리 문제를 철학적으로 탐구하는 신유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성리학 (性理學)
44. 공민왕의 개혁정치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00자)
⇒ 공민왕의 개혁정치는 왕권강화와 반원자주정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공민왕의 개혁정치는 14세기 원명교체기를 이용하여 실시되었으며, 반원자주정책으로 정동행성 이문소를 폐지하고, 몽고풍을 금지하였으며, 쌍성총관부를 무력으로 회복하였고, 친원파를 숙청하였다. 또한 왕권강화정책으로 정방의 폐지를 통해서 신진사대부의 중앙정계 진출을 유도하였으며, 신돈을 등용하여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여 토지를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고, 노비를 양인으로 해방시켰다. 그러나 권문세족의 반발과 신진사대부 세력의 약화와 공민왕이 시해됨에 따라서 개혁이 좌절되고 말았다.
45. 여말선초의 시대흐름
위화도
회군
(1388)

과전법
(1391)

조선
개국
(1392)

한양
천도
(1394)
46. 조선초기 대외 관계는 ? 사대 (명) / 교린 (일, 여진)
47. 조선시대 삼사
1) 홍문관 : 왕의 자문 기구
2) 사헌부 : 관리 비행 감찰
3) 사간원 : 왕에게 직언
48. 유향소(향청)의 기능을 설명하시오.
⇒ 지방 양반들이 자치적으로 운영하는 기구로, 여론수집, 백성교화, 수령자문, 향리 감찰 등의 기능을 하고, 오늘날의 지방의회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49. 우리나라 농토와 현실에 맞게 농사짓는 법을 소개한 책은 ? 농사직설
50. 조선시대 기본 통치규범을 정리한 법전은 ? 경국대전
51.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천체 운동을 정확히 계산한 책은 ? 칠정산
52. 훈구파 vs 사림파
훈 구 파
사 림 파
기 원
조선 건국에 앞장섬
(정도전, 조준)
조선 건국에 협력하지 않음
(길재)
정 치
중앙집권, 부국강병
향촌자치, 왕도정치
경 제
대농장, 대지주
향촌의 중소지주
사 상
성리학 외 불교, 도교에도 관대
오직 성리학
업 적
15세기 문화발달에 기여
16세기 사회주도
문 화
민족적, 실용적 성격
서원건축 활발, 백자유행
53. 사화(士禍)
1) 무오사화 (연산군) - 김종직의 ‘조의제문’
2) 갑자사화 (연산군) -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
3) 기묘사화 (중종) - 조광조의 개혁 정치
4) 을사사화 (명종) - 외척 간의 갈등
54. 임진왜란의 결과를 서술하시오. (200자)
⇒ 조선은 장기간의 전쟁으로 국토가 황폐해지고, 인구가 격감했으며, 토지대장 호적대장이 소실되어서 국가재정이 궁핍이 심화되었다. 이에 조선 조정은 공명첩과 납속책을 발행하여 재정궁핍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공명첩과 납속책의 발행은 조선사회의 신분제의 동요를 가져왔으며, 양반의 수가 급증하고 몰락양반이 발생하는 등의 양반권위는 추락하였고, 노비는 크게 감소하였다. 임진왜란 기간 조선의 많은 문화재가 소실되었는데 경복궁, 불국사, 사고, 서적이 불타 없어지고, 많은 그림, 도자기 등이 약탈되었다.
일본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에도막부로 정권이 교체되고, 조선으로부터 도자기와 성리학이 유입되어서 문화적 발전의 계기가 되었다.
중국에서는 명의 세력이 크게 약화되고 여진족의 세력이 강대해져서 중국의 주도권을 놓고 대립하게 되었다.
55. 통신사 파견
⇒ 일본과 국교 재개 후 일본에 파견한 외교사절을 말한다.
일본은 선진문화를 수용하고 막부의 권위를 인정받기 위해서 일본의 요청으로 이루어졌다.
56. 광해군의 중립외교
⇒ 광해군이 후금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어느 한쪽의 편에 서지 않고 중간에서 실리를 취하는 외교를 추진하였다.
57. 광해군 때 허준이 편찬한 의학서적은 ? 동의보감
58. 비변사(鄙邊司)
⇒ 중종 때 국방문제를 대처하기 위해 설치한 임시기구로 임진왜란과 붕당정치 전개를 통해서 17세기 최고 정치기구화 되었다. 그 결과 왕권이 약화되고, 의정부 기능이 약화 되었다.
59. 붕당정치의 변질을 가져온 대표적인 두 사건은 ? 예송, 환국
60. 영조의 탕평책
⇒ 이조전랑의 후임자 추천관행의 폐지와 소론과 남인 등의 온건파를 고루 등용하였으며, 탕평비를 건립하여 탕평책을 널리 알렸다. 또한 민생안정책으로 균역법을 실시하고, 형벌제도 완화와 신문과 부활 등의 정책을 실시하였다.
61. 정조의 탕평책
⇒ 규장각을 설치하여 정조의 권력과 정책을 뒷받침하였고, 장용영을 설치하여 왕권강화의 군사적 기반을 튼튼히 하였다. 또한 수원화성의 건설, 수령권의 강화를 통해서 왕권강화를 도모하였으며, 신해통공으로 상공업 발달시키고자 하였다.
62. 중농학파의 토지개혁론
1) 유형원(균전론) : 사농공상의 신분에 따라 차등있게 토지를 분배하여 농민들에게도 일정한 토지를 지급하여 자영농 육성을 강조하였다.
2) 이익(한전론) : 농민들에게 매매가 금지된 영업전을 분배하고, 영업전의 매매를 금지하고, 그 외 토지는 자유롭게 매매를 가능하도록 하였다.
3) 정약용(여전론) : 농지의 공동소유와 공동경작, 수확물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0.10.16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53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