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6. John Locker 와 국제관계를 논하시오.
7. Haas와 Nye의 신기능주의 이론을 논하시오.
8. 코헨(Keohane)과 Nye의 상호의존론을 약술하고, 이것을 오늘의 시점에서 평가하시오.
9. Walth의 구조적 현실주의 이론을 약술하고, 이것을 현재와 미래에 적용시켜 보시오.
10. Raymond Aron의 국제정치이론을 논하시오.
7. Haas와 Nye의 신기능주의 이론을 논하시오.
8. 코헨(Keohane)과 Nye의 상호의존론을 약술하고, 이것을 오늘의 시점에서 평가하시오.
9. Walth의 구조적 현실주의 이론을 약술하고, 이것을 현재와 미래에 적용시켜 보시오.
10. Raymond Aron의 국제정치이론을 논하시오.
본문내용
ctive on World Politics (In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State Power-Essay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 Boulder Westview Press 1989) ch.1
전재성 - 현실주의 국제제도론을 위한 시론, 한국정치학회보 34집 2호 .1999
10. Raymond Aron의 국제정치이론을 논하시오.
프랑스의 저명한 석학 레이몽 아롱(Raymond Aron : 1905-1983)은 냉전을 가리켜 ‘전쟁은 일어날 것 같지 않지만 평화는 불가능한 상태(guerre improbable, paix impossible)’라고 정의했다. 참으로 명쾌한 정의다. 만약 아롱의 정의를 받아들인다면 지금 남북한의 상황은 여전히 냉전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아롱은 프랑스 우파 지식인으로서 대표작으로는 "War and Peace"가 있다. 그는 현실주의의 기본입장과 슈미츠의 정치의 정의를 수용하며 국제관계란 것은 전쟁의 가능성이 상존하는 상태라고 규정했다. 국제관계는 폭력이 정당화되는 유일한 영역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힘은 단일한 것이 아니라 이상, 명예, 역사적 목표 등을 통해 다양하게 구성되는 것이어서 어떠한 단일 이론으로 설명한다는 것이 불가능 하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문화를 고려해야 하며 국가 지도자등 다양한 행위자를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그가 보기에 국제관계에서 prudence(분별력, 신중함)을 넘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 없다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국제관계는 기본적으로 너무나 불확실성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제관계라는 것은 Gambling에 가까우며 어떠한 이론과 확률로도 이를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분명 prudence한 전략을 통한 resonable policy는 존재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사실상 이론화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아론은 전쟁은 사랑과 같아서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무법칙의 영역이라고 주장하였다.
국제정치라는 큰 틀에서 보면 냉전은 구시대의 유산이다. 하지만 시야를 좁혀 한반도를 보면, 우리 사회가 냉전의 종식을 이야기할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 지금도 전쟁의 일시적 중단상태인 휴전상태이고 냉전의 적자인 국가보안법은 여전히 존속되고 있으며 남북한의 대립도 본질적으로는 해소되고 못하고 있다.
참고문헌
감정의 지정학, 저자 도미니크 모이시, 유경희, 랜덤하우스, 2010
전재성 - 현실주의 국제제도론을 위한 시론, 한국정치학회보 34집 2호 .1999
10. Raymond Aron의 국제정치이론을 논하시오.
프랑스의 저명한 석학 레이몽 아롱(Raymond Aron : 1905-1983)은 냉전을 가리켜 ‘전쟁은 일어날 것 같지 않지만 평화는 불가능한 상태(guerre improbable, paix impossible)’라고 정의했다. 참으로 명쾌한 정의다. 만약 아롱의 정의를 받아들인다면 지금 남북한의 상황은 여전히 냉전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아롱은 프랑스 우파 지식인으로서 대표작으로는 "War and Peace"가 있다. 그는 현실주의의 기본입장과 슈미츠의 정치의 정의를 수용하며 국제관계란 것은 전쟁의 가능성이 상존하는 상태라고 규정했다. 국제관계는 폭력이 정당화되는 유일한 영역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힘은 단일한 것이 아니라 이상, 명예, 역사적 목표 등을 통해 다양하게 구성되는 것이어서 어떠한 단일 이론으로 설명한다는 것이 불가능 하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문화를 고려해야 하며 국가 지도자등 다양한 행위자를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그가 보기에 국제관계에서 prudence(분별력, 신중함)을 넘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 없다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국제관계는 기본적으로 너무나 불확실성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제관계라는 것은 Gambling에 가까우며 어떠한 이론과 확률로도 이를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분명 prudence한 전략을 통한 resonable policy는 존재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사실상 이론화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아론은 전쟁은 사랑과 같아서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무법칙의 영역이라고 주장하였다.
국제정치라는 큰 틀에서 보면 냉전은 구시대의 유산이다. 하지만 시야를 좁혀 한반도를 보면, 우리 사회가 냉전의 종식을 이야기할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 지금도 전쟁의 일시적 중단상태인 휴전상태이고 냉전의 적자인 국가보안법은 여전히 존속되고 있으며 남북한의 대립도 본질적으로는 해소되고 못하고 있다.
참고문헌
감정의 지정학, 저자 도미니크 모이시, 유경희, 랜덤하우스, 2010
추천자료
국제경제기구의 이중성
가상현실 속에서 나는 누구인가.
한국 모더니즘 연구
동북아 지역의 평화협력의 모색과 발전방안
김대중 정부의 정책기조
기업가정신-전문경영자의 역할과 책임
독서지도론-번역
[중국][노신 소설][문학사적 의의][문학적 성취][노신][문학][소설]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
[국제정치]탈냉전시대 중국의 국제관계 및 정치적 변화
Implications for Psychotherapy -번역
디자이너 스튜디오
현대미술의 이해 기말고사범위 타이핑 영남대학교
[국가상징, 국가상징 개념, 국가상징과 국가예전, 국가상징과 국가보훈정책, 국가상징과 국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