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집행정지 결정의 의의
2. 집행정지결정의 성질
3. 집행정지 결정의 요건
4. 집행정지의 절차
5. 집행정지의 대상
6. 집행정지결정의 내용
7. 집행정지결정의 효력
8. 집행정지결정에 대한 불복
9. 집행정지결정의 취소
2. 집행정지결정의 성질
3. 집행정지 결정의 요건
4. 집행정지의 절차
5. 집행정지의 대상
6. 집행정지결정의 내용
7. 집행정지결정의 효력
8. 집행정지결정에 대한 불복
9. 집행정지결정의 취소
본문내용
에게도 미치는 것이 그 예이다.
(3) 시간적 효력
집행정지결정의 효력은 결정의 주문에 정하여진 때에는 그 시간까지, 특별한 정함이 없는 때에는 본안판결이 확정될 때까지 존속하는 것으로 본다.
8. 집행정지결정에 대한 불복
집행정지결정 또는 그 기각결정에 대하여는 법원에 즉시항고를 할 수 있으나, 이 즉시항고에는 결정의 집행을 정지하는 효력이 없다.
9. 집행정지결정의 취소
집행정지결정의 취소 후에도 그것이 공공복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거나, 집행정지의 사유가 소멸한 때에는 법원은 당사자의 신청 또는 직권에 의한 결정으로 집행정지결정을 취소할 수 있다. 여기서 당사자에는 행정청과 복효적 행정행위의 수익자인 상대방 (소송상으로는 제3자)도 포함한다. 집행정지결정의 취소에 대하여도 즉시항고를 할 수 있다.
(3) 시간적 효력
집행정지결정의 효력은 결정의 주문에 정하여진 때에는 그 시간까지, 특별한 정함이 없는 때에는 본안판결이 확정될 때까지 존속하는 것으로 본다.
8. 집행정지결정에 대한 불복
집행정지결정 또는 그 기각결정에 대하여는 법원에 즉시항고를 할 수 있으나, 이 즉시항고에는 결정의 집행을 정지하는 효력이 없다.
9. 집행정지결정의 취소
집행정지결정의 취소 후에도 그것이 공공복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거나, 집행정지의 사유가 소멸한 때에는 법원은 당사자의 신청 또는 직권에 의한 결정으로 집행정지결정을 취소할 수 있다. 여기서 당사자에는 행정청과 복효적 행정행위의 수익자인 상대방 (소송상으로는 제3자)도 포함한다. 집행정지결정의 취소에 대하여도 즉시항고를 할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법대로-경찰관직무집행법
형사소송법개론1
[예산 제도][예산][납세]우리나라 예산 제도의 현황과 개혁 방안(예산제도의 변천, 납세자 권...
양심적 병역거부의 의의, 양심적 병역거부의 법 관련 규정, 양심의 자유와 종교의 자유와 양...
경찰관직무집행법 ( 불심검문 )
[정지차금] 정치자금제도 - 정치후원금 문제 보고서
[정지차금] 정치자금제도 - 정치후원금 문제 PPT자료
헌법상 권한쟁의심판에 있어 지방자치단체와 그 기관의 당사자능력의 문제
평소 사회복지정책과 관련된 관심주제를 하나 선정하여 정책의 필요성, 정책의 내용(대상, 내...
행정행위의 적법 요건 - 대법원 2004두7146 판결을 중심으로
직업탐구(검사) - 법 집행의 정당성 확보를 실천하다.pptx
직업탐구(판사) - 법 집행의 공정성 확보를 실천하다.pptx
[기획(企劃)의 한계와 수정전략] 기획의 위기상황, 수정전략, 계획집행의 접근방법
[규제기관 종류] 규제기관 (規制機關) - 규제기관의 유형(독립적 규제위원회, 집행부 소속 규...
소개글